영양제를 추천해주는 것 만으로 수익화를 할 수 있을까?

안녕하세요 AI로 유저가 돈내고 사용할 서비스만들기 파트너 장준영입니다.

제가 다른 부트캠프 청강 들어갈 때 마다 거의 보이는 너무나도 열정적이신 루리스마일님께서 작성해주신 사례에 대한 피드백을 공유드리고자 합니다!

우선 저희 부트캠프 모든 회원님들께 원하시는 결과물 얻어가기 위해서 요청드린 사항은
- 서비스명 (이유)
GPT에게 물어보셔도 좋습니다.

- 어떤 서비스 혹은 제품인지?
GPT에게 경쟁 서비스 혹은 강점을 물어보아도 좋을 것 같아요

- 이 서비스를 통해 어떤 결과를 얻고 싶은지?

- 이러한 결과를 얻기 위해서 어떤점이 어려운지? 혹은 어떤 도움을 받고 싶은지?
(도움받고 싶은 부분을 GPT에게 물어보고 결과를 작성해주셔도 좋습니다.)

위와 같습니다.

루리스마일님께서 많이 고민해주신 영양제 추천으로 수익화 피드백 바로 보시죠!

  1. 서비스명: 내게 맞는 영양제 찾기

  2. 어떤 서비스를 구현하고 싶은지를 이야기했습니다.
    » 평소에 느끼는 컨디션에 따른 영양제를 추천해줄 것
    » 추천 정보는 인기, 가성비, 영양성분 3가지 옵션으로 제공
    » 아이허브 제품 기반으로 추천해줄 것
    » 구매시에 내 아이허브 코드를 넣고 구매할 것

작성해주신 위 내용을 기반으로 저는 아래 두가지가 매우 중요하다고 생각했습니다.

  1. 이용자가 만족할만한 영양제를 인기, 가성비, 영양성분 3가지 옵션으로 제공해주고, 실제 구매가 이루어지기까지 편안한 과정을 유도할 것.

  2. 수익화를 내야하기 때문에 내 추천코드에 내 아이디가 들어갈 것.

유저가 편안하게 사용하게 만들고 이로인해 구매가 발생할 때, 나에게 수익이 발생할 것.
매출을 내는 서비스에서 매우 중요한 요소인데요!

저는 이중에서 제가 보유한 서비스 혹은 제품이 아니더라도 사용자가 구매전환을 일으킬 때, 수수료를 가져가는 모델은 리스크를 최소화하는 좋은 방법이라 생각했습니다.

그러면 어떻게 수익을 낼 것이냐? 이러한 형태의 비즈니스 모델이 있는지에 대한 선행조사가되면 매우 좋을 것 같은데요.
저는 바로 한가지가 떠올랐습니다.

“최저가 비교 서비스”

왜 최저가 비교 서비스냐? 이들은 어떻게 수익을내고 서비스를 운영할까요?
그것은 바로 루리스마일님께서 마지막에 제시해주신 것 처럼 제품을 소개하고 판매에대한 일정 수수료를 가져가는 구조입니다.

느낌이 오시나요? 예시를 드리겠습니다.

위 사진은 알구몬에펨코리아라는 커뮤니티의 핫딜 게시판입니다.

싸게 올라온 이커머스의 제품에 대한 링크를 제공해주고 유저가 해당 제품을 구매할 시 수수료를 페이백 해주는 구조에요.

실제로 이러한 전략을 매우 잘 이용하는곳이 있습니다. 쿠팡의 쿠팡파트너스인데요! 쿠팡의 제품판매로 인한 수수료를 얻기 위해 유저들은 홍보를하는 윈-윈 구조입니다. (어찌보면 다단계 구조같은..?)

루리스마일님께서 원하시는 결과물도 위와같은 형태로 제품을 추천해주고 실제 유저가 구매했을 때, 그 금액에 대한 수수료를 가져가는 것으로 수익화를 해보면 내 리스크는 최소화하는 방식의 부업으로는 괜찮은 방법이지 않을까 싶습니다.

결론

제품을 추천해주고 구매 수수료를 받는 방식의 비즈니스모델은 기존에도 존재합니다.
이를 우리 서비스에는 영양제를 추천해주고 내 추천인코드 혹은 연결된 이커머스 구매수수료를 가져가는 방식으로 가져가보면 어떨까요?
참조: 쿠팡파트너스 수익화 구조를 이해하고자 참고했던 글

3
6개의 답글

👉 이 게시글도 읽어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