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기 상세페이지] 벤치마킹 + USP를 찾아 교육용 강의 상페 페이지 내용 작성하기

상세 페이지 부트캠프 조모임에서 교육 (9기 2번방)에서 활동을 했습니다. 저의 일정 착오로 조별 챗봇 만들기까지 완성 하지는 못했지만 원하는 주제의 상세페이지 챗봇을 만들어야 겠다는 생각에 정리해보게 되었습니다.

상세페이지 부트캠프를 통해 피카디 정원모 대표님, bricks8의 상세페이지 강의를 들으며 많은 것들을 배웠는데요 가장 중요한 부분중의 하나가 우리 만의 고유한 차별점인 초격차 USP(Unique Selling Point)를 찾는것이 가장 중요하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마침 GPTs만들기 강의를 준비하고 있어 준비 중인 GPTs 강의를 대상으로 부트캠프 진행과 벤치마킹을 통해 배운 내용을 가지고 현재 상세 페이지를 개선하고 교육용 강의 상세 페이지 GPTs를 만든 과정을 공유 합니다.

가장 먼저 제가 하려고 하는 강의 제목과 발견한 USP를 먼저 공유 드립니다.

강의 제목: 🚀 GPTs 하루 완성반 3기모집:찐개발자에게 쉽게배우는 GPTs 완벽사용법

현재 강의 소개 참고 링크:

https://www.gpters.org/c/promotion/lecture-how-use-gpts-recruitment

정리한 USP


1. 강사 이력:

삼성전자와 카카오 출신 개발자, 월 250만 사용자 맛집 검색 서비스 망고플레이트 창업자 및 CTO 경험

ChatGPT 강의 런칭 및 국내 최대 ChatGPT 커뮤니티 GPters의 8기, 9기 부트캠프 파트너

2. 폭발적인 인기 1차 강의, 2차 강의 폭발적인 반응으로 마감

이미지: 현장 사진

3. 실제 다수의 성공 적인 GPTs 개발 및 출시 경험

이미지: 성공적인 GPTs 4개 소개

4. 개발 방법 뿐만 아니라 수익화및 마케팅 전략 까지 다루는 GPTs 의 모든것

- Actions 활용을 통해 차별화된 GPTs를 만드는 프롬프트해커 대니의 차별화 전략

- 5K+ 이상의 국내 최상위 GPTs를 만드신 제임스 마케팅 전략 까지

- ChatGPT와 Youtube 전문가 평범한 사업가님의 수익화 전략


이었습니다. 그럼 USP를 찾아가는 과정 그리고 USP를 가지고 작성한 상세 페이지와 교육용 강의 상세 페이지 GPTs를 만든 과정에 대해 말씀 드려보겠습니다.



먼저 제가속한 2조(교육), 3조(전자책), 6조(부동산, 인테리어)는 아래의 순서로 진행해보기로 했습니다.

- 주제 선정

- 벤치마킹 페이지 3개 조사

- 벤치마킹 페이지 뜯어보기

- 나만의 상세 페이지 작성

- 조별 챗봇 만들기

그럼 순서대로 살펴 보겠습니다.



1. 주제 선정

다루기 원하는 강의 주제를 선정 합니다.

저는 차별화된 GPTs 강의를 주제로 잡았고 마침 1차, 2차가 마감된 GPTs 강의가 있었고 3차도 오픈하게 되었습니다.


2. 벤치마킹 사이트 3개 정도 알아보기


이단계에서는 내가 만들기 원하는 강의 페이지 3개 정도를 조사해봅니다.

구글링을 통해 찾아봐도 되고 특정 강의 사이트에서 찾아 볼 수도 있습니다.


저는 이 단계를 통해 ChatGPT 관련 강의 두개를 찾게 되었습니다.

https://www.inflearn.com/course/chatgpt-%EC%97%85%EB%AC%B4-10%EB%B0%B0-%EB%B9%A0%EB%A5%B4%EA%B2%8C

https://fastcampus.co.kr/biz_online_chatgpt400


3. 벤치마킹 페이지 뜯어보기


위에서 찾은 3가지 중 가장 잘만든 상세 페이지를 분석 합니다.

1) 제품 상세 페이지 벤치마킹 도우미 GPTs 로 파악 해보기

- https://chat.openai.com/g/g-HJMWVafaW-jepum-sangsepeiji-bencimaking-doumi


제품 상세페이지 벤치마킹 도우미를 통해 참고하는 강의 상세 페이지 구조를 분석하고 아래와 같은 구조를 파악 했습니다.


- 페이지 상단에는 강의의 주요 이점과 함께 등록 버튼

- 강의 특징, 커리큘럼, 강사 정보, 가격 정보 등이 순차적으로 제공

이미지 및 텍스트 사용: 본문에는 다양한 형태의 이미지와 텍스트가 조화롭게 사용되어 강의 내용을 시각적으로 풍부하게 표현합니다.


2) 한땀 한땀 분석하기 결과 사례

실제 상세 페이지 분석 인사이트 모으기

이부분은 이미지로 되어 있어 반영이 안된 부분을 고려하여 이미지에 표시된 핵심 포인트 뽑아내기 위함입니다.

- 이미지에 표시된 핵심 문구를 확인하고 분석해서

- 참고해야할 중요 포인트를 뽑아내는것 이 중요 합니다.

또한 USP분석 및 섹션별 후킹 포인트를 찾고 상세페이지 작성을 위한 주요 섹션들을 도출 합니다.

한땀 한땀 분석을 통해 아래와 같은 중요 포인트를 찾았습니다.

중요 포인트

강의 USP 강조: 400가지 ChatGPT 활용법을 배울 수 있다는 점, 직무별 맞춤형 커리큘럼, 그리고 다양한 AI 툴과 프롬프트를 무료로 제공받는다는 점이 강조되어, 이 강의의 독특한 가치 제안을 잘 드러냅니다.

시간 제한된 프로모션: 특정 날짜까지 구매하는 경우 추가 혜택(1+1 강의 제공)을 받을 수 있음을 강조하여 구매를 서두르게 만드는 긴급성을 생성합니다.

비용 절감 효과: 1+1 쿠폰 사용 시 최대 531,000원을 절약할 수 있다는 점을 강조하여, 이 강의가 경제적 가치도 갖추고 있음을 보여줍니다.

한정된 시간 제공: "2일 3시간 9분 57초" 남은 시간 표시를 통해 프로모션이 곧 끝날 것임을 알려, 구매 결정을 빠르게 내리도록 유도합니다.

추가 혜택: "지금 구매하면 AI 명령어 200종 무료 제공"과 같은 추가 혜택을 제공함으로써, 즉시 구매의 가치를 더욱 높입니다.

4. 나만의 상세 페이지 작성

이 단계에서는

  • 강의 제목 및 USP작성

  • 강의 내용

을 준비 합니다


5. 주제에 맞는 상세 페이지 GPTs 만들기

벤치마킹 페이지 과정과 나만의 상세 페이지 작성 경험을 기반으로 챗봇 만들기. 조와 함께 같이 만들어보기 까지는 못했지만 만드는 방법이라도 공유를 해보겠습니다.


1K+ 대화를 달성하며 자주 사용되는 GPTs 하나인

GPTs 만들기 도우미: 나만의 AI 챗봇 개발 도구

https://chat.openai.com/g/g-n3twc6WLU-gpt-s-mandeulgi-doumi-namanyi-ai-caesbos-gaebal-dogu

통해서 GPTs 를 만들어보겠습니다.



먼저 준비물은

- GPTs 만들기 도우미: 나만의 AI 챗봇 개발 도구 GPTs

- 제목

- 벤치마킹 분석을 통해 만든 구조

입니다.


GPTs 만들기 도우미에 아래와 같은 프롬프트를 요청 합니다.

강의 정보와, 강의 USP를 알려주시면 교육 코스 관련 상세 페이지를 만들어주는 도구

좋은 강의를 만들기 위해 필요한 질문: 

이 과정에 대해 자세히 알려주세요.

교육 과정의 목표는 무엇인가요?

수강 대상은 어떻게 되나요?

강의의 USP를 알려주세요

강의 에 대한 내용을 알려주세요


결과 Layout: 

- 페이지 상단에는 강의의 주요 이점과 함께 등록 버튼

- 강의 특징, 커리큘럼, 강사 정보, 가격 정보 등이 순차적으로 제공

이미지 및 텍스트 사용: 본문에는 다양한 형태의 이미지와 텍스트가 조화롭게 사용되어 강의 내용을 시각적으로 풍부하게 표현합니다.




이렇게 입력 하면 아래 보시는것 처럼 GPTs를 만들기 위한 재료를 준비 해줍니다.



위에서 준비된 내용으로 GPTs를 만듭니다. GPTs 만들기가 궁금하신분은 아래 링크를 참고 하시면 됩니다.

GPTs 만들기 완벽 가이드: 3분만에 나만의 맛춤형 AI챗봇 만들기 | 프롬프트해커 대니


이렇게 5분만에 GPTs를 만들게 되었습니다

ChatGPT - 교육 코스 상세 페이지 작성 도우미


Instructions 을 좀 수정하고 이렇게 만들어진 GPTs를 가지고 개선된 상세 페이지를 요청해보았습니다.

먼저 아래와 같이 상세페이지 작성을 위한 내용을 알려달라고 합니다.

서두에 말씀 드린 제목과 USP를 입력 했습니다.


다음 질문으로 교육과정의 목표, 수강대상, 강의 내용을 차례대로 물어봅니다.


결국 GPTs 가 만들어준 상세 페이지 내용

짧은 시간 만들어서 아쉬운 부분은 있었지만 구조 잡는데는 도움이 되었고 핵심적인 부분은 잘 뽑아주었습니다.

결국 페이지를 어떻게 구성 하느냐가 중요하다는 생각이 들었네요


👉 이 게시글도 읽어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