타이칸
타이칸
Admin
🐶 AI 찐친
📚 학습반장
🚀 SNS 챌린지 달성자

옵시디언 플러그인으로 독서노트 마인드맵 만들기

소개

평소 노션을 활용해 독서노트를 정리하고 있습니다. 현재는 책의 내용을 줄글 형태로 요약해두고 있는데, 이를 다양한 용도로 활용하기 위해서는 추가 정리가 필요한 상황입니다.

한국어 한국어 한국어 한국어 한국어 한국어 한국어 한국어

<독서노트 예시>

제가 생각하는 이상적인 형태는 책에 인용된 다른 책들을 서로 연결하여 다양한 지식의 연결고리를 만들고, 여기에 제 인사이트를 더하는 것입니다.

처음에는 노션의 텍스트를 AI(클로드, GPT)와 토론하는 방식을 시도했으나, 텍스트 길이 제한과 사용 횟수 제한으로 어려움을 겪었습니다.

다행히 스터디장님의 사례발표를 통해 옵시디언 Composer를 알게 되었고, 이를 활용하면 기존 노트들을 효과적으로 연결하고 분석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추가적으로 옵시디언의 다양한 플러그인들을 활용하여 제 지식 관리 시스템을 한층 더 발전시키고자 합니다. 특히 다음과 같은 도구들의 조합으로 더욱 체계적인 지식 구조화가 가능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1. 마인드맵 플러그인

  • 독서노트의 핵심 개념들을 방사형으로 연결

  • 중심 개념을 기준으로 세부 내용을 가지치기 형태로 확장

  • AI Composer의 분석 결과를 구조화된 형태로 시각화

2. Mermaid 다이어그램

  • 책에서 발견한 프로세스나 시스템을 플로우차트로 표현

  • 여러 책에서 발견한 유사한 개념들의 관계도 작성

  • 시간 흐름에 따른 지식의 발전 과정을 타임라인으로 시각화

3. AI Composer 활용 전략

  • 독서노트 간의 연관성 분석 요청

  • 특정 주제에 대한 여러 저자들의 관점 비교 분석

  • 제가 작성한 인사이트에 대한 피드백과 발전 방향 제시

이러한 도구들을 유기적으로 결합하여 단순한 독서 정리를 넘어, 책 속 지식들이 서로 대화하고 새로운 통찰을 만들어내는 살아있는 지식 네트워크를 구축하고자 합니다.

이번주는 독서노트를 옮기고
마인드 맵 플러그인을 활용해서
내용을 정리하는 것 까지 해보기로 했습니다.

진행 방법

*스마트 컴포져 사용방법이나, API 기입방법은 스터디 영상을 참고하시면 좋습니다.

  1. 기본 도구 : 옵시디언

  1. 사용 플러그인 : 마인드맵, 스마트 컴포져

    마인드맵 애플리케이션 스크린샷

스마트 작성기 페이지의 스크린샷

  1. 사용 API : 클로드 소넷

  1. 방법

    1. 우선 노션의 독서노트를 복사해 옵시디언으로 옮겨줬습니다.

      한국어 웹사이트 스크린샷

b. 매번 똑같은 프롬프트를 치기 귀찮으니 딸깍만 할 수 있도록, 프롬프트를 문서로 만들어서 인용할 수 있도록 했습니다.

입력: "독서노트 문서"

프롬프트: "위 독서노트에서 다음을 분석해주세요:
1. 핵심 키워드 3-4개 추출
2. 다른 책과 연결할 수 있는 주요 개념들
3. 저자의 주요 프레임워크나 시스템

결과는 다음 형식으로 정리해주세요:
- 키워드: [키워드1, 키워드2, 키워드3]
- 연결 가능 개념: [개념 리스트]
- 프레임워크: [프레임워크 설명]"

c. 그러면 아래처럼 호출만 하면 바로 분석내용을 정리해줍니다.

한국어 웹사이트의 스크린샷

d. cntl+p를 눌러 Mind Map : Preview the current note as a Mind Map을 실행합니다.

항목 목록을 보여주는 Google 검색 페이지의 스크린샷

e. 이런식으로 마인드맵화 된 것을 볼 수 있습니다.

한국 컴퓨터 화면의 스크린샷

결과와 배운 점

13
6개의 답글

👉 이 게시글도 읽어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