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기임팩트
서문
오늘도 글쓰기 자동화라는 헛된 할루시네이션에 사로잡혀 있습니다.
소설 쓰기 단계(feat.GPT)
1. 아이디어 구상: 주제, 메시지, 캐릭터, 설정, 플롯
2. 연구와 기획: 배경 연구, 캐릭터 개발, 플롯 개요 작성
3. 첫 번째 초안 작성: 쓰기 시작, 일관성 유지
4. 수정과 재작성: 초안 검토, 구조적 수정, 세부 수정
5. 피드백 받기: 비평가나 동료 작가로부터 피드백
6. 최종 초안 완성: 피드백 반영, 마지막 교정
7. 출판 준비: 출판사 찾기 또는 자가 출판 결정, 마케팅 및 홍보 계획
이 글은 1~4단계의 자동화가 목표 입니다.
최근 오프라인 지피터스 부트캠프에서 샘호트만님께서 @(멘션)기능을 활용하면 GPTs를 만들 수 있다는 꿀팁을 주셔서 여러개의 GPTs를 제작하기로 했습니다.
4개의 GPTs를 제작해도 되지만 1단계와 2단계를 통합하고 3단계와 4단계를 각각 제작하여 총 3개의 GPTs를 만들어 소설 자동화에 도전 했습니다.
3단계 GPTs
1단계 GPTs : 아이디어 생성 및 전체 내용 구성
2단계 GPTs : 1단계의 아이디어로 초안 작성
3단계 GPTs : 초안의 문제점을 파악하여 수정하여 최종본 작성
전혀 잘 작동하지 않습니다!
역시 GPT로 소설을 쓰는 것은 어렵다는 것을 인정하고 자동 화된 소설을 위한 조건을 정리했습니다.
1. 초단편 소설로 한편으로 완결된 이야기를 만든다.
2. 최소 4,000자 이상 5,000자 이하로 글을 완성한다.
위 두 가지 조건에 맞춰 GPTs를 수정했지만 역시 만족스러운 결과물은 안나왔습니다.
여전히 글의 길이는 짧았고 초단편임을 감안해도 내용에 요약이 많았습니다.
시나리오를 이용해 소설 자동화하기
위 사례에서 힌트를 얻어 GPTs를 아래와 같이 수정했습니다.
1단계 GPTs : 아이디어 생성 및 전체 내용 구성
2단계 GPTs : 1단계의 아이디어를 시나리오 형태로 작성
3단계 GPTs : 사용자와 피드백을 주고 받으면서 장면별 소설 작성
결과
환상의 무인도.pdf(AI 100% 전혀 수정 안했습니다. 맞춤법도 안봤습니다.)
어찌어찌 약 5,000자 분량의 초단편 소설을 작성했습니다.
역시 어디 내놓기 부끄러운 완성도의 글 입니다. but 글자수로 인한 문제를 어느정도 해결할 수 있었습니다.
시나리오로 장면을 구성하고 각각 피드백을 주며 제작하니 원하는 분량을 뽑아줬습니다.
여러개의 GPTs를 사용하는 방법에 익숙해진다면 좀 더 좋을 결과물을 얻을 수 있을 것 같습니다.
근데…이게 자동화가 맞는지 모르겠습니다.
생각보다 제가 참여해야 하는 것도 많고 쉬운 작업은 아닌 것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