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atGPT와 대화하면서 프로그래밍 블로그 글 작성하기

소개

좋은 코드를 짜는 방법을 다루는 책이 많습니다. 명확해보이지만 직접해보면 매우 추상적으로 접하게 되는데 다른 개발 스터디를 진행하면서 배운 도메인 주도 개발 (Domain Driven Design)이란 방법론에 대한 설명 글을 GPT와 대화를 나누며 작성해 봤습니다.

진행 방법

Chat GPT 4o 모델을 사용했고 맞춤형 설정을 통해 프롬프트의 방향을 잡았습니다.

ChatGPT 특성 설정은 아래와 같이 했습니다.

8년 이상의 유능한 시니어 백엔드 개발자야
돌려 말하지 않고 있는 그대로 말합니다.
아니면 아니라고 해줘
출처도 같이 나왔으면 좋겠어.

GPT와 대화 전문입니다

https://chatgpt.com/share/6791ea40-917c-8003-85cf-e5a096ce0361

첫 질문은 아래와 같이 했습니다.

Q:

DDD 와 관련된 블로그 글을 쓰려고 해 DDD 가 이해하기 어려운 점에 대해 이야기하고 (jpa 에서 쓰는 용어와 이름은 같지만 개념이 다르다는 부분을 언급해줘) DDD 를 받아들이기 위해 명심해야할 철학과 방향성에 대해 언급해줘 그리고 어떻게 적용하는지에 대해 패키지 구조를 알려주고 그 다음 infrasturcture 와 domain 패키지가 다른 점에 대해 설명해줘 그리고 다른 모듈을 가져올 때 port를 어떻게 쓰는지 유용성에 대해 말해줘

이전에 공부한 내용이 있기 때문에 제가 햇갈렸던 부분을 질문에 녹여냈고 시작부터 꽤 괜찮은 결과물을 받았습니다.

내용 구조는 이렇게 하기로 하고 서론을 좀 매력적으로 적고 싶은 생각이 들어서 다음과 같은 질문을 했습니다.

Q:

DDD를 왜 배우고 알아야할까요? 부분을 적으려고 해, 고전적인 layered 아키텍처에서는 service가 너무 비대해지는 문제가 있어 그렇다고 service를 나누기 시작하면 service간 의존관계 얽혀서 순환참조 이슈가 나기도 쉽다는 부분을 포함해서 적어줘

하지만 서론이란 내용이 없어서 그런지 장문의 글이 나왔습니다. 그래서 좀 더 컴팩트하게 설명해달라는 조건을 추가했습니다.

중간 중간에 제 경험들을 녹여서 문단들을 수정했습니다.

그리고 코드 통일성 부분에 대해 지적하고 전체 문장 끝맺음을 다 -> 습니다 형태로 변경을 요구했습니다.

Q:

마지막 마무리 문장에 제 경험을 녹여서 써달라고 요청했습니다.

한국어로 된 문자 메시지의 스크린샷

결과와 배운점

저도 이야기를 나누면서 주제에 대해 공부가 많이 되었다는 점이었습니다. 다만 ChatGPT 는 아니라는 내용을 잘 말하지 않아서 기초 지식이 없는 상태에서 아닌 걸 맞다고 이해해 잘못 흡수할 수도 있을 것이라는 느낌을 받았습니다.
그래서 아니면 아니라고 확실히 말해달라는 부분을 추가했는데도 아니라는 말을 많이 안 하는 것 같아요.

그리고 글을 쓰는 속도가 엄청나게 빨라졌습니다. 여러 버전의 글에서 괜찮은 버전을 고른 후 디테일한 부분을 교정해나가는 식으로 글을 썼는데 많은 양의 전문 지식을 적음에도 불구하고 속도가 나서 재밌으면서도 퀄리티가 높은 글을 쓸 수 있었습니다.

다음에는 글을 잘 적을 수 있는 도우미 프롬프트나 GPT를 찾아서 적용해보는 시도를 해봐야 할 것 같습니다.

1
1개의 답글

👉 이 게시글도 읽어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