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록분석결과로 좋은 행동을 일으키려면?(CBT 접근방식과의 비교)

안녕하세요. 11기로 처음 GPTers 캠프에 참여하게 된 Mia로 두번째 사례를 올려봅니다.


1.상황 및 의도설명

1) ‘AI기록방 챌린지’로 일상생활을 기록하기 전에 저는 약간의 명상을 하며,

종이 다이어리에 감사일기(하루시작전/후)를 쓰고 있었어요

2) AI기록방에서 강조된 자신의 감정을 솔직하게 기록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1)의 습관을 지속하다보니, 명상 중 들은 아래 내용을 바탕으로 생활하고 있었던 거 같아요. 그러다 보니, 좋은 행동을 하도록 내 삶의 주체성을 가지고 만들어 나가는데 활용할 수 있 수도 있겠다고 생각했어요

(GPT가 이걸 '인지행동치료(Cognitive Behavioral Therapy, CBT)'에서 접근하는 방식이라고 알려줬네요)

"생각이 감정을 일으키고, 감정이 행동을 일으킨다"

"나에겐 내가 가지고 싶은 믿음을 선택할 자유가 있다"


2.얻고자 한 것

1) 강의 중 나온 것 처럼 옵시디언에서 작성한 기록을 활용하고 패턴화 시키고 싶었음

( 몇년동안 작성한 다이어리를 디지털로 옮기고 싶은 욕망이 있었지만 😞)

2) 나에게 긍정적인 행동의 변화를 더 많이 일으키도록 기록을 활용하고 싶었음


3.사용한 툴

- ChatGPT 4o

(다른 AI 툴로도 하고 싶었으나, 데이터를 처리한 결과의 신빙도가 떨어져 좌절.

비교할 수 있도록 다시 시도할 것임)


4.시도방법

- AI기록 챌린지를 통해서 ESM 방식으로 9일치 기록을 옵시디언에서 작성함

- 1주차 사용한 프롬포트에서 옵시디언파일로 분석하도록 파일형태에 대한 설명을

수정해서 진행

- 좋은 행동을 유발할 수 있는 생각과 감정을 알고 싶다는 의도를 설명하고 나의 생활에 도움이 되도록 질의


5. 주요 진행 과정

1) 일자별 여러개의 옵시디언 파일을 활용하도록 압축파일로 첨부하고, 간단히 설명

결과분석) 압축파일의 기록이 일자별로 쫘악~~올라오기 시작합니다. 요청한대로 진단과 조언도 해주고요 (쁘듯해짐)



/의문점 및 해결시도) 어라? 올라온 기록을 보니 전 해당일자에 한적이 없는 기록도 있고, 깨알같이 작성한 리얼한 생각기록이 올라오지 않습니다.

이틀 치 비교하다 아닌거 같아서 약간의 불만(?)과 함께 다시 한번 #Log에 해당하는 파일을 대화식으로 설명합니다. 여러번 시도하지만 마찬가지로 기록이 빠져있거나, 다르게 적혀 올라옵니다.


2) 조금 더 파일형태를 설명하고 일자별 파일을 올려도 마찬가지입니다


3) 일자별 틀린 걸 오목조목 짚어내기 시작. 혼내기도 하고, 달래기도 하고...



저도 마찬가지로 기록을 정확하게 읽기 위해 해줄 것이 없는지 거꾸로 질의도 해봅니다.

급기어 GPT도 사과를 하기 시작합니다. 정확한 분석을 위한 결국은 그냥 텍스트로 붙였습니다. (비교 안해봤으면 모르고 그냥 지나갔을 꺼여요)



4)ESM방식 분석결과를 받았으니, 이번에는 제가 의도했던 생각과 감정이 행동을 일으키는 방식의 의견을 물어봤어요 친절하게 아래처럼 생각하는 거처럼 이야기해주네요. 그리고 그 방식으로 친절히 다시 기록을 풀어줍니다.


/


5) 기록만 봐서는 정확한 차이점이 안 와닿아 ESM방식과 비교해 도표로 설명해 달라고 했어요. 도표로 보니까 이해가 좀 되네요




6) 결과적으로 좋은 생각과 감정은 대동소이하지만, 긍정적인 행동을 유발하기에는 더 도움되는 답변이였습니다.

(이하 ESM방식)


(이하 CBT 방식)


7) 그래프로 좋은 감정과 생각 Top을 뽑아 일자별 빈도를 그려달라고 했는데 실패했네요

대신 데이터와 초라한(?) 막대그래프를 주고 상상해 보라고 하네요




5.결론/ 느낀점

- 원하는 의도에 맞는 데이터를 확보할 있다면 활용은 무궁무진 하겠음

- AI도구에서 단순한 데이터수집이라도 믿으면 안되겠음

-> 사람에게는 간단하게 보여도 제대로 안할 수 있음.

(아직 원인을 모르겠어요 한국어라 그런지, AI도구도 컨디션이 좋아야 하는건지)

-> 데이터 수집의 정확도를 높일 수 있는 방법을 알아야 겠음

한줄요약 : 역시나 원하는 결과를 얻기 위하여 (역시나) 전략적인 메모관리와 필요한 도구를 알고 활용할 수 있는 단계로 레벨업을 계속 되어야 해요

#11기데이터기록

3
1개의 답글

👉 이 게시글도 읽어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