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코드 AI설계 앱 IMZA로 만든 나만의 고민상담 이메일봇 : 대나무숲

안녕하세요!
IMZA AI를 만들고 있는 스티브입니다.

심리상담사에게 상담을 받을만큼 심각하진 않고, 다른 사람에게 나의 속마음을 들키고 싶지는 않는데 한편으로 내 마음을 털어놓고 대화하고 싶을 때가 있잖아요. 내 안에 이미 답이 어느정도 있기도 하지만, 누군가와 대화를 나눈다면 더 쉽게 풀어질 것 같은 마음 속 고민을 부담없이 털어놓을 수 AI앱을 만들어보았습니다.

고민을 상담하는 GPTs를 만들어서 GPTs챗봇과 대화를 할 수도 있지만, 이메일로 답장을 받으면 친구하고 편지를 주고받으며 위안받는 감성이 더 있을 것 같아요. 그리고, 나만 보는 이메일로 고민과 대화를 기록해서 나중에 다시 열어볼 수 있다는 점도 이메일 형태의 봇이 유용할 거란 생각을 했습니다.

그래서 IMZA AI의 이메일 배포 기능을 활용해서 고민을 메일로 보내면, 친구처럼 답해주는 고민상담 이메일봇을 만들어 보았습니다.

IMZA AI를 통한 고민상담 이메일봇 개발 과정


  1. IMZA AI 서비스에 로그인해서 새 어시스턴트 만들기
    우선, 처음에 서비스에 진입하면 아래와 같이 어시스턴트 목록이 뜨고 새로 만들기 버튼을 누르면 챗봇을 만들 수 있는 대시보드 화면이 나옵니다.


  2. 어시스턴트 이름설정 - 가운데 상단에 “고민상담 이메일봇 - 대나무숲”이라고 프로젝트 명을 입력하고, LLM Block의 타이틀도 “고민상담 이메일봇 - 대나무숲”이라고 작성했어요.


  3. 새 프롬프트 생성 - “고민상담 이메일봇”이 구동할 수 있게 하는 프롬프트를 새로 하나 만듭니다. 일단 이름만 넣었는데, 프롬프트를 작성하려니 좀 막막하네요.


  1. 프롬프트 작성 - 복잡하게 생각하지 않고 되도록 간단하게 역할과 지침을 작성했습니다.


  1. LLM 블록에 프롬프트 넣기 - My prompts에 생성된 고민상담 이메일봇 프롬프트를 드래그앤 드랍으로 LLM Block에 탑재했어요


  1. LLM 모델 선택 - LLM모델도 드래그앤 드랍으로 넣어줍니다. GPT 최신버젼인 GPT-4o를 넣겠습니다.


7. 테스트 해보기

a.오른쪽 상단의 Test버튼을 눌러서 제대로 작동하는지 테스트해봅니다.


테스트버튼을 누르면 테스트를 해볼 수 있는 라이브 화면으로 전환이 됩니다.

b. 오른쪽 패널의 Interaction Tester에 테스트할 Input을 넣습니다.

”집에 돌아와보니 우리집 애완견 몰리가 내가 없을 때 침대에 똥을 싸놨어. 이미 사태가 벌어진 이후라서 몰리한테 혼을 내면 이해를 못할 것 같고. 종종 이런 일이 반복되니까 힘들게 일하고 집에 돌아왔는데 똥 치우려니 넘 귀찮고 몰리한테 개킹받아. ”


c.테스트 환경에서 아래와 같이 답변이 잘 출력됩니다.

친구야, 정말 힘들었겠다. 일하느라 피곤한데 집에 돌아와서 그런 상황을 마주하면 진짜 스트레스 받을 수밖에 없지. 몰리는 의도한 건 아닐 테지만 말이야.

몰리가 왜 그런 행동을 하는지 한번 생각해보면 좋겠어. 혹시 스트레스를 받고 있는 건 아닐까? 아니면 혼자 있는 시간이 길어서 외로움을 느끼고 있다던가. 만약 그렇다면 조금 더 산책 시간을 늘리거나, 장난감을 더 들여놓는 것도 한 방법이겠지.

물론, 이런 일이 반복되면 정말 힘들거야. 하지만 몰리도 사랑받고 있음을 느끼게 해주는 게 중요해. 뻔한 얘기겠지만, 정말로 훈련이 필요하거나 전문가의 도움을 받을 수도 있어. 우리 몰리와 너, 둘 다 스레스 없는 행복한 시간을 보냈으면 좋겠다.

항상 널 응원하는 친구로서, 오늘 하루도 너무 고생 많았어, 친구야. 필요한 게 있으면 언제든 얘기해!

8. Claude 3 Sonnet과 GPT 4o와 비교하기 위해서 다른 LLM block 만들기

GPT 4o 답변도 나쁘지 않았지만, 한국어 답변에서 Claude 3가 자연스러운 경향이 있어서 같은 Prompt에 Claude 3를 사용하면 어떤 결과가 나오는지 확인하기 위해서 Claude 3 Sonnet으로 구동되는 LLM Block을 만들고 플로우를 설정했어요.


아까와 완전히 동일한 질문을 던졌는데, 다른 답변이 나왔습니다.


친구야, 몰리가 침대에 똥을 싼 것에 대해 화가 나고 짜증 날 만해. 힘들게 일하고 집에 돌아왔는데 그런 모습을 보면 정말 속상하고 스트레스 받을 거야. 특히 종종 반복되는 일이라니 더욱 그렇겠어.

하지만 우리 몰리는 너를 사랑하고 너에게 의지하는 소중한 가족이잖아. 분명 몰리에게도 그럴만한 이유가 있을 거야. 갑자기 배가 아팠을 수도 있고, 너무 오래 참다가 결국 실수로 그랬을 수도 있겠지.

지금 당장은 힘들겠지만 우선은 침착하게 대처하는 게 좋을 것 같아. 너무 감정적으로 대하기보다는 이런 일이 반복되지 않도록 훈련을 시키는 방법을 찾아보는 건 어떨까? 전문가에게 조언을 구하는 것도 좋겠어.

몰리는 너의 가장 친한 친구이자 가족이니까, 함께 행복하게 지낼 수 있도록 노력해보자. 힘들 때도 있겠지만 서로 이해하고 사랑하며 함께 극복해나가면 더 좋은 추억을 많이 쌓을 수 있을 거야. 화이팅!


  1. 배포하기

GPT 4o 와 Claude 3 Sonnet을 비교했을 때 답변 품질은 유사한데 Cluade 3의 답변 톤이 더 마음에 들었습니다. 응답 속도면에서는 GPT 4o가 훨씬 좋았는데요(Claude 3 25.761s / GPT 4o 3.965s). 하지만, 편지를 주고받는 감성을 위해 이메일봇을 만들 것이 때문에 Claude 3로 구동하는 LLM Block을 채택해서 배포하기로 했습니다. 웹챗이라면 빠른 답변이 더 중요하겠지만, 이메일로 정서적 소통을 하는 봇이니까 톤을 더 중요시했어요.

a.대시보드 오른쪽 상단에 배포하기 버튼을 누르면 내가 만든 챗봇을 배포할 수 있습니다. 배포하기 버튼을 눌렀을 때 나오는 Create New Deployment 버튼을 눌러줍니다



b.배포형태를 IMZA Email Bot으로 하고, 이메일봇의 이름을 “고민상담 대나무숲”으로 하겠습니다.


c.배포 후에 생성된 이메일 주소를 확인합니다. [email protected]




메일봇에 이메일 보내보기


  1. 배포 후 생성된 이메일봇([email protected]) 주소로 아까 테스트할 때 넣었던 고민 내용을 본문으로 해서 메일을 발송합니다.


  1. 이메일 수취확인

1분 후에 이메일로 회신이 왔습니다. 몰리도 의도적으로 그런건 아니었을텐데 답변을 받으니 위안이 좀 되네요.

(몰리 사랑해 ❤️ ㅠㅜ)


  1. 두번째 답장 수취

첫번째로 온 답장에 자연스럽게 두번째 답장을 하고 싶어서 메시지를 더 보내봤습니다. 첫번째 질문과 이메일봇의 답변 맥락을 반영해서 답변이 돌아옵니다.


  1. 세번째 답장 수취

멀티턴이 지원되는지 확인하기 위해서 한 번 더 메시지를 보냈는데, 메일 대화맥락이 잘 유지되었습니다.




일단은 간단히 테스트하기 위해서 복잡한 답변 로직이 없는 이메일봇을 만들어봤습니다.

다음에는 전문적인 심리학, 뇌과학 지식을 기반으로 뼈때리는 조언만 해주는 MBTI 극T형 이메일봇,
내가 받은 장문의 이메일을 회람(Forward)해서 언어 번역을 하거나 요약 보고서를 작성해서 회신하는 이메일봇,
RSS 피드로 들어온 이메일을 회람해서 요약정리받는 이메일봇도 만들어 볼 생각입니다.

- 이메일 고민상담봇 대나무숲에 이메일 보내보기: [email protected]
- 내가 받은 이메일을 회람하면 CEO 보고서 형태로 한국어 요약보고서 보내주는 이메일봇 사례
- IMZA AI로 나만의 AI 서비스 만들어보기: https://IMZA.AI

5
4개의 답글

👉 이 게시글도 읽어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