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3년 7월 8일 오전 6시, 참여하고 있는 오픈채팅방 곳곳에서 코드 인터프리터가 활성화 되었다는 메시지를 보고
혹시 나도..? 하는 마음에 컴퓨터 앞에 앉아 ChatGPT에 접속해봤어요.
(코드 인터프리터를 5월 8일부터 소식을 들어서 기대하고 있었거든요 ㅋㅋㅋ)
과연..? 😍
위와 같이 Beta features에 Code interpreter가 활성화 된 것을 볼 수 있었습니다.
커뮤니티의 @미또님의 응원에 힘입어.. 코드 인터프리터를 본격적으로 뜯어봤어요.
코드 인터프리터는 간단히 설명하면 사용자가 원하는 것을 요청했을 때,
기존에는 AI가 텍스트로 이렇게,저렇게 하세요. 또는 코드를 작성해드릴께요. 이정도까지만 가능했다면
코드 인터프리터는 이제 사용자가 원하는 것을 어떻게 목표 달성할 것인지 생각후에 코드를 작성해서 (도구사용) 결과까지 도출해주는 개념이라고 볼 수 있어요.
코드 인터프리터를 통해 이제는 사용자가 코딩을 몰라도 자연어로 코드를 사용한 결과를 얻을 수 있게 되는거에요.
코드 인터프리터는 시각화에 강점을 가지고 있는데, 저는 그래프보다는
지도 + 데이터가 합쳐 진 인포그래픽을 만들어 보고 싶었어요!
그래서 코드 인터프리터에게 지도를 그려달라는 다양한 시도를 해봤고, 그중 성공적이였던 사례를 공유합니다!
GPT가 Korea_shapefile.shp라는 파일을 요청하더라구요. (자기는 인터넷에 연결될 수 없으니, 가져와달라고,,)
구글에서 Korea_shapefile.shp 을 검색하자 바로 관련데이터를 얻을 수 있었어요.
이 데이터를 넣으니 아래와 같이 대한민국 행정구역이 각각 색깔로 구별된 지도를 얻을 수 있었습니다!
(이제 이 다음 액션으로 행정구역 별 통계데이터를 제공하면 지도+데이터 인포그래픽을 만들 수 있어요.)
위 사례의 chat history : https://chat.openai.com/share/f432a6cd-50f7-4137-a2cf-7ba9a6608731
다른 사례로 사고발생 GPS 좌표, 상어의 공격으로 인한 사망여부(가짜데이터) 등의 데이터가 담긴 csv파일을 코드 인터프리터에 업로드하고 지도를 사용해서 시각화를 해달라고 했어요!
위와 같이 세계지도를 보여주었어요.
@미또님의 아이디어를 듣고 바로 GPT에게 요청을 그대로 전달해봤어요!
다음과 같이 지도를 확대해주었습니다 ㅎㅎㅎ
위 사례의 chat history : https://chat.openai.com/share/ec6acc66-594f-41b6-9e45-e230d9d05b51
마지막 -
제 프로필 사진을 ASCII art 로 바꿔달라고 했더니 위처럼 바꿔줬어요. ^^
(https://chat.openai.com/share/b0bfd8c0-9bc7-4573-b5b0-118edb2f9380)
앞으로도 재미있는 사례를 발견한다면 또 공유하겠습니다~!!
글쓰기를 독려해주신 @Ditto 님 감사합니다 ㅎㅎ
글쓰기 습관화가 안돼있어서 잘 안쓰는데 한번 써보니 또 쓸만하기도 하네요.. 습관화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ㅋㅋㅋ