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터디 3기] 웹사이트 제작시 Airtable 활용한 ChatGPT 콘텐츠 업로드 자동화

안녕하세요
지난 주 토요일 3기 스터디 발표 내용 공유드립니다.

주제는 다른 분들도 시도해보신 관계로 조금 식상하긴 하지만,
ChatGPT 활용한 정보 제공 및 수익화 웹사이트구요,
노코드 툴로 제작했고, 프론트는 Softr이라는 웹빌더를, 백엔드 Airtable을 사용했습니다.

ChatGPT 아웃풋을 가져오기 위해, Airtable 확장프로그램인 Data fetcher
을 활용했는데, 사용해보니 괜찮은 거 같아 사례를 공유드립니다.

우선 이 확장프로그램을 사용하게된 계기는,
기존에 제가 알고 있던 방식이 자동화가 되지 않거나, 외부 프로그램이라 불안정하다는 이유입니다.  

  1.  ChatGPT for Sheets : 구글시트를 위한 챗지피티 확장프로그램으로, 구글시트로 불러온 챗지피티의 아웃풋을 복사하여 데이터베이스에 붙여넣어줘야하는 번거로움이 있음.(자동화 불가능)
  2. 외부 자동화 프로그램 : Zapier, Make와 같은 유명한 자동화 프로그램은 외부프로그램이므로, 사용 사례들을 보니 불안정한 문제가 있어보임. (자동화 가능하나 불안정성 내포)

그래서 Airtable의 확장프로그램 검색을 해보니 Datafecher이라고 하는 Airtable 확장프로그램이 존재했습니다. 코드를 몰라도 설치 후 간단한 가이드만 따라하면 ChatGPT 아웃풋을 Airtable로 손쉽게 불러오는 것이 가능하고, 유료긴 하지만 콘텐츠 예약 배포 자동화도 가능합니다. ( 물론, chatgpt api의 응답속도가 늦은 문제로 오류가 나긴 합니다.)

관심있는 분들은 아래 링크를 참조해주시기 바랍니다. 

스터디 발표 자료 링크 

결과물은 메타버스 플랫폼 정보 제공사이트이구요 아래는 제작한 사이트 주소 링크입니다.
https://www.metaranknow.com/

참고로,
노코드툴로 웹/앱 서비스를 제작하시려는 분들에게 Airtable은 탄탄한 커뮤니티와 확장성을 가진 관계로 강추할만한 데이터베이스툴인 거 같습니다. 

현재도 Data Fetcher 뿐만 아니라 ChatGPT API를 활용한 다양한 앱들과 통합이 되고 있는 상황이라, 저같이 비개발자이시고, 웹/앱 서비스를 생각하시는 분들은 Airtable은 충분히 배워보실 가치가 있을 거 같습니다. 
이상입니다. 
6
2개의 답글

👉 이 게시글도 읽어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