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번에는 아이디어 도출하는 과정과 현재 나와있는 운동 앱들을 분석해 보았습니다.
이번에 그 아이디어를 정리하며 ChatGPT를 통한 운동 루틴 추천을 받은 것을 정리해 보려고 합니다.
1. 아이디어 정리
2. ChatGPT 운동 루틴 추천
3. ChatGPT 운동 루틴 분석 및 피드백
이렇게 진행해 보려고 합니다.
첫 번째로 저번에 내 서비스를 판매할 대상을 정하고 고객들이 원하는 것들을 정리한 결과 제가 판매하고 싶은 서비스는 AI를 통한 맞춤 운동을 제공하려고 합니다.
고객이 원하고 고객에게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고객님의 정보가 필요하기에 처음에 그 정보들을 조사하려고 합니다.
저번에 이야기 했듯 저는 보디빌딩 중심으로 루틴을 만들 예정입니다.
1. 운동을 잘하는지 못하는지에 대한 파악
운동을 잘 모르는 초급자 / 운동을 어느정도 아는 중급자 / 운동을 잘하는 상급자로 나누어 줍니다.
2. 운동 목적을 파악
사람마다 운동 목적이 다르기에 재활, 체중증가, 체중감량, 신체교정, 바디프로필, 대회준비등의 목적을 파악해 줍니다.
물론 이에 따른 세부적인 질문—EX) 재활 하려는 부위—등을 파악할 예정입니다.
3.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 받을 것인지
만약 세세한 설문조사를 하는게 싫거나 귀찮으신 분들이 있을 수 있기에 세세하지는 못하지만 대략적인 가이드라인을 제공할 수 있도록 도와드릴 예정입니다.
4. 맞춤형 서비스를 위한 정보 수집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 받기 위해서는 InBody의 데이터, 하루의 식사 횟수 및 식사 시간 (Ex. 아침 8시, 점심 12시, 저녁 6시30분), 먹는 식단(탄단지 비율), 자는 시간(Ex. 새벽 1시에 평균6시간 수면), 하루 물 마시는 양, 운동의 빈도와 시간과 강도, 그 날의 컨디션등에 대한 정보를 얻도록 합니다.
5. 고객이 원하는 운동 순서에 따른 루틴 생성
고객님께서 가슴, 등, 이두, 삼두, 어깨, 하체등 먼저 하고싶은 부위에 맞춰서 루틴을 생성해 줍니다.
이 순서를 정리한 표입니다.
두 번째 이 순서를 통해 얻은 정보를 ChatGPT에 대입하여 맞형 춤루틴을 제공할 수 있는지 한번 실험해 보았습니다.
이렇게 루틴을 제공 받을 수 있었습니다. 아직은 재활이나 다이어트같이 목적에 맞춘 루틴을 제공하기 힘들어 부상당하지 않았다는 가정하에 루틴을 만들었다는 점을 참고 부탁드립니다.
세 번째로 이 루틴을 분석 및 피드백 해보았습니다.
• ChatGPT에게 받은 루틴들은 기본인 워밍업(Warming Up) 조차 지키지 않으며 루틴을 추천하고 있었습니다. 워밍업(Warming Up)은 운동을 시작하기 위해 무조건 가지고 가야할 루틴이라고 말해도 과언이 아닙니다. 왜냐하면 워밍업을 함을 통해 몸에 열을 올려 수행능력을 올려주며 우리 몸이 운동하기에 불필요한 폐기물을 제거해주고 몸에 열을 통해 우리 몸이 부상이 입지 않도록 도와주기에 꼭 필요한 순서중 하나입니다.
• 혈류를 모아주어 근육을 전체적으로 활성화 시켜주는 단계를 통해 더 높은 수행능력을 올려주는 과정을 추가하지 않았습니다.
• 세트수나 갯수가 정해져 있다 위에서 주로 4세트 8~12회로 정해져 있지만 사실 하체같은 경우는 상체에 비해 쉽게 지치지 않기에 12~16회를 하는것도 좋아보입니다. 게다가 고중량을 하게 되면 힘이 많이 빠지는 것을 고려해 이후 세트의 갯수 조정이 필요해 보입니다.
결론
ChatGPT가 생각보다 운동 루틴에 대한 이해도가 있었지만 세세한 부분까지는 아직 제공해주기 어려워 보입니다. 조금 더 운동에 대한 정보를 주며 방향성을 잡아주면 가능할 것 같아보이네요.
다음에는 식단 및 정보를 더 주어 개선된 진행상황을 보여드리도록 하겠습니다 ㅎㅎ