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태현
김태현
Admin
🎻 루키 파트너

오픈AI의 GPTs 봇으로 얼마나 벌수 있을까?

아마 초반에는 GPTs 봇들이 모바일 처음 나왔을 때의 방구소리앱, 백그라운드 바꾸기앱 등등이 나오겠지만, 분명 대박나는 몇 가지 분야가 나오기 시작할거 같습니다.

모바일 때야, 스타트업 - 개발자 디자이너 PM 다 모여야 하나 앱 만들고 했지만, 이번에는 개인들이 혼자서 모든 역할을 할 수 있으니, 정말 이번에 부수입 배터지는 분들도 나올 수 있을 것 같아요.

OpenAI의 9월 앱스토어 구독 수익이 약 30억이고, Web기반의 가입자가 10배는 될 거 같으니, 연간 매출은 아주 아주 대략 3천억은 될거 같구요, 이 구독료에서 수익을 나눌테니 5% 정도 내어 준다고 치면, 150억원, 내년에는 10배 더 시장 커진다면 (구독자 늘어 난다면), 1,500억원, 계속 성장한다면, 조 단위의 금액을 나눠줄거 같습니다.

대박 말고 중박 정도만 하면, 전체 나눠주는 금액의 0.01% 정도? 그래도 천만원 단위 될거 같아요. 받는게 0.1% 정도 된다면, 억대 패시브 연봉 되겠네요.

왜 패시브 연봉이 되냐면, 이게 소프트웨어 개발과는 다르게, 챗봇은 유지보수가 거의 안들고, 아마도 OpenAI 등에서 제공하는 도구들이 계속 나와도, 그걸 더 쓸 수 있는 자연어 명령만 추가하면 되니까요.

그리고, 초반에 진입하면 경쟁이 덜해서, 아마 그 GPT봇만 유명해 질거고 비슷한게 나와도 고객을 뺏기가 쉽지 않을 거구요, 그래서 초반 러시에서 몇명의 승자는 분명 나올것 같습니다.

부수입, 패시브인컴 — 이런데 거부감이 저도 있는데요, 이번 챗봇을 보고는 예외적인 상황이 발생할 수 있겠군 — 싶어요.

이 모든게 가능하게 된 것은 챗지피티가 유료 모델을 가지고 있다는 겁니다. 다른 대부분의 AI에 껍데기만 붙여 놓은 Wrapper 앱들은 이렇게 과금하기가 쉽지 않은데, 오픈AI는 챗지피티 구독료 수입이 있으니, 이걸 가지고 나눠줄 수 있는 여지가 생기는게 정말 큰 것 같아요.

사실 GPTs 이거 그냥 API 가져다 금방 만들 수 있는 챗봇 빌더입니다. 하지만, 오픈AI의 최신 기술 모두를 쓸 수 있다는 점, 그리고 수익을 분배 받을 수 있다는 점에서 정말 큰 차별화가 되어서, 당분간 character.ai 이런 곳과 비슷한 AI 앱이 나오기가 어려울 것 같아요.

이런 GPTs 봇이 과연 그러면 계속 경쟁력을 가질 수 있는가 -- 하는 생각 또한 들었는데요, 제가 프롬프트 지니 만들면서 느낀 건, 이런 경우는 "작지만 필수적인 문제를 해결하면 자연히 쌓이게 되는 브랜드"가 정말 큰 역할을 하더라구요.

따지고 보면, 프롬프트 지니가 잘 했던건 정말 작은 문제를 잘 해결해 주는 것 (영문으로 쓰려 할 때 번역기 왔다 갔다 해야 하는 문제를 원클릭으로 해결한 것) 밖에 없었거든요. 근데 그게 원채 챗지피티 나온 초기라서 프롬프트 지니가 온 유튜브 영상에 소개되고, 정부 소개 책자에도 나오고 하니깐 막 지 혼자 미친듯이 성장하더라구요. 프롬프트 지니 앱의 기능은 쉽게 복사해서 만들 수 있었지만, 온갖 유튜브와 매체에 소개된 인터넷의 글들은 복사할 수 없으니까요.

9
2개의 답글

👉 이 게시글도 읽어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