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터디5기)의사결정 교육에서 Chat gpt 활용

  1. 배경

저는 기업교육 강의를 하고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기업의 교육담당자 혹은 연수원의 요청에 의해 고객사의 직급별 리더십이나 역량관련 문제해결, 기획 등의 분야를 강의 하고 있는데 Chat-gpt 도입 이후 고민이 많습니다.

기존 교육에 어떻게 접목을 시킬 것인가? 어느정도 어떻게 적용해야 인간과 AI의 적절한 수준에서 효율적인 교육을 만들수 있을까? 현장에서 쉽지 않습니다.

GPT를 잘 사용하는 방법을 가르치는 것은 제 역할이 아니라고 생각했기에 제가 포인트로 잡은 것은 우선은 전통적 방식으로 하던대로 강의를 진행하고 맨 마지막에 그동안 해왔던 부분을 CHAT GPT로 하면 어떻게 될까? 를 보여주는 방식으로 나머지 시간을 진행했습니다. 그랬더니 상당히 교육생들이나 교육담당자들이 좋아하더군요^^

그냥 CHAT GPT만 보여줬으면 그저 신기하다고 생각하고 말았을텐데 동일한 내용을 전통적 방식으로 진행하면서 컨텐츠를 학습하고 나서 이를 토대로 그 내용을 CHAT GPT의 적용을 제시하니 CHAT GPT가 잘못 대답했을때 인지하기 쉽고, 기존 지식을 가지고 좀더 구조적으로 사용할수 있어서 반응이 좋았던 것 같습니다.


  1. 적용과정

주로 적용하는 강의분야는 문제해결, 기획력, 의사결정 부분입니다. 지난주 켈로크 코리아 라는 회사에 리더급을 대상으로 의사결정 과정 6시간 교육을 진행했습니다.

의사결정에 관한 심리학적 고찰, 의사결정 프로세스, 이슈정리, 원인분석, 선택안 나열, 효과성과 실현가능성에 의한 판단 등을 실습하고 학습하면서 다양한 토론과 피드백을 5시간 정도 진행했습니다. 그리고 맨 마지막 시간에 그날 주제가 되었던 현재 켈로그 코리아의 홍보모델을 교체하는 것에 관한 가상의 의사결정을 CHAT - GPT로 하는 과정을 설명했습니다.


  1. 교육내용

1) 역할설정 : 먼저 CHAT GPT의 역할을 설정했습니다

2) 그리고 핵심 요청사항을 제시했습니다.

이렇게 프롬프트를 정리하는데 정말 많은 시간이 소요되었습니다. 이 과정을 간단히 설명 드리면 먼저 최종 결정 사항인 켈로그 코리아의 현재 광고모델 배우’이제훈’을 방송인’유재석’으로 교체하는게 적합한가? 라는 질문인데 이를 판단하기 위해서 CHAT GPT와 꽤 많은 시간을 티키타카를 해야했습니다.

광고모델을 판단하는데 브랜드 이미지, 주요시장대상, 모델교체 목적 이 세가지 요소가 필요하다고 확인하는 과정이 필요했고, 켈로크 코리아의 브랜드 이미지와 주요시장 대상을 정리하는 대화도 필요했습니다.

이를 통해 광고모델 교체를 위한 프롬프트를 정리할수 있었습니다.


3) 그러자 분석보고서가 나왔네요..

4) 결론이 좀 애매했습니다. 유재석으로 교체하라는 것인지? 아니며 기존 이제훈에 유재석을 추가하라는 것인지..

5) 기왕 결정되었으니 이제 추가적인 작업이 필요하겠죠?

6) 모델 선정한 김에 TV광고 스크립트도 만들었습니다.

7) 온라인 홍보카피도 ㅎㅎㅎ


  1. 결과와 느낀점

역시 질문은 프레임워크를 잘 짜서 구조적으로 물어봐야 답변도 깔끔하다는 것을 다시한번 확인한 시간이었습니다.

실무가 아니라 교육현장에서 의사결정과 그 이후 방법에 대한 소개 정도로 진행한 내용이었지만 분위기는 완전 압도되더군요.. 다들 당장 써봐야겠다면서 눈빛들이…

물론 이것은 실무로 치면 전체 그림의 아주 작은 일부의 스케치 정도를 CHAT GPT를 활용해서 어떻게 진행할 것인가를 보여준 사례였습니다.

이를 통해 교육생들이 자극을 받아 실무적으로 배운 내용과 CHAT GPT의 관련성을 활용해서 좀 더 생산성 있는 업무를 하는데 도움이 되기를 바랍니다.


이상 아주 소심한 챗지피티 사용 후기 였습니다. 감사합니다.

2
1개의 답글

👉 이 게시글도 읽어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