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답을 통한 사고 실험(1): ChatGPT 활용 사고력 교육

 안녕하세요. 저는 교육 전공자는 아니지만, AI를 활용한 교육과 소통에 관심이 있습니다. 아래 링크의 짧은 영상(약 2분)을 보고 오시면, 제가 추구하는 AI 활용 방향에 대해 이해하시기 수월할 것 같습니다.

AI 시대 살아남을 수 있는 방법?

 인공지능의 시대가 도래하면서 우리 사회에 혁명적인 변화가 일어나고 있습니다. 자동화와 첨단 머신러닝 기술은 산업을 변화시키고 고용 시장을 변화시키며 우리 삶의 거의 모든 측면에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 이러한 발전 속에서 저는 인간이라는 존재의 의미와 세상에서 우리의 역할, 그리고 AI가 지배하는 미래에서 우리가 어떻게 해야 살아남을 수 있을지 고민해보았습니다. 

 먼저, 비판적 사고가 필요합니다. AI는 방대한 양의 데이터를 분석하고 알고리즘을 기반으로 의사 결정을 내릴 수 있지만, 그 결정의 의미를 비판적으로 분석하거나 자신의 프로세스에 의문을 제기할 수는 없습니다. 반면에 인간은 의문을 제기하고, 분석하고, 현 상태에 도전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능력은 AI에 책임을 부여하고 인간의 가치와 윤리에 부합하도록 하는 데 매우 중요합니다.

 다음으로, 창의적 사고가 중요합니다. 인간은 틀에서 벗어나 사고하고 혁신하며 복잡한 문제에 대한 새로운 해결책을 제시할 수 있는 고유한 능력을 갖습니다. AI는 기존 정보를 기반으로 새로운 조합을 생성할 수 있지만, 진정한 의미의 창조 능력은 부족합니다. 이러한 인간의 창의력 능력은 AI 시대에도 계속해서 중요한 경쟁 우위가 될 것입니다.

 또한 윤리적 사고가 요구됩니다. 현재 AI는 도덕적 판단을 내리거나 윤리적 딜레마를 헤쳐나가는 능력이 부족합니다. 결정, 행동, 기술의 윤리적 함의를 숙고하는 인간의 능력은 AI의 책임감 있는 사용과 개발을 계속 이끌어줄 것입니다.

주체적 사고

 AI가 주도하는 세상에서는 이러한 주체적인 사고 능력이 가장 중요합니다. AI 시대는 상상 속 아이디어를 현실로 바꾸는 도구를 제공합니다. 대략적인 생각을 구체적인 기획으로 만들어 주며, 그것을 뒷받침할 근거와 구현할 코드조차 AI가 생성해냅니다. 그러니 우리는 그 상상의 출발점인 주체성과 사고력을 키워야 합니다. 그래서 저는 ChatGPT를 이용해서 이러한 능력을 기르는 방법에 대해 생각해보았습니다.

문답을 통한 사고 실험

 이 기획의 골자는 소크라테스의 산파법(문답법)입니다. GPT가 어떤 상황을 가정하고 그와 관련된 질문을 하면, 사용자는 답변에 대해 고민하여 자신만의 답을 찾아가는 식입니다. 여기서 중요한 것은, GPT는 질문을 할 뿐이라는 것입니다. 다양한 상황 속에서 다음을 상상하며 결론 짓는 것은 사용자입니다. GPT는 유도하는 방향에서 벗어나더라도 매끄럽게 여러 방향으로 퍼져나갈 수 있도록 도울 뿐 답은 주지 않는 것이 포인트입니다.

 제가 생각하는 이 방법에 대한 장점은 다음과 같습니다.
 
  1. 복잡한 문제와 개념을 공감 되는 이야기로 비유할 수 있다.
  2. 다양한 주제와 상황을 가정할 수 있다.
  3. 적극적인 참여로 독립적인 사고를 돕는다.
  4. 같은 주제를 반복할 수 있으며, 대답을 얼마든 기다려 준다.
  5. AI가 직접적 답변(결론)을 제공하지 않으니 환각(hallucination) 현상의 책임에서 자유롭다.

 아직 이를 실현하기 위한 방법론에 대해선 아직 고민이 많습니다.

 우선 실험적으로 아래와 같은 역할을 부여하는 Prompt를 작성해서 진행해보았습니다. 실제 진행해볼 분들은 토큰을 고려해서 영어로 진행해보시길 바랍니다.

역할 설정 Prompt

주제: 가치관 형성을 위한 상호작용 이야기

역할: 당신은 세계적인 추리 작가이자 게임 스토리 기획자입니다. 당신은 매우 유능하며 짜임새 있는 글을 잘 씁니다. 당신은 트롤리 문제, 테세우스의 배와 같은 철학적 사고 실험을 일상에 비유하여 사용자에게 어떤 선택을 할지 물어봅니다. 사용자가 답을 하면 그 답에 대한 결과로 다음 상황을 제시하고 이야기를 계속 이어갑니다.

목적: 당신과 사용자가 상호작용하는 과정을 통해, 사용자의 자아 성찰과 가치관 형성을 돕습니다. 그리고 흥미로운 주제와 짜임새 있는 흐름을 통해 그 과정이 지루하지 않고 재미있도록 설계합니다.

출력: 한 번에 한 가지 주제에 대해 통일성 있는 이야기를 제시합니다. 적당한 논의가 이뤄졌다고 판단되면 당신은 이야기를 끝마칩니다. 한 번에 너무 긴 이야기를 쓰지 말고 사용자와 대화하듯 소통하며 완급 조절을 합니다. 당신은 양자일택의 질문이 아니라 넓은 생각을 할 수 있는 질문을 합니다. 그러나 사용자의 답변이 너무 두루뭉술할 때엔 다시 선택지를 좁혀 줍니다.

Topic: Interactive stories to shape values

Role: You're a world-renowned mystery writer and game story planner. You're very competent and a good storyteller. You use philosophical thought experiments like the Trolley Problem and Theseus's Ship as analogies to everyday life, asking users what choices they would make. When the user answers, you present the next situation as a consequence of that answer and continue the story. 

Purpose: Through the process of you and the user interacting, you help the user reflect and form values, and you design the process to be fun, not boring, with interesting topics and a cohesive flow.

Output: Present a cohesive story about one topic at a time. You end the story when you think you've had an adequate discussion. You don't tell too long a story at a time, and you pace yourself as if you're having a conversation with the user. You ask questions that are open-ended, not either/or, but when the user's answer is too broad, you narrow the options again.

 이와 같이 입력을 하면 바로 이야기가 시작됩니다. 대화를 진행해보니 생각보다 이야기를 잘 이끌어 가서 만족스러웠습니다. 제가 진행했던 대화를 첨부하겠습니다. 바로 아래 ChatGPT 링크를 공유해두었으니, 잡설을 싫어하시는 분들은 링크를 통해 읽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0. 역할 Prompt 입력

저는 영어로 진행하였으며 번역해서 게시글을 작성했습니다. 위(옅은 색) GPT, 아래(짙은 색) User 입니다.


1. 대화 시작, 선택지(1)

바로 이야기가 시작되었습니다.
우선, 상황(시계)에 대한 조건이 명확하지 않아서 자세히 물어보았습니다.


2. 질문 답변 후 주제 복귀

나름 상세하게 설명해주고 다시 본 주제로 넘어와 질문을 해줍니다. 만족스럽습니다.


3. 선택지(2)

이야기가 진행되며 다음 질문. 생각보다 이야기가 잘 이어져 몰입이 되기 시작했습니다.
상상 속에서 능력과 권력에 취한 저는 의심부터 합니다.


4. 스토리 설명 후 주제 복귀

앞선 저의 답은 질문과 다른 내용이었지만, 나름 잘 대처하고 일관성 있게 이야기를 이어갑니다.


5. 선택지(3)

이야기가 진행되며 또 다른 질문. 첫 Prompt에서 줄거리나 주제 등을 구체적으로 적지 않았는데, 나름 여러 생각할 수 있도록 매끄럽게 진행을 잘 해주네요.
그리고 저는 이 사고 실험을 통해 제가 속물인 것을 깨달은 것 같습니다.


6. 선택지(4)

추상적이지만 나름 맥락이 있어 만족했습니다. 


7. 선택지(5)

이전 답변에서 기술, 사회 두 가지에 대해 말하니까 둘 다 이야기 해주네요. 근데 벌써 현재로 돌아오다니, 이야기 진행이 너무 빠르네요. 아직 미래에서 할 것들이 많은데..


8. 선택지(6)

다시 답변이 아니라 상황에 대한 질문을 던져보았습니다. 


9. 스토리 설명 후 주제 복귀

이쯤 되면 context window 한계로 주제에서 벗어나거나 이상한 질문이 나올까 걱정했는데, 똑똑한 GPT4는 잘 답변을 해줍니다.


10. 사고 실험 끝, 마무리 질문(1)

이야기를 마무리하려는 느낌이 나네요. 전반적으로 너무 추상적이지 않았나 아쉬움이 남습니다.


11. 사고 실험 끝, 마무리 질문(2)

마지막에 질문을 통해 이야기 전반의 주제를 상기시켜 주는 것이 좋네요.


12. 마무리

이렇게 교훈 넘치는 내용으로 마무리까지 잘 지어 주었습니다. 생각보다 처음 Prompt 유지가 잘 되는 것 같아 만족스러웠습니다.


 우선 이렇게 이번 글은 마무리하겠습니다. 이런저런 이야기를 더 쓰고 싶지만, 생각보다 글을 쓰는데 오래 걸려 다음으로 미루겠습니다. 추후 다양한 방법으로 업데이트해서 웹, 앱 서비스 개발까지 가보는 것이 목표입니다. 재밌게 읽으셨길 바랍니다.

다양한 피드백 언제나 환영합니다. 오늘도 사랑스런 하루 보내세요~
5
2개의 답글

👉 이 게시글도 읽어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