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기 노코드B방] gpt api 연결 없이도 구글 문서에서 바로 세상 쉽게 교육용 콘텐츠 만드는 방법

  1. Brisk Teaching 이라는 서비스가 있습니다. 일부 기능(집중 피드백, 채점 루브릭 만들기, 데이터 분석 등)은 학교 단위 결제가 필요합니다. 무료일 경우 퀴즈 제작, 읽기 자료, 학생 수준별 예시 자료 등의 제작이 가능하고, 다른 일부 기능(글 수준 조정하여 써주기(영어), 일반적 피드백, 교육과정 제작) 등은 제한이 있습니다.


아래 사이트에서 설치하시면 됩니다.

https://www.briskteaching.com/

  1. 설치하게 되면 구글 닥스 내 화면은 다음과 같습니다. 저 아래 B 모양의 아이콘이 뜨게 됩니다.

  1. 확대하면 아래와 같습니다.

1) Write with Brisk의 경우에는 아래의 선택지들이 있습니다.

[읽기 자료/학생 성취 수준별 예시 자료/퀴즈/수업 계획/기타]가 가능하며 한국어 설정도 가능합니다. 아래에서 학년 수준 설정이 가능합니다.

[a resource]로 만들어보겠습니다.

아래와 같이 구글 문서에 바로 내용이 생성됩니다.

여기서 문제점 다들 발견하셨죠?

사마귀에 대해서 틀린 정보를 전달합니다. 한글로 생성하니 이렇게 되더라구요. 사막 사마귀가 있긴 하던데.. 대체적으로 우리가 아는 사마귀는 온대나 열대 지역에 살잖아요. 물을 못 마시면 죽잖아요? 거짓을 좀 생산하는 편입니다.


2) give feedback

학생 글에 대한 종합적인 피드백을 받아볼 수 있습니다. 좋은 점, 보충할 점, 생각해볼 점 3가지 차원으로 제공을 해줍니다. 요즘 학생 글 피드백해주는 AI 교육용 서비스가 많은데 이 정도면 괜찮은 것 같습니다.

  1. 글의 수준을 선택한 학년 수준으로 맞춰주는 기능도 있습니다. 네이버나 다음에 있는 콘텐츠, 뉴스들은 되지 않았습니다. 영어 기사일 경우 깔끔하게 잘 읽어오더라구요.

  1. google docs 내에서 바로 콘텐츠 생성하고 싶으실 때, 개인적으로 활용해보셔도 좋을 것 같습니다. gpt for sheet and docs보다 더 직관적이고 사용하기 편합니다. 또한, gpt api를 연결하지 않아도 되서 더욱 좋은 것 같습니다.

3
2개의 답글

👉 이 게시글도 읽어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