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PTs 챗봇은 OpenAI에서 공개한 누구나 자신만의 GPT를 만들 수 있는 챗봇을 의미해요. 그리고 이러한 GPTs를 서로 주고받을 수 있는 GPT 스토어가 오픈했습니다.
GPT 스토어에 맞추어 챗봇을 공개하기 위해서는 나만의 챗봇을 만드는 것이 필요합니다. 그렇다면 어떠한 방식으로 챗봇을 만들 수 있을까요? 이 게시글을 읽으면 GPTs 챗봇을 만드는 5가지 사례를 알게 됩니다.
GPTs 챗봇, 어떻게 만들 수 있을까요?
GPTs에서는 누구나 쉽게 자신만의 챗봇을 만들 수 있어요. 왼쪽 사이드에 있는 Explore를 클릭하고, Create a GPT를 클릭하세요. 아니면 https://chat.openai.com/gpts/editor 로 접속할 수 있습니다.
GPTs 챗봇을 만드는 것은, Create와 Configure 이렇게 두가지 방법이 있는데요. 여기서는 Configure에서 챗봇을 만드는 방법에 대해 다룹니다.
Configure에서 왼쪽에 있는 내용만 채우게 되면, 정말 쉽게 나만의 챗봇을 만들 수 있어요. 이제 여기에 어떤 내용을 채워야할지 알려드릴게요.
만약 GPTs 챗봇을 아직 만들어보지 않으신 분이라면, 아래 게시글을 읽고 기본적인 GPTs 활용방법을 배워보아요.
👉 GPTs 기본적인 사용방법 보러가기
1. 페르소나 있는 챗봇 만들기
GPTs 챗봇으로 페르소나가 있는 챗봇을 쉽게 만들 수 있어요. 그리고 나의 데이터를 기반으로 이야기를 할 수 있어요.
아래 프롬프트를 붙여넣고, 코드 인터프리터 기능을 켜주세요.
당신은 "{회사명}"의 가상 면접관입니다.
"{회사명}"은 사용자가 처음에 알려줍니다.
당신의 목적은 회사 면접과 유사한 경험을 제공하는 것입니다.
먼저 면접 대상자에게 질문을 던져주세요. 각 답변이 끝나면 잠시 면접관 역할을 중단하고 이전 답변을 더 잘 구성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한 짧은 피드백과 답변 예시를 제시하는 것부터 시작하겠습니다.
그 런 다음 다시 면접관이 되어 대화를 계속합니다. 조금 더 즐겁게 하기 위해 모의 채팅 사례 면접에서는 이전 질문에 대한 면접관의 잠재적 반응을 이모티콘으로 표현하는 것으로 시작합니다.
다른 산문은 최소화합니다.
당신은 대화 순서마다 한 번씩만 답을 줄 수 있습니다.
당신의 대답은 유익하고 논리적이어야 합니다.
질문을 할 때 Code Interpreter 기능을 통해 지원자의 정보를 알아보세요.
그러면 정말 면접관처럼 대화를 이어가줍니다. 그리고 코드 인터프리터 기능을 켰기 때문에 나의 정보를 업로드 해서, 이를 참고해서 가상 면접을 진행할 수 있어요. 개인 데이터를 이용하여 개별 맞춤 면접을 하는 사례에 대해 더 알아가고 싶으시면 아래 게시글을 읽어주세요.
👉 내 정보를 입력하여 면접을 진행하는 GPTs 사례 보러가기
2. 접속 못하는 링크 접속하게 만들기
특정 링크가 접속되는 GPTs를 만들려고 하다가 잘 안되신 경험이 있으신가요? 이럴 때에는 GPTs의 웹브라우징이 아닌 Webpilot Action을 이용해보세요.
기존에는 접속할 수 없는 네이버 블로그 같은 웹사이트에도 접근할 수 있어요. 이 방법에 대해 더 잘 알고 싶다면, 아래 게시글을 읽어보세요!
👉 챗GPT로 접속 안되는 링크 접속하기
3. 이야기 방향을 선택할 수 있는 GPTs 챗봇 만들기
챗GPT로 동화책을 만들어본 경험이 있으신가요? GPTs의 달리 기능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만들고, 스토리 방향까지 선택하는게 만드실 수 있습니다.
이러한 방식으로 GPTs를 이용하면, 이야기 방향을 사용자가 선택하게 만들 수 있어요. 이 사례에 대해 더 잘 알고 싶다면, 이야기를 선택할 수 있는 GPTs로 초등학교 자녀와 영어 동화책을 만든 사례를 살펴보세요.
4. 캐릭터를 하나로 유지하는 GPTs 챗봇
챗GPT의 달리를 통해 생성되는 이미지들은 고유의 Gen id가 있어요. 이 Gen id를 참고하여, 그림을 그려달라고 부탁하면 유사한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습니다.
Dalle-3와 코드인터프리터를 키고, 다음 프롬프트를 GPTs에 붙여넣으세요.
너는 하나의 캐릭터로 다른 이미지를 생성하는 챗봇입니다.
사용자가 맨 처음 이미지를 요청하면, 해당 이미지의 gen_id를 txt 파일로 만드세요.
그런다음에 해당 txt파일을 /mnt/data 에 저장합니다. 그리고 이 txt파일을 변경되지 않습니다.
이후 모든 이미지를 생성할 때에는 코드인터프리터로 /mnt/data에 있는 gen_id를 확인합니다. 그런다음 해당 gen_id를 기반으로 이미지를 생성합니다.
이 방법에 대한 보다 자세한 설명은 게시글에서 살펴보세요.
👉 Gen id를 고정해서, 일관된 이미지를 만드는 GPTs
5. 이미지에서 한글을 추출하는 GPTs 챗봇
코드인터프리터로 OCR 기능이 되는 걸로 알고 있었는데, 한글이 안되어서 불편하셨나요? GPTs 챗봇에 Kor.Traineddata를 넣고 학습시키세요. 그러면 한글 OCR이 가능해지게 됩니다.
이 방법을 이용하면, 약 봉지를 제시하면 어떤 약인지 알려주는 챗봇을 만들 수 있어요. 관심있다면 이 게시글을 꼭 읽어보세요.
👉 약봉지를 제시하면, 어떤 약인지 알려주는 GPTs 챗봇
이제 GPTs 챗봇에서 사용할 수 있는 5가지 기술에 대해 알게되셨어요. GPTs를 이용해 또 얼마나 다양한 것을 할 수 있을지 궁금하신가요?
지피터스 AI 스터디를 모집하고 있어요. 챗GPT와 같은 AI를 활용하고 서로 나누는 지피터스 AI 스터디에 참여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