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려동물의 정신질환 AI 설계 도전기

소개

  • 시도한 것: 반려동물의 정신질환 개념을 이해하고, 데이터를 활용해 반려동물의 정신건강을 조기에 진단할 수 있는 AI 솔루션을 설계하는 것이 목표였습니다.

  • 계기: 챗GPT와의 대화를 통해 반려동물도 인간처럼 다양한 정신질환(우울증, 불안 장애 등)을 겪는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고, 조기 발견의 중요성에 주목하게 되었습니다.
    이를 보호자가 쉽게 활용할 수 있는 AI 도구로 개발해보자는 아이디어가 떠올랐습니다.

진행 방법

1. 챗GPT와의 대화로 아이디어 확립

-챗GPT와 다음 주제로 대화를 나눴습니다:

  1. 반려동물도 인간처럼 정신 질환을 겪는지?

    분리불안, 강박증, 공포증, 우울증, 인지기능장애증후군(치매)등을 겪는다는 사실을 알아냄

  2. 이러한 정신질환들이 반려동물의 행동으로도 두드러지게 나타나는지?

    이렇게 반려동물의 정신질환 증상이 뚜렷이 나타난다면, AI로 판단하기 용이하겠다는 생각을 함

  3. 반려동물의 정신질환을 보호자들은 금방 알아채는편인지?

    한국 문자 메시지의 스크린 샷

    대부분의 보호자는 반려동물의 정신질환을 초기에 알아차리기 어렵다는 답변을 얻은 후, 반려동물의 정신질환을 초기에 판별해주는 AI를 개발한다면 많은 도움이 되겠다고 느낌

  4. 데이터를 활용해 정신질환을 파악하고 치료법을 제안하는 AI 프로그램 설계 아이디어.

종이에 한국어 단어 목록
한국 텍스트가있는 페이지의 스크린 샷
한국어 한국어 한국인 한국인 한국인

2. 챗GPT의 AI 활용 방법 제안

처음 챗GPT에 "AI 초보자가 시작할 수 있는 방법"을 물었을 때, 전문적인 AI 개발 방법들이 제안되었지만 초보자인 저에게는 너무 복잡했습니다.

그래서 간단한 방법을 추천해달라고 요청했으며, 챗GPT가 아래와 같은 활동을 제안했습니다:

여러 방법 중에서도 Kaggle을 사용해보고 싶었던 만큼, Kaggle 데이터셋을 활용하는 방식을 채택하게 되었습니다. (2번 방식)

3. Kaggle 데이터를 활용한 실험

  • 사용한 데이터: Kaggle에서 제공하는 DogInfo.xlsx 데이터를 다운로드했습니다. 이 데이터에는 정상적인 상태에서 개의 행동(짖는 횟수, 밥 먹는 횟수 등)이 기록되어 있었습니다.

  • 목표: 정상적인 행동 데이터를 분석해 정신질환을 의심할 수 있는 이상 행동 패턴을 파악하는 것이 목적이었습니다.

4. Google Colab에서 AI 교육 시도

  • 도구: Google Colab에서 데이터를 분석하고 AI를 교육하려 했습니다.

  • 사용한 코드: 데이터를 불러오고 분석하기 위해 아래와 같은 코드를 작성했습니다. <<챗지피티에게 코드를 짜달라고 요청

    # 필수 라이브러리 설치
    import pandas as pd  # 데이터 분석 라이브러리
    import matplotlib.pyplot as plt  # 그래프 그리기
    
    # 파일 업로드
    from google.colab import files
    uploaded = files.upload()  # 데이터셋을 업로드하세요 (파일을 선택하면 됨)
    
    # 파일 읽기
    data = pd.read_excel("DogInfo.xlsx")  # 데이터 파일 이름 입력
    print(data.head())  # 데이터 첫 5행 출력
    

    결과:
    코드를 실행했지만, 초보자인 제가 Colab 환경과 데이터 처리 원리에 익숙하지 않아 TypeError가 발생했습니다.

    챗지피티에게 오류가 난 이유에 대해 물어보니, 파일 형식, 파일명, 또는 데이터 파일과 코드 간의 불일치 때문일 수 있다는 답변을 받았습니다.

    데이터 파일을 변환하는 방법이나, 기본적인 Python 학습이 필요하다는 것을 깨달았습니다.

결과와 배운점

  • 배운 점:

    1. 반려동물 정신질환의 종류와 조기 진단의 중요성을 이해하게 되었습니다.

    2. AI 도구 개발 과정에서 데이터를 어떻게 다뤄야 하는지 기본적인 지식이 너무 많이 부족함을 깨달았습니다.

    3. Kaggle 이나 Colab 환경의 데이터 파일 처리 방식에 대해 알고 있어야 데이터 처리가 가능하겠다는 꺠달음을 얻었습니다. (+파이썬 코드에 대한 지식도!!ㅠㅠ)

  • 실패 요인:

    • Colab에서 데이터를 처리하는 방법과 AI 학습의 원리를 충분히 이해하지 못해 오류가 발생했습니다.

  • 다음 단계:

    1. Python 기초와 Colab 사용법을 학습하여 AI 모델을 설계하는 과정을 익힐 예정입니다.

    2. 챗GPT와 추가 대화를 통해 필요한 자료와 학습 경로를 찾아 학습할 계획입니다.

3
1개의 답글

👉 이 게시글도 읽어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