챗GPT로 SAP FI 모듈 학습하기위해서 프롬프트명령을 해보았습니다.
SAP FI 회계모듈 사용하는데 TCODE가 너무 많고 헷갈려서 TCODE에 대해서 설명을 해달라고 했습니다.
SAP에서 TCODE는 "Transaction Code"의 약어로, 각각의 트랜잭션에 고유하게 할당된 코드입니다. 각각의 트랜잭션은 특정한 업무 프로세스나 기능을 수행하도록 설계되어 있습니다. 여러 트랜잭션 코드 중 몇 가지에 대해 설명해 드리겠습니다.
우선 FB60으로 구매처에서 소모품 구매하는것을 해보았습니다.
회계모듈을 입력하는것은 챗GPT가 알려준대로 하는데 어려움이 있었습니다.
fbl1n 에서 외상매입금 잔액을 거래처별로 조회한뒤에
F-53 TCODE에서 대금을 지급해보았습니다.
F-53이외에도 외상매입금 , 미지급금을 대금을 지급하고 상계하는 작업에는 TCODE가 여러개가 있었습니다. 그래서 챗 GPT에 물어보았습니다.
F-51 (Post with Clearing):
용도: 이 트랜잭션은 공급업체 또는 벤더에 대한 송장을 처리하고, 동시에 해당 송장과 관련된 열린 미결금액을 청산합니다. 결제에 사용된 통화와 송장 금액이 일치해야 합니다.
F-53 (Post Outgoing Payments):
용도: 이 트랜잭션은 고객에 대한 지급을 처리하는 데 사용됩니다. 예를 들어, 매출 송장을 기준으로 고객이 지불한 금액을 시스템에 입력하고 처리합니다.
F-43 (Enter Invoice - General):
용도: 이 트랜잭션은 일반적인 벤더 송장을 생성하고 입력하는 데 사용됩니다. 벤더에 대한 미결금액을 생성하고 이를 나중에 결제할 수 있습니다.
F-48 (Post Vendor Down Payment):
용도: 이 트랜잭션은 벤더에 대한 선금을 입력하고 처리하는 데 사용됩니다. 선금은 향후 송장에 대한 일부 결제로 사용될 수 있습니다.
이러한 트랜잭션 코드들은 SAP의 금융 모듈에서 사용되며, 각각의 코드는 특정 업무 프로세스를 수행하기 위해 설계되었습니다. 해당 트랜잭션을 실행하려면 SAP 시스템에 액세스 권한이 있어야 하며, 사용자는 해당 트랜잭션 코드를 입력하여 실행할 수 있습니다.
해당TCODE를 각각 실행해 보려했는데 생각보다 쉽지 않았습니다.
아래 내용은 챗GPT로 SAP 입력방법및 에러에 대해서 질문한 프롬프트 내용입니다.
https://chat.openai.com/share/012e7c02-1dd7-45fc-ac57-d9bb6013303d
지금은 많이 부족하지만 좀더 연구해서 결과물을 지속적으로 업데이트 하도록 하겠습니다.
위 전자책 wikidocs에도 정리하였습니다.
<외상매입금 전표를 미지급금 전표로 변경하는방법>
sap에서 외상매입금 계정을 미지급금 계정으로 변경하는방법 (대체조정계정 변경)
외상매입금을 미지급금으로 변경완료
#9기 SAP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