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배경 및 목적
오픈소스 코드만 가져다 쓰던 것에서 벗어나 AI 도구를 활용해 논문 리뷰를 하려 합니다.
참고 자료
참고 영상으로 기본 사용법을 익혔습니다.
EP009. ChatGPT 로 Journal Review 10분만에 끝내기! (feat. SCISPACE and CONSENSUS) (youtube.com)
활용 도구
- SCISPACE
- CONSENSUS / CONNECTED PAPERS (보조 활용)
실행 과정
오픈소스로 가져와 활용하던 코드의 논문을 리뷰 합니다.
1차 결과물 : Summary
논문이 요약되어 나와 전반적인 리뷰하기에 좋았습니다.
요약은 영문으로 되어 파파고로 번역하여 쉽게 읽었습니다.
(리뷰한 논문 의 CLIP 모델은 이미지-텍스트 데이터셋을 활용해 공동 훈련되었다는 것을 알게되었고,63M 매개 변수와 트랜스포머, ResNet 모델을 사용했다는 상세정보와, 제로 샷 전송과 같은 주요 키워드를 미리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2차 결과물 : Text 드래그를 통한 Explain Text
해당 설명이 연결된 코파일럿에서 이해하기 쉽게 도왔고, 여기에서는 한국어를 선택할 수 있어, 편리했습니다.
3차 결과물 : 이미지 및 테이블 선택을 통한 Explain math & table 기능
결과물인 경우가 많은 장표와 그래프를 이해할 수 있는 기능으로 어려움 개념도 대략적인 이해가 쉽게 가능했습니다.
4차 결과물 : 직접 질문을 통한 내용 및 저자 확인
논문의 세부 내용 및 저자에 관한 질문도 즉각 답변해주니 좋았고, 답변의 끝부분에는 소스정보가 표시되어, 클릭 한번으로 어떤 부분을 인용 및 참고하였는지 점검할 수 있었습니다.
5차 결과물 : 내 라이브러리 관리
내 라이브러리 폴더 이름을 주제별로 변경했고, 두 개이상의 관련 논문을 모아 넣은 후 코파일럿에 질문하니, 해당 논문들 전체를 참고해서 요약 및 답변해주었습니다.
5. 추가 작업
CONSENSUS 활용 :
*논문 제목을 넣어 요약 확인 가능 -> 잘 요약 되었습니다.
*질문을 넣어 해당 내용에 관한 학계 의견 확인 -> 다소 엉뚱한 질문을 하니 결과가 없다고 합니다.
CONNECTED PAPERS 활용:
*내가 리뷰한 논문 제목을 넣어, 해당 저자 및 관련 논문 목록 확인 -> 확인 가능했습니다.
결론 및 후기
*무료로만 사용해서 Scispace의 무료 Standard 와 High quality 유료 구독의 성능 차이까지는 확인하지 못했습니다.
*아주 전문적인 내용의 리뷰까지는 아니더라도, 연구 초보 일반인 입장으로도 논문의 전반을 이해하는데 큰 도움이 되었습니다.
*리뷰할 논문이 많이 쌓인다면 SCISPACE 내의 라이브러리를 활용하여 논문을 저장하고, 주요 인사이트들만 별도 개인 도구로 요약하여 가져오는 것이 좋을 것 같다고 생각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