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
시도하고자 했던 것과 그 이유를 알려주세요.
로컬 에서 n8n 구동 시 webhook 을 테스트해볼 수가 없음
클라우드 환경보다 로컬 환경이 보다 안정적이고 구동이 빠르기 때문에, 로컬 에서 테스트 해보고 싶음
아니면, 클라우드 환경을 아직 구축은 하지 않았지만 webhook 서비스를 테스트 해보고 싶을 때
어떤 도구를 사용했고, 어떻게 활용하셨나요?
n8n 을 로컬에 설치하고, 매우 간단한 webhook 서비스를 구성
webhook → gmail → respond to webhook 으로 기본 구성을 짜줍니다.
gpt 에서 메일 주소, 제목, 내용을 받으면 자동으로 이메일을 보내주는 구성입니다.
web hook 설정에서, post 로 바꾸신 다음에. 주소를 확인하시면 localhost:5678 로 되어 있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web hook 을 gpt 와 연결하기 위해서는 localhost 가 아닌 https:// 로 시작하는 주소가 필요한데, 보통 클라우드로 n8n 을 구동하시면 이런 문제가 없습니다. 하지만 여기서는 local 에서 테스트 해보기 위함이기 때문에 웹으로 주소를 호스팅 해보는 방식을 찾아 봤습니다.
ngrok에서 이런 호스팅을 무료로 해줘서, 혹시 webhook도 호스팅 가능할까 싶어서 도전
아래는 ngrok 사이트 입니다.
: 설치하고 실행하는 방법이 매우 자세하게 나와있습니다.
실행하면 아래처럼 local 주소를 호스팅 해줍니다.
저는 Mac 에서 실행했고, 터미널에서 설치하고 실행하면 됩니다.
** 무료로 사용하면, 제한시간이 있습니다.
자 이제 준비가 되었으니 gpts를 간단하게 만들어 봅니다.
gpt 용도는, 내가 이메일을 보내달라고 하면 action 을 활용해서 이메일을 보내주는 정도만 작성해 주시면 됩니다.
새 작업 만들기를 클릭하신 다음에, 아래와 같은 명령문을 작성해서 붙여 넣으시면 됩니다.
스키마 작성해서 붙여 넣으시면 되는데, gpt 한테 만들어 달라고 하면 아래처럼 만들어 줍니다.
이제 gpts만들기를 하고, gpt 한테 메일 아무거나 보내라고 요청합니다.
테스트를 해보면, 아래처럼 gpts 에서 보낸 정보를 바탕으로 메일 전송이 성공된 것을 알 수 있습니다.
결과와 배운 점
배운 점과 나만의 꿀팁을 알려주세요.
ngrok을 사용하면 local 의 n8n 에 web hook 을 보낼 수 있습니다. (어라 이게 끝이네요^^;;;)
과정 중에 어떤 시행착오를 겪었나요?
local 에서 web hook 을 실행할 수 있을지 테스트 할 수 있는 차원에서 진행해 보았습니다.
중간에 webhook 이 계속 응답을 못하거나 지연되는 경우가 발생했었습니다. → 근데 이게 gpt 서버의 문제인지, ngrok 호스팅 이슈인지 애매한게 gpt 에서 테스트하는 일반적인 답변 조차 엄청 느려졌었습니다.
앞으로의 계획이 있다면 들려주세요.
webhook 을 n8n 에서 써야할 경우가 생기면 가급적 cloud 에 돈내고 n8n 을 돌려야 겠습니다. ^^;;;
ngrok 이 계속 실행이 되고 있어야 하고 → n8n 도 local 에서 계속 구동이 되고 있어야 하기 때문에, local 에서 webhook 을 활용하는 것 조금 번거롭지만, 테스트 용도로 활용하기에는 괜찮은 것 같습니다.
** 혹시 다른 용도로 활용할 수 있다면 알려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