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요한
구요한
🎖️ 마스터 파트너

[논문검색#3] 키워드가 아닌 긴 글로 논문 검색하기, Zotero 연계까지

우리가 연구를 검색할 때는 보통 어떻게 할까?

내가 알고 있는 research terminology나 특정 키워드인 경우가 많다. 주제나 방법론을 특정한 말들이 주가 되지 않을까?

Examples

  • knowledge management

  • knowledge sharing k-12 education

  • polynomial regression

  • moderated mediation


그래서 생각을 바꿔보았다. 내가 쓴 노트, 연구 요약으로 검색을 해보면 어떨까?

이런 식으로 연구의 내용들이 정리되어 있는 나의 연구노트를 활용해보았다.

사용한 노트 내용

### The communicative construction of the world
- 모든 사회 시스템과 마찬가지로 조직도 관찰 시스템으로 이해할 수 있음
- 다른 생물학적 시스템과 달리 조직은 시각적 관찰을 하지 않고 대신에 그들의 관찰은 의사소통의 형태를 취함
	- 모든 의사소통은 세상의 특정한 것들을 강조하고 세상의 다른 모든 것들과 구별한다는 점에서 관찰임
- 루만은 우리의 관찰은 외부 세계, 즉 외부 현실이 아니라 우리가 관찰에 사용하는 특정한 구별에 의해 결정된다고 주장
- We construct the world through the distinctions that we mobilize in our observations (Luhmann, 2002b)
- 조직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스를 관찰이 다른 관찰과 관련되어 추가 관찰로 이어지는 현실 구성 프로세스로 이해
- 조직이 외부로부터 통신을 수입하기보다는 자체적으로 통신을 생산한다는 사실은 그들이 자신의 현실을 특이한 방식으로 구성한다는 것을 의미
- 모든 조직은 세계를 관찰하기 위한 고유한 구별을 개발하고 그에 따라 고유의 세계를 구축
- 조직은 또한 자신의 의사소통에 대해 의사소통하고 그에 따라 그들이 사용하는 특정한 구별을 식별할 수 있지만, 그러한 구별은 그 자체가 특이한 구별에 기초
- 조직이 스스로를 관찰할 수 있는 '중립적' 또는 외부적 위치는 없으며, 자기 참조적 의사소통 과정에서 벗어날 방법은 없음


ChatGPT의 ScholarAI Plugin을 사용해보았다.

읽어보면 좋을 괜찮은 논문이 나왔다. 내가 쓴 내용을 기반으로 매칭을 해준 것이기 때문에 어느 정도의 연관성은 보장되어 있다고 볼 수 있다.


ScholarAI에서는 Zotero 저장 기능을 제공한다.


Zotero Web ver.에서 살펴보면 잘 들어간 것을 볼 수 있다.


이제 논문 읽자!

끝.

4
1개의 답글

👉 이 게시글도 읽어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