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자인 강조된 영문 참고문헌 원고편집, 1편당 일주일 분량 30분만에 해결

디자인된 외국어 학술지 참고문헌의 검증과 제작 시간을 AI로 획기적으로 단축

외국어 학술지 편집인의 ‎작업 중 가장 시간이 소요되는 부분은 참고문헌의 검증과 제작, 형식수정이다. 특히 학술지의 차별화를 위해 참고문헌의 디자인이 중요하여 참고문헌의 검증과 형식수정에 더하여 제작까지 하면 1편당 1주일의 시간이 걸린다. 더욱이 원고편집인에게 주어지는 논문은 1편이 아니고 10편, 20편이 몰린다. 학술지가 활성화될수록 원고편집인은 딜레마에 빠진다. 일주일 걸리는 일을 30분에 해결하여 과제를 해결하였다

MS 365 코파일럿과 앱스크립트를 사용해 보려하였으나, 초보로서 쉽지 않았고 GPT로도 안되어 몇달을 고민했지만 이번 시범강의 교육을 듣고 퍼플렉시티를 이용할수 있게 되어 자동화에 일부 성공, 1편에 일주일 걸리는 작업을 30분에 할수 있게 되었다.

  1. 과제정의

저자가 보낸 참고믄헌을 학술지 양식으로 편집

(1) 저자가 보낸 참고문헌

중국 문학 참고 페이지의 예

(2) 학술지 양식

책의 참조 페이지 예

(3) 문제 정의

- 내용검증 : 편집자가 보낸 참고문헌은 정확한지 확인되야 하고 참고문헌이 압축, 생략되지 않아 야 한다. 이게 안되면 학술지평가가 떨어진다.

- 순서 변환 : 편집자 양식과 학술지양식은 저자. 연도 등의 순서가 다르다. 저자의 성을 기준으로 알파벳순 나열이 필요하다. 이게 안되면 편집이 끝나도 처음부터 해야한다.

- 형식통일: : 편집자가 보낸 참고문헝의 이탤릭체 등이 학술지양식에 맞아야 한다. 이게 안되면 학술지평가가 떨어진다.

- 페이지 변환 : 레이아웃이 2단으로 구성되어야한다. 혹은 표로 만들어야한다. 이게 안되면 디자인 차별성이 떨어진다.

  1. 퍼플렉시티 이용

-아래 참고문헌들을 찾아 생략하지말고 전부 표현해줘

(내용검증 해결)

한국어로 된 책 표지

-위 리스트를 저자의 성을 기준으로 알파벳 순으로 나열하고 아래 형태로 바꾸어줘

(순서 변환)

한국어 단어가 적힌 문서

-위 리스트에서 각 단락의 첫 두줄을 표의 왼쪽, 나머지를 오른쪽으로 하여 표로 만들어줘

한국어와 중국어 이름 목록이 있는 테이블


-위 표를 서지사항 양식에 맞게 책과 저널 제목은 이텔릭체로 해줘

한국어가 적힌 테이블


지피터스 오픈강좌 강의듣던 도중 채팅방에 질문하여 참고문헌이 AI로 수정되더라는 힌트만 듣고 다른 자동화 강의도 듣던 중 도전해 보겠다는 용기가 생겨 편집인으로서 숙원과제를 해결할수 있게 되었습니다. GPters에 정말 감사드립니다. 지나가는 고수의 한마디가 얼마나 중요한지 새삼 배웠습니다.

학술지 편집 뿐 아니라 학술지운영을 위해 관리해야 하는 수많은 메일을 자동화하는 부분을 이번 기수에 도전해보고자 하고, 이것이 되면 본래의 과제인 연구 또한 옵시디언으로 도전하여 나아가 1인 창업가가 되려고 합니다. 지피터스를 늦게나마 알게 된데 정말 감사드립니다. 널리 지피터스가 알려지면 좋겠습니다.

5
6개의 답글

(채용) 콘텐츠 마케터, AI 엔지니어, 백엔드 개발자

지피터스의 수 천개 AI 활용 사례 데이터를 AI로 재가공 할 인재를 찾습니다

👉 이 게시글도 읽어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