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atGPT와 Google Apps Script를 활용해 논문의 초록 및 참고문헌 형식을 자동화하기

소개

지난번에 "Make보다 더 간단한데 무료?! Apps Script로 만드는 AI 자동화 시스템"이라는 박준님의 유튜브 영상을 따라 ChatGPT와 Google Apps Script를 활용해 논문의 초록을 자동으로 요약했었습니다. 이번에는 지난버 발표에서 OpenAI API KEY가 노출되면 안된다는 피드백을 반영하였고, 초록 요약뿐만 아니라 참고문헌을 APA 형식으로 자동 변환하는 기능을 추가하고자 하였습니다.

진행 방법

  1. OpenAI API 키를 직접 코드에 포함하지 않고, 안전한 스토리지를 사용합니다.

한국 프로그래밍 언어의 스크린 샷
  1. API 키를 실제 적용하기 위해서, 프로젝트 속성(Project Properties)"에 API 키fmf cnrkgkqslek.

텍스트가있는 컴퓨터 화면의 스크린 샷
  1. API 키가 저장되었는지 확인합니다.

Java 프로그램의 스크린 샷
  1. API 키를 자동으로 가져와서 사용합니다.

Java 프로그램의 스크린 샷
  1. 구글 스프레드시트에서 사용합니다.

한국 키보드 - 스크린 샷 - 한국 키보드 한국 키보드 한국 키보드 한국 키보드
한국어 문서의 스크린 샷

결과와 배운 점

처음에 프로젝트 속성에 API 키를 추가하라고 하는데 프로젝트 설정도 보이지 않고, 무슨 말인지도 잘 모르겠다고 하니 코드를 직접 Apps script 편집기에 함수로 추가하는 것을 배웠으며, 추가한 함수를 실행하는 방법, 그리고 제대로 실행되었는지 로그에서 확인하는 방법, 매크로에서 필요한 함수를 불러오는 방법들을 배울 수 있었습니다.

모르는 경우는 계속해서 수준을 낮춰서 설명해달라고 하면, 해결할 수 있음을 실제 알 수 있게 되었습니다.

앞으로의 계획은 참고문헌을 APA형식으로 바꾸긴 했지만, 저널명과 Vol을 이탤릭체로 나타내야 하고, 책이나 보고서 등도 APA형식으로 바뀌는지 확인이 필요합니다.

도움 받은 글 (옵션)

Make(메이크)보다 더 간단한데 무료?! Apps Script로 만드는 AI 자동화 시스템내용 입력: https://www.youtube.com/watch?v=6kwnPAhqII4&t=193s

4
2개의 답글

👉 이 게시글도 읽어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