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세이글을 인스타툰으로... 초보 경험기

블로그식으로 적은 글들을 간단한 인스타툰으로 만들어보면 어떨까 고민하고 있습니다. 물론 충분히 준비도 안되었고 조사도 부족한 상태이지만 그러기에 GPT의 도움을 받을 수 있지 않을까 하는 생각도 듭니다.

1. 좋아하는 인스타툰을 예시로 하여 성공 요인 체크

  • 좋아하는 인스타툰을 예시로 주고 장점과 성공 비결을 물어보고 어떻게 제 글에 적용할 수 있는지 물어보았습니다.

  • 그랬더니 장점과 성공비결, 적용시 참고 사항을 정리해주네요.

2. 글을 인스타툰의 성공 요소에 맞게 평가 및 보완 요청

  • 제 블로그식의 글을 주고 인스타툰으로 바꿀 때 접근 방식과 성공 요소를 기준으로 어떤 좀이 부족하고 보완점이 무엇인지 알려달라고 했습니다.

  • 그랬더니 보완점으로 1)인터렉티브 요소 추가, 2)시각적 요소 강화, 3)교육적 정보 제공, 4)일상과 결합된 이야기 등을 제안해 주었고, 저는 이에 이러한 보완점을 적용하여 글의 수정을 요청하였습니다.

  • 인스타툰의 프레임 구성이 장면, 나래이션, 대화인 것을 고려하여 세 요소가 모두 들어가도록 요청하고, 대화를 위해서는 캐릭터 2명(부부)을 설정하여 요청하였습니다.

  • 인스타툰의 성공 요소를 기준으로 제안한 인스타툰을 평가하고, 낮은 점수를 받은 항목을 보완할 수 있는 아이디어로 콘텐츠를 수정, 제안해줄 것을 요청하였습니다.

  • 그 결과 많이 다르진 않지만 살짝 더 디테일이 추가되었으나 나래이션과 대화의 발전은 크게 보이지 않았습니다. 여러 번 제안된 내용을 종합하여 자연스러운 배경과 나래이션, 대화를 만드는 것이 좋겠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아래는 GPT의 [제안된 최종 콘텐츠] 답변입니다.

===========================

네, 앞서 제시한 보완 아이디어를 바탕으로 인스타툰 콘텐츠를 완성해보겠습니다. 각 프레임의 배경, 나래이션, 대화를 포함한 보완된 콘텐츠를 제시합니다.

### 1. 프레임: 산책 시작

- 배경: 이촌한강공원 입구, 햇살이 따스하게 내리쬐는 아름다운 오전.

- 나래이션: "구정 연휴의 마지막 날, 우리 부부는 따뜻한 햇살을 맞으며 한강공원으로 산책을 나섰어요."

- 대화:

- 남편(카메라를 메고): "오늘 날씨 정말 좋다, 사진 좀 찍어야겠어."

- 아내(꽃무늬 모자를 쓰고): "그래, 이 아름다운 순간을 기록하자!"

### 2. 프레임: 한강공원의 활기

- 배경: 한강공원의 다채로운 활동들 - 비눗방울을 불며 뛰노는 어린이들, 스케이트보드를 타는 청소년들.

- 나래이션: "공원은 사람들의 웃음소리와 활기로 가득 차 있었어요."

- 대화: 없음

### 3. 프레임: 해외 경험 회상

- 배경: 캐릭터들이 벤치에 앉아 북유럽에서 자전거를 타던 추억을 회상하는 모습.

- 나래이션: "북유럽 여행에서 느꼈던 자유롭게 거리를 누비던 그 기분..."

- 대화:

- 아내: "자전거 타고 바람을 가르던 그날이 아직도 생생해."

- 남편: "여기서도 그런 기분을 느껴보자."

### 4. 프레임: 한국의 공공 체육시설과 건강 지표 인포그래픽

- 배경: 캐릭터들이 인포그래픽을 바라보는 모습, 건강수명과 기대수명의 차이를 보여주는 차트.

- 나래이션: "건강수명을 늘리기 위해, 우리가 할 수 있는 일은 무엇일까요?"

- 대화:

- 아내: "매일 조금씩이라도 움직이는 거, 중요하다고 하더라."

- 남편: "그래, 함께 건강을 챙기자."

### 5. 프레임: QR 코드 발견

- 배경: 공원 출구에서 QR 코드를 발견하고 스캔하는 부부.

- 나래이션: "이 작은 QR 코드가 우리에게 한강공원의 모든 정보를 알려줘요."

- 대화:

- 남편: "와, 이런 거 정말 편리하네!"

- 아내: "다음에 또 산책 오자, 다른 곳도 탐험해보고 싶어."

### 6. 프레임: 독자 참여 유도

- 배경: 캐릭터들이 카메라를 바라보며 미소

짓는 모습.

- 나래이션: "여러분은 일상에서 어떻게 건강을 챙기시나요?"

- 대화:

- 부부 함께: "여러분의 건강 비결, 댓글로 공유해주세요!"

이렇게 각 프레임에 보완된 아이디어를 적용하여, 인스타툰 콘텐츠를 더 흥미롭고 독자의 관심을 끌 수 있도록 만들어 보았습니다. 이러한 세부적인 요소들이 콘텐츠에 깊이를 더하고, 독자들과의 상호작용을 강화하는 데 기여할 것입니다.

=====================

3. 프레임을 가지고 직접적 이미지 생성은 실패, DALL-E로 생성

  • 제안된 프레임을 가지고 인스타툰 이미지를 만들어 달라고 했습니다. 몇번을 요청했는데 직접적 이미지 생성은 불가하다고 하면서 요청한 이미지를 시각화할 수 있는 설명을 주었습니다(너무 쉽게 가려 했나 봅니다^^).

  • DALL-E를 활용하여 제시된 설명 글을 주고 이미지 생성을 요청하였고 그래서 2개의 이미지를 받았습니다.

  • 두 번째와 동일한 seed no.와 gen_id로 나머지 프레임에 대한 이미지 생성을 요청한 결과는 아래와 같습니다. 다양한 캐릭터로 만들어져 한개의 인스타툰인지 모르겠고 각 프레임의 대화도 깨진 한글로 이루어졌지만(점점 진행될 수록 캐릭터들이 젊어집니다^^) 대략적으로 인스타툰 이미지의 구성을 예상해 볼 수 있어서 좋았습니다.

4. 결론

  • 인스타툰이라는 새로은 장르에 도전하는 초보자로서 대략적인 구성과 전개에 대한 도움을 받았습니다.

  • 스토리 전개와 일관적 이미지 등 GPT가 메우지 못하는 공백은 결국 ‘나‘의 역할이라는 점을 느꼈습니다.

5
3개의 답글

(채용) 콘텐츠 마케터, AI 엔지니어, 백엔드 개발자

지피터스의 수 천개 AI 활용 사례 데이터를 AI로 재가공 할 인재를 찾습니다

👉 이 게시글도 읽어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