입력한 개념에 대한 학문분류와 키워드를 추천하는 GPTs 만들기

소개

  1. 저는 어떤 개념에 호기심이 생기면 나중에 찾아보기 위해 기록해둡니다.

  2. 그런데 개념을 소화하는 속도보다, 알고 싶은 개념이 추가되는 속도가 더 많습니다. 그래서 처리할 개념이 쌓여만 가지요.

  3. 이번 과제에서는 AI의 도움을 받아 개념 노트를 빠르게 만드는 프로세스를 만들었습니다.

  4. AI로 개념에 대한 설명을 생성하여 노트 내용을 채우고, 개념에 대한 “학문 분류”와 “키워드”를 추천 받아서 노트간 연결을 만듭니다.

  5. 물론 이런 방법은 개념에 대한 이해가 부족하겠지요. 하지만 나름 의미있는 작업이라 생각합니다. (궁금하면 500원)

진행 방법

사용 도구

  1. Perplexity의 Spaces

  2. Chatgpt의 custom GPT

  3. 한국연구재단 학문표준분류표 ('24.11.30.이후 관련 시스템 적용)

1. Perplexity의 Spaces 활용

"Concept Note Assistant"라는 이름의 Space를 만들었습니다.

Perplexity의 응답을 복사해서 옵시디언에 바로 붙여넣기 할 수 있도록 지침을 설정했습니다.

인스트럭션은 다음과 같습니다.

## General Rules
- Response in Korean.
- Please use English for jargon and important keywords, or write "Korean (English)". Example: "역기능적 불안(Dysfunctional Anxiety)"
- Never omit. Show me everything, don't skip anything. Always describe the entire item and its data.

## Formatting Rules 1
- Always answer in markdown format.
- Only use markdown headings 4(####) and heading 5(#####), with body content in bullets.
- Never use bold(**bold**) or heading 2(##) and others.

## Formatting Rules 2
- Start with Heading 2 with the title like "역기능적 불안이란 무엇인가?"
- Never say like "역기능적 불안(Dysfunctional Anxiety)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겠습니다."

2. GPTs 만들고 사용하기

  1. ChatGPT의 Custom GPT에 한국연구재단 학문표준분류표 ('24.11.30.이후 관련 시스템 적용)를 Knowledge로 업로드했습니다.

  2. 지침은 다음과 같이 넣었습니다.

## 학술분류 제안
- 제공 받은 내용이 어떤 학문과 관련됐는지 찾아 5가지를 제안합니다. 
- 해당 학술분류를 왜 제안했는지 한국어로 설명합니다. 
- Knowledge 파일 "한국연구재단_학술표준분류표_20241130.xlsx"을 참고하여 응답합니다.

#### 학술분류 출력 형식
1. 다음과 같이 영어와 한국어를 병기합니다: "English(한국어)"
2. 대분류부터 세분류명을 다음과 같이 병기합니다(1번의 규칙을 따릅니다): "대분류명 > 중분류명 > 소분류명 > 세분류명"

## 키워드 제안
- 학술분류 외에 관련있는 키워드 20가지를 제안합니다. 
- 키워드를 표기하는 형식: "#English-Keyword_Korean-Keyword". 띄어쓰기는 '-'를 사용합니다.

  1. 다음 링크에서 사용해보실 수 있습니다.
    https://chatgpt.com/g/g-673373ec1ea88190adf9c7ebedef5c75-hagsulpyojunbunryu-jeanbos

  2. 사용하실 때는 개념어를 입력하기만하면 됩니다.

  3. 대분류 > 중분류 > 소분류 > 세분류로 제안을 해주는데요. 이 중 제가 괜찮다고 생각하는 분류만 골라서 옵시디언 노트에 링크를 만듭니다.

  4. 아래에 키워드를 생성해주는데요. 이들은 태그로 삽입합니다.

GTPs 결과물

한국판 사업 계획

옵시디언 노트 결과물

항목 목록을 보여주는 웹페이지의 스크린샷

결과와 배운 점

처음에 ADA 사용을 꺼서 knowledge를 참조 안하는 오류가 있었습니다 ㅋㅋ

도움 받은 글 (옵션)

‎​(내용 입력)

4

👉 이 게시글도 읽어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