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롬프트 엔지니어링은 AI가 최적의 결과물을 만들어낼 수 있도록, AI 프롬프트를 작성하는 일을 말합니다 생성형 AI에게 어떤 행동을 해야 하는지 자연어로 설명을 해야하는데, 원하는 결과물을 얻기 위해서는 AI가 잘 알아들을 수 있도록 명령, 지시, 질문, 요청 등을 패턴에 맞게 작성하여야 합니다
황성진 대표님이 강의해주신 기본 프롬프트 엔지니어링 개념을 활용하고 제대로된 프롬프트 엔지니어링을 했을때와 하지 않았을때의 결과값을 비교 해 보았습니다
역할부여 (ROLE)
목적을 분명히 (TASK)
출력양식 정해줘 (FORMAT)
다른 생성형AI 함께 시너지 (Linked Prompting), 플러그인
나만의 프롬프트 템플릿 (fine-tuning)
요 순서대로 개념을 적용하여 비교 분석 해 보았습니다
먼저 첫번째 사진은 간단하게 목적만 말하고, 그이후에 30자 이상으로 만들어 달라는 format 까지만 지정 해보았습니다
그러자 한줄 남짓의 일상 원고내용만 얻게 되었습니다
두번째 사진은 역할을 부여해주고, 목적인 랜덤한 인삿말 까지만 지정 해보았습니다! 첫번째 사진보다는 훨씬 문장이 좋네요 하지만 아직 블로그에 쓰기에는 턱없이 부족합니다!
드디어 세번째 사진입니다 세번째 사진은 역할, 목적, 출력양식을 모두 지정 하였습니다 ‘100자 이상으로 만들어줘’ 라는 출력양식을 지정함으로 좀더 문장이 많아 졌습니다 저는 근데 안녕하세요 라고 시작하는 말은 너무 뻔해서 저렇게 시작하는 말을 지우고 싶었습니다
네번째 사진입니다 마지막 문장에 근데 안녕하세요는 빼줘 라고 말함으로써 나름대로의 fine tuning을 하였고, 그 결과 더 제스타일인 원하는 문장을 얻을 수 있었습니다
처음에 안녕하세요 빼줘라고 fine tuning 했을때는 할루시네이션이 가끔 나왔는데 한 30번정도 돌렸다 보니 어느정도 원하는 데이터를 얻을 수 있었습니다
지금은 이런식으로 분량조절을 해서 거의 책에 있는 문단을 쓰는 정도까지 온것 같은데요 여기서 생성된 원고들을 다각도로 활용 가능해 보입니다
활용처 : 개인 블로그 / 티스토리 / 개인 카페 / 사이트 등 응용하여 사용 가능 합니다
여기서 끝나면 재미 없겠죠? 제 직업이 개발자인 것을 살려서 챗GPT API로 데이터를 받아왔고, 받아온 데이터들을 기본 파이썬 OS 기능을 활용하여 텍스트 파일로 만들어 수백개씩 저장 하였습니다 제가 직접 만든 자동포스팅 프로그램을 접목시켜 네이버 블로그에 약 100일 이상을 예약발행을 걸어 둘 수 있었습니다 (테스트 이후 삭제 했습니다)
추후 도전 해볼 과제 / 목표
견적서 자동 작성
계약서 자동 작성하기
황성진 대표님의 프롬프트를 역으로 분석 하여서 과연 역할부여, 목적, 출력 양식을 지정하지 않았을때 제대로된 데이터를 주는지 주지 않는지 로직 분석하기
대표님의 프롬프트에 추가로 파인튜닝 및 여러가지 기능과 자연어 패턴을 덧붙여서 더 생산성 높고 효율적인 결과물 만들어보고 로직 비교분석 해보기
요렇게 도전 해볼까 합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