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PT로 연구개발사업 아이디어 도출

■ 배경 및 목적

계획서나 제안서 관련 문의에서 GPT가 도움이 안된다는 분들이 많으신데, 곰곰히 생각해보니 GPT 사용법이나 프롬프팅에 대한 문제라기 보다는 계획서 작성법 자체를 모르시더라고요. 그래서 계획서 작성법을 일부 설명하기도 하면서 GPT로 어떻게 작성할 수 있는지 설명하는 콘텐츠를 만들고 있습니다.

요즘 챗봇을 사용하는데 저는 프롬프팅은 신경을 잘 쓰지 않는 편입니다. 이 부분은 LLM이 발전할수록 더 그건 것 같더라고요. 역시나 기존에 해당 업무를 얼마나 잘 했는지가 챗봇을 잘쓰고 못쓰고를 가르는 요인 중 중요도가 높아 보입니다.

본 내용은 첫 번째편으로 아이디어 도출편입니다.

■ 활용 툴

‎​ChatGPT 4-mo

■ 실행 과정

  1. 공고문 정리 및 기업 현황 파악: GPT에게 맥락 정보 제공을 위함

  2. GPT로 아이디어 제안받기

    1. 아이디어 확장: 공고문+기업현황을 모두 프롬프팅하여 아이디어 10개 요청

    2. 아이디어 융합: 제안된 아이디어 중 적합한 것 선정하여 융합 요청

    3. 아이디어 수렴(검토): 공고문과 아이디어를 넣고 적합성 검토를 요청

    4. 아이디어 수정: 수정사항 요청

  3. 아이디어 최종 정리: 미팅에서 직관적인 커뮤니케이션이 가능하도록 최종 수정 요청

■ 결과 및 인사이트

관련 콘텐츠 전체가 완성되려면 시간이 좀 걸릴거 같은데, 일단 지인들이나 커뮤니티에서 피드백을 좀 받아볼까 합니다. GPT에 어떤 정보를 줘야 하는지에 대한 포인트와 정보를 어떻게 해석해야 하는지를 짚어 준다는 점에서 기존 설명들과 차별점이 있지 않을까 싶네요.

[1] 아이디어 확장

텍스트가 있는 검은 화면의 스크린샷

[2] 아이디어 융합

텍스트가 있는 검은 화면

[3] 아이디어 수렴(검토)

텍스트가 있는 검은 화면

[4] 아이디어 정리

한국어 텍스트가 있는 검은 화면

전체 내용은 아래 링크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블로그형 문체가 좋으시다면 여기로

서술형 문체가 좋으시다면 여기로

3
2개의 답글

👉 이 게시글도 읽어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