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브라이언입니다. 6기 스터디의 마지막 사례입니다.
이번 사례에서는, 같은 자료에 대한 메모의 다양한 버전을 만들고, AI에게 ‘어떤 노트가 더 좋은가?에 대해서 물어보고 답변을 얻어 ‘결국 AI에게 맡기려면 이런 종류의 메모를 하는 것이 더 중요하구나’ 란 결론을 도출하기 위해 연구해본 사례입니다.
1. ‘어떤 노트가 AI에게 좋은 노트인가?’ 테스트 개요
지금까지 AI를 AI에 적용시킨 다양한 예시들의 사례가 올라왔었는데, 어떤 분들은 좋았고, 어떤 분들은 별로이다 라는 다양한 반응을 얻었어요.
그래서 이번 테스트를 통해서 해볼 것은 다음과 같아요
테스트 순서:
기사를 읽는다.
메모를 한다 (다양한 버전)
다양한 종류의 노트에 대해서 ChatGPT에게 물어봐서 도출한다.
읽은 기사
노트테이킹과 메모와 관련된 기사에 대해서 읽고 이에 대한 인사이트를 얻어내고자 했어요.
미국의 유명한 테크 저널 잡지인 The Verge에서 아래의 기사를 읽었답니다.
Why note-taking apps don't make us smarter핵심 내용은, 디지털 노트테이킹 앱이 너를 똑똑하게 만들어주는 것이 아니다. 너의 머리가 그 노트들을 보고 연결들을 해야 한다. 그래야 똑똑해진다. 에 대한 이야기에요
최근에 노트앱에 포함되고 있는 AI 기능들에 대해서도 가볍게 언급해주고 있어요.
노트의 종류
어떤 노트의 종류로 비교대조 실험을 해볼까? 고민을 하면서, ‘어떤 종류의 노트들이 있지?’에 대한 답변을 해보면서 고민을 해봤답니다.
저의 5가지 메모 철학에 대한 글을 보면, 결국엔 제대로 된 메모가 되려면 나의 고유한 생각들이 들어있어야 좋은 메모이고 가치있는 메모라는 말을
1) ‘내 고유한 생각의 포함 정도’에 따른 분류
그래서 내 생각이 얼마나 포함되어 있느냐에 따라서 3가지 종류로 나누어봤어요.
노트의 종류 3가지:
하이라이트/인용 - Excerpt 인용
이해를 기반으로 직접 요약 - Reformulation
나의 고유한 생각 - Reflection
Excerpt, Reformulation, Reflection 노트의 종류는 Antinet Zettelkasten이라는 책에서 가지고 온 것입니다.
2) 내용의 구조화 정도에 따른 분류
그리고 두번째 분류로, 노트의 구조화 따른 분류를 해봤어요.
구조화 정도에 따른 분류라고 하는 것은, 불렛 포인트, 하이라이트, 소제목 등을 가지고 그 메모 내의 세부 내용을 한눈에 보기 좋게 알아볼 수 있는 것이랍니다.
이 2 기준에 따라서 생성해본 노트는 총 5가지 입니다.
Note 1, 2 - 하이라이트한 인용구들이지만, 구조화의 차이
Note 1과 2의 차이점은 별거 없어요. 똑같은 하이라이트인데, 여기 사이의 내용들을 파트별로 나누어서 분류를 한 것이나 마찬가지에요
Note 3, 4 - 내용을 기반으로 요약, 완전한 문장형 vs 불렛포인트 형
Note 5 - 인용들과 더불어 나의 생각들이 포함된 것
2. 3가지의 테스트 시행
테스트 1: 구조화한 것이 좋아 안 한 것이 좋아?
👦 브라이언
영문 원본
[[Note 1 Excerpts]] and [[Note 2 Organization]] are notes from the same article, but with titles from the sections in the article different. Which seems to help to grasp the idea of the article better?
한국어 번역본
[노트 1 발췌]]와 [[노트 2 정리]]는 같은 기사에서 발췌한 노트이지만, 기사 내 섹션의 제목이 다릅니다. 어느 쪽이 기사의 아이디어를 더 잘 파악하는 데 도움이 될 것 같나요?
🤖 ChatGPT
영문 원본
Both provide a good overview of the article's main points. However, [[Note 2 Organization]] seems to provide a slightly more detailed and structured understanding of the article. It breaks down the author's experiences with note-taking apps, his views on AI in productivity tools, and his thoughts on the role of active thinking. It also includes the author's references to other researchers and their views, which adds more depth to the summary. Therefore, [[Note 2 Organization]] might help to grasp the idea of the article better.한국어 번역본
둘 다 기사의 주요 요점에 대한 좋은 개요를 제공합니다. 하지만 [[참고 2 정리]]가 글에 대해 좀 더 상세하고 체계적으로 이해할 수 있는 것 같습니다. 이 글은 노트 필기 앱에 대한 저자의 경험, 생산성 도구에서 AI에 대한 견해, 능동적 사고의 역할에 대한 저자의 생각을 세분화해 설명합니다. 또한 다른 연구자들에 대한 저자의 참고 문헌과 그들의 견해도 포함되어 있어 요약의 깊이를 더합니다. 따라서 [[참고 2 정리]]를 참고하시면 글의 내용을 더 잘 파악하실 수 있습니다.
✏️결론
구조화 한 것이 더 좋다! → 조금이라도 헤딩 등으로 어떤 내용인지 드러나게 하자
테스트 2: 완전한 이해를 기반으로 요약 - 문장형 vs 불렛포인트?
👦 브라이언
영문 원본
[[Note 3 Reformulation, Full Sentence]] and [[Note 4, Reformulations, Bullet Points]] are both the same contents, but in different styles. Which helps the reader to grasp a better idea?
한국어 번역본
[참고 3 재구성, 전체 문장]]과 [[참고 4 재구성, 글머리 기호]]는 모두 같은 내용이지만 스타일이 다릅니다. 어떤 것이 독자의 이해를 돕나요?
🤖 ChatGPT
영문 원본
Both notes provide a similar understanding of the article. They cover the same key points and themes, such as the promise and pitfalls of modern note-taking tools, the impact of information overload, the influence of distractions and multitasking on note-taking, the potential and limitations of AI in productivity, and the limitations of software in improving thought.
The difference lies in the format. The full sentence note provides a more detailed and nuanced understanding, as it includes more context and explanation. It might be more suitable for someone who prefers a narrative or story-like format.
On the other hand, the bullet point note is more concise and to the point. It breaks down the information into easily digestible points, which might be more suitable for someone who prefers a quick overview or who plans to use the notes for revision or quick reference.
In conclusion, neither note provides a "much better" understanding than the other; it largely depends on the reader's preference for information presentation.
한국어 번역본
두 노트 모두 글에 대한 비슷한 이해를 제공합니다. 최신 노트 필기 도구의 장점과 함정, 정보 과부하의 영향, 주의 산만과 멀티태스킹이 노트 필기에 미치는 영향, 생산성에서 AI의 잠재력과 한계, 사고력 향상에 있어 소프트웨어의 한계 등 동일한 핵심 요점과 주제를 다룹니다.
차이점은 형식에 있습니다. 전체 문장 노트는 더 많은 맥락과 설명이 포함되어 있어 더 자세하고 미묘한 이해를 돕습니다. 내러티브나 이야기 같은 형식을 선호하는 사람에게 더 적합할 수 있습니다.
반면, 글머리 기호 노트는 좀 더 간결하고 요점이 명확합니다. 정보를 이해하기 쉬운 요점으로 세분화해 빠른 개요를 선호하거나 수정이나 빠른 참조를 위해 노트를 사용하려는 사람에게 더 적합할 수 있습니다.
결론적으로, 어느 쪽 노트가 다른 쪽 노트보다 "훨씬 더 나은" 이해를 제공하지는 않으며, 이는 독자의 정보 표현 선호도에 따라 크게 달라집니다.
✏️결론
불렛포인트랑 완전한 문 장형은 큰 차이가 없다
→ ChatGPT는 대충 쓰던 간단하게 쓰던 알아서 잘 이해할 수 있다.
테스트 3: Note 1 vs Note 5
질문 1) 어떤 노트가 더 가치있는가??
👦 브라이언
영문 원본
Based on these philosophies, out of the notes Note 1 - Excerpts and Note 3 - Reflection which note can be considered better and more valuable?
한국어 번역본
이러한 철학을 바탕으로 노트 1 - 발췌와 노트 3 - 성찰 중 어떤 노트가 더 좋고 가치 있다고 볼 수 있을까요?
🤖 ChatGPT
영문 원본
The value of a note is subjective and depends on the user's needs and preferences.
Note 1 - Excerpts provides a comprehensive summary of an article about the limitations of note-taking apps and the potential of AI in improving productivity. It is valuable for someone who wants a quick understanding of the article's main points without reading the entire piece.
Note 3 - Reflection is a more personal and reflective note. It includes the user's thoughts, reactions, and interpretations of the same article. This note is valuable for someone who wants to understand the user's personal perspective and insights on the topic.
If the user is looking for a quick summary and understanding of the article, Note 1 - Excerpts might be considered better. However, if the user is interested in a more in-depth, personal analysis and reflection on the article, Note 3 - Reflection would be more valuab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