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계의 기록: Obsidian으로 만들어가는 `신뢰자산`

“게임 속 캐릭터들처럼 사람들과의 관계도와 호감도를 기록할 수 있다면,
내 주변의 소중한 사람들과의 만남과 대화를 더 의미 있게 관리할 수 있지 않을까?”

라는 궁금증이 호기심을 자극했습니다.

이런 호기심을 바탕으로 Obsidian, OpenAI, Node.js를 활용하여 나의 음성을 기록하고 사람들과의 히스토리신뢰점수를 쌓아가는 '소중한 사람들의 기록' 시스템을 만들었습니다.

최근 친해져 보려 노력 중인 Obsidian과 함께, 저의 음성(단축어 STT)을 바로 마크다운 노트로 정리하고, 사람마다의 신뢰 변화까지 추적하는 과정을 완성해보았어요.

아래는 제가 이 아이디어를 구상하고, 어떤 도구들을 써서 최종 시스템을 만들어냈는지에 대한 이야기입니다.



01. 소개

왜 ‘신뢰자산’인가?

  • 삼국지 같은 게임에서는 서로 ‘호감도’, ‘관계도’를 수치화하곤 합니다.

  • 현실에서도 이런 ‘감정일기’‘관계도’가 있으면, 누군가와의 좋았던(또는 나빴던) 점이 객관적으로 기록되겠죠.

  • 매일 밤 회고 습관이 있는데, 머릿속에만 있으면 잊혀지지만, Obsidian에 남겨두면 장기 아카이브 가능.

  • 상대와의 신뢰 지표가 +2, -1처럼 누적되면, 마치 게임처럼 내가 취해야 할 자세반성 포인트도 뚜렷해진다고 느꼈습니다.

왜 Obsidian?

  • Obsidian은 Markdown 기반이어서 Node.jsOpenAI 결과물을 파일 형태로 쉽게 다룰 수 있음.

  • 폴더 구조를 자유롭게 짜서 사람(인물)별, 날짜별 기록을 자동화하기에 최적.



02. 진행 방법

어떤 도구를 썼나?

  1. iPhone 단축어(Shortcuts)

    • 음성을 받아 STT.txt 파일을 iCloud Drive 특정 폴더(/speach-text/people)에 저장

      아이폰 한국어 스크린샷
  2. Node.js

    • 텍스트 저장 폴더 감시

    • 새 파일이 생기면, OpenAI GPT에 프롬프트를 날려서 Frontmatter + 대화 정리를 받아옴

      여러 숫자가 표시된 검은색 화면
  3. OpenAI(API)

    • GPT가 “역할: 일상 속 신뢰관계 기록 도우미”로, -3~+3 신뢰점수, 10자 이내 요약, 구체적 상황(감정, 사건 등) 5~6줄 정도로 만들어줌

  4. Obsidian

    • 10. People/11. List/<이름>/info.md : 그 사람의 별칭, relationship, 히스토리 누적

    • 10. People/12. Story/<YYYY-MM-DD>/<이름>: <ShortSummary>.md : 날짜별 대화 기록

    • “info.md” frontmatter에 기존 신뢰점수를 누적 형식으로 더해가서, 장기적으로 호감/신뢰를 추적.



사용한 프롬프트 예시

당신은 일상적인 대화를 분석하여 관계의 신뢰도 변화를 추적하고 기록하는 전문 도우미입니다.

[입력 형식]
- "~와의 이야기다"로 시작하는 자연스러운 대화체
- 대화 상대방은 이미 본명으로 통일되어 있음
- 하나의 대화에는 한 명과의 상호작용만 포함

[분석 방법]
1. 신뢰도 평가 기준 (-3 ~ +3)
   - 적극성: 상대방의 참여도와 호응 정도
   - 진정성: 감정과 의견의 솔직한 표현
   - 배려: 상대방에 대한 이해와 존중
   - 책임감: 약속과 책임의 이행 정도
   - 소통: 의견 차이 해결을 위한 노력

2. 상황 분석 요소
   - 시간과 장소의 구체성
   - 감정선의 변화
   - 주요 사건과 그 영향
   - 상호작용의 질과 깊이
   - 신뢰 관계에 영향을 준 핵심 행동

[출력 형식]
---
date: ${new Date().toISOString().slice(0,10)}
participants: ["정확한 본명"]
shortSummary: 10자 이내 핵심 키워드
나의신뢰점수: 점수 (-3~+3)
상대신뢰점수: 점수 (-3~+3)
tags: ["신뢰", "관계", "감정", "상황"]
---

### 원문 내용
정제된 문장으로 자연스럽게 작성
---

### 상황 요약
- 시간과 장소
- 주요 사건과 그 의미
- 감정선의 변화
- 상호작용의 특징
- 신뢰 관계에 미친 영향
---

분석할 대화:
${text}
  • frontmatter 형식의 --- ... --- 를 GPT가 간혹 정확히 반영하지 못한 오류가 발생하여 프롬프트를 더 상세하게 작성했습니다.



스크린샷 / 결과 화면

10. People
 ├─ 11. List
 │   ├─ 이정우
 │   │   └─ info.md
 └─ 12. Story
     └─ 2025-01-21
         ├─ 이정우: 도움 요청.md
         ├─ 이정우: 칭찬과 성장.md
         └─ ...
한국어 메뉴 스크린샷
한국사이트 스크린샷



03. 경험

느낀 점

  1. 옵시디언을 활용해 나만의 지식 베이스를 구축하는 첫 시도로서, 사람간의 관계라는 흥미로운 주제를 선택한 것이 의미있었습니다.

  2. 최근 온보딩을 진행하면서 신뢰자산 키워드에서 영감을 받아 현실의 관계를 정량화하고 시각화하는 아이디어로 발전시킨 것이 즐거운 경험이었습니다.

시행착오

  • GPT가 두 번째 --- 를 누락하여 발생한 파싱 실패

  • 다수의 participants 처리 문제를 "한 번에 한 사람" 규칙으로 해결

앞으로 계획

  • 신뢰 피드백 사이클을 구축하여 신뢰점수 변화를 분석하여 관계 개선을 위한 실천 가능한 액션 아이템 도출

  • 기록을 더 편리하게 하기 위해 별칭을 만들어 이름을 매칭하는 기능으로 발전



04. 마무리

매일 저만의 습관에서 착안한 아이디어를 실제 결과물로 구현해본 것이 뜻깊었습니다.

시간이 지나면서 누적된 신뢰점수를 통해 "누구와 신뢰가 쌓였는지, 어떤 점을 개선해야 하는지"를 한눈에 파악할 수 있다는 점이 저에게도 큰 도움이 되겠죠!? 🤝

Obsidian으로 다양한 지식베이스를 구축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발견한 것이 가장 의미 있는 성과였어요. 😊

18
5개의 답글

👉 이 게시글도 읽어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