옵시디언을 활용한 나만의 신앙 기록 노트 만들기 (2)

1. 소개

(1)에서는 옵시디언의 기본 기능을 익히고 ChatGPT 4o로 신앙 기록 체계와 구조를 구상했습니다.
(2)에서는 신앙 기록 체계와 구조를 개선하고 실제로 구축해보는 과정을 진행했습니다.

2. 진행 방법

ChatGPT 4o를 활용하여 신앙 기록 체계와 구조 개선하고, 옵시디언을 이용해서 노트 템플릿을 제작했습니다. Youtube 영상 요약에는 릴리스 ai를 사용했습니다.

한국어와 숫자의 목록
  • 위 이미지는 (1)에서 ChatGPT가 최종적으로 도출해 준 목차입니다. [100 기도], [200 묵상 & 성찰], [300 설교 & 컨텐츠]이 어떤 연결성을 가질 수 있을까 고민을 해봤는데, 강의 시간에 배운 IPO(Input-Process-Output)로 정리가 될 수 있을 것 같더라고요.

  • 그래서 우선 Input[300 설교 & 컨텐츠] → Process[200 묵상 & 성찰] → Output[100 기도문과 결과 기록]으로 임의로 구분하고 기록들을 정리해 보기로 했습니다. 다른 신앙 기록들은 이 구조가 의미가 있으면 확장하기로 했어요.

한국과 영어로 된 문자 메시지
  • 어느 정도 정리가 돼서 위와 같이 프롬프트를 넣었습니다. 메인 요청 사항을 적고 추가 요청으로 방향성을 추가적으로 제시해 줬습니다. 기도의 경우 status에 따라 기록을 확인하고 싶은 니즈가 있어 좀 더 구체적으로 프롬프트를 작성했습니다.

  • 아래와 같이 IPO 흐름을 반영해서 목차마다 연결이 될 수 있도록 목차마다 템플릿과 파일명 예시를 만들어 주었습니다. 대략적인 방향성을 알려주니 구체적으로 태그 키워드까지 만들어 주는 것이 참 편리했습니다.

📖 300 설교 & 컨텐츠 (Input) 템플릿
파일명 예시: 📖 301_주일 설교_YYYY-MM-DD

---
title: "[설교 제목]"
date: YYYY-MM-DD
speaker: "[설교자 이름]"
source: "[교회 이름 / 영상 링크]"
tags: #설교 #주일설교 #영적성장
related: [[📖 201_성경 묵상_YYYY-MM-DD]]
---

## 📌 요약
- **본문:** [성경 구절]
- **핵심 메시지:** 
  - (핵심 내용 정리)
- **주요 개념:** 
  - (예: 은혜, 믿음, 순종, 사랑 등)

## 🔗 연결된 묵상 & 성찰
- [[📖 201 성경 묵상_YYYY-MM-DD]] 
- [[📖 202 일상 & 관계 성찰_YYYY-MM-DD]]

## 📝 개인적인 깨달음 & 적용
- (설교를 듣고 개인적으로 느낀 점)

## 🎯 다음 실천 사항
- (이 설교를 적용하기 위해 시도할 행동)

✍️ 200 묵상 & 성찰 (Process) 템플릿
파일명 예시: ✍️ 201_성경 묵상_YYYY-MM-DD

---
title: "[묵상 제목]"
date: YYYY-MM-DD
trigger: "[트리거: 설교 / 일상 사건 / 대화 등]"
tags: #묵상 #성찰 #영적성장
related: [[📖 301_주일 설교_YYYY-MM-DD]], [[🙏 101_개인 기도문_YYYY-MM-DD]]
---

## 📖 오늘의 성경 말씀
- **본문:** [성경 구절]
- **핵심 메시지:** 

## 🧐 느낀 점 & 적용
- (묵상하면서 떠오른 생각 정리)

## 🔄 연결된 경험
- [[📖 301 설교 & 컨텐츠_YYYY-MM-DD]] (설교와 연결되는 부분)
- [[✍️ 202 일상 & 관계 성찰_YYYY-MM-DD]] (일상 경험과 연결)

## 🙏 연결된 기도문
- [[🙏 101 개인 기도문_YYYY-MM-DD]] (이 묵상을 기반으로 기도하게 된 내용)

🙏 100 기도문 (Output) 템플릿
파일명 예시: 🙏 101_개인 기도문_YYYY-MM-DD

---
title: "[기도 제목]"
date: YYYY-MM-DD
prayer_type: "[개인 기도 / 중보 기도]"
status: "[응답 여부: Ongoing / Answered / Not Yet / No / Changed]"
tags: #기도 #응답추적 #중보기도
related: [[✍️ 201_성경 묵상_YYYY-MM-DD]]
---

## 🙏 기도 내용
- (기도하고 싶은 내용을 작성)

## 📌 기도 응답 추적
- **응답 여부:** 
  - ⏳ Ongoing (진행 중)  
  - ✅ Answered (응답됨)  
  - ❌ No (응답되지 않음)  
  - ⏸ Not Yet (아직 아님)  
  - 🔄 Changed (의미 변화)  
  - ❓ Unknown (불분명)
- **응답 시기:** YYYY-MM-DD
- **응답 방식:** 
  - (기도 응답이 어떤 방식으로 이루어졌는지 기록)

## 🔄 연결된 묵상 & 성찰
- [[✍️ 201 성경 묵상_YYYY-MM-DD]]
- [[📖 301 설교 & 컨텐츠_YYYY-MM-DD]]

  • 나온 내용들을 IPO 흐름에 맞게 번호를 역순으로 변경([100 설교 & 컨텐츠] → [200 묵상 & 성찰] → [300 기도])하고, 템플릿은 저에게 맞는 형태로 조금씩 수정해서 목차별로 만들었습니다. 그리고 노트마다 링크를 통해 서로 연결성을 부여해 줬습니다.

    한국어 한국어 한국인 한국인 한국인

  • 테스트를 좀 해보고 싶어서 Youtube에서 설교 몇 개를 샘플로 [100 설교 & 컨텐츠] → [200 묵상 & 성찰] → [300 기도] 순으로 작성해 봤습니다. 영상 요약은 릴리스 ai를 사용했고, 내용 생성은 ChatGPT를 사용했습니다. (링크: 영상,음성,PDF,웹사이트 모든 것을 요약 - Lilys AI)

한국 뉴스 웹 사이트의 스크린 샷에 남자와 남자와 함께

  • 태그는 성경책, 기도 status, 감정 점수 3가지만 먼저 사용해 봤는데, 노트를 작성할 때 제목을 좀 더 직관적으로 작성하는 것이 중요하겠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또한 한 번에 다양한 생각을 기록하는 편인데 내용의 단위를 어느 정도까지 쪼개야 의미가 있을지도 고민이 됐습니다.

  • 개인적으로 기도 status에 따라 연결성을 볼 수 있는 부분이 가장 마음에 들었습니다. 어느 정도 생각했던 방향성과 맞아서 ChatGPT 결과물에서 별도로 수정하진 않았고, 사용해 보면서 개선을 해야 할 것 같아요.

    한국 사람들의 네트워크지도
    Py-Opening이라는 단어가 포함 된 네트워크 맵
    한국어의 네트워크 맵

  • Smart Composer 플러그인을 사용해서 기도문을 작성해 봤습니다. 프롬프트는 [이 (노트) 내용을 보고 기도문을 작성해줘]입니다. 기도가 하기 싫을 때나 혹은 무엇을 기도해야 할지 모르겠을 때 ChatGPT에게 기도문을 작성해 달라고 하면 도움이 되더라고요. 현재 방법을 잘 모르지만 노트 내용을 바탕으로 기도문 작성을 자동화시키는 방법도 좋을 것 같습니다.

  • ChatGPT를 유료로 사용하고 있어서 ChatGPT를 사용해 보려고 했는데 왜인지 자꾸 API Key를 넣으면 자꾸 404 에러가 떠서 gemini-2.0-flash-exp를 사용했습니다.

    웹 브라우저에서 한국 텍스트 스크린 샷

  • 아래와 같이 추가적인 확장 방향성도 많이 제시를 해주었습니다. 차근차근 해보면 좋을 것 같습니다. (갈 길이 먼 옵시디언 감자... 🥔)

한국어 페이지의 스크린 샷

3. 결과와 배운 점

  • (1)보다 훨씬 재밌었습니다! 샘플이 아니라 실제 제 기록을 입력해야 더 감이 올 것 같은데, 계속 사용하면서 개선해 보겠습니다. 😄

  • 결국 의미 있는 형태로 기록 체계를 정리하고 tag를 잘 관리하는 것이 중요할 것 같습니다. 일단 개인 맞춤으로 시작하고 좀 더 기독교인 대상 범용적으로 적용될 수 있는 체계, tag로 개선하고 싶습니다. 📚

  • Smart Composer에서 왜 ChatGPT 4o 모델이 사용이 안 됐는지 살펴봐야 할 것 같아요. 그리고 Smart Composer 작업을 자동화하는 방법이 있는지도 궁금합니다. ❓

  • 그리고 중요한 부분인데 개인적으로 옵시디언이 심리적인 장벽이 큰 것 같아요. 툴이 익숙하지 않아서 그런지, 체계를 잡는 것이 어려운지 모르겠지만 옵시디언보다 노션을 키게 되는 것 같습니다. 🤔

1

👉 이 게시글도 읽어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