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어정리를 다양한 AI툴로 정리해보기👩🏻‍💻

배경 및 목적

한창 책을 작성하는데, 잘 써지지 않아 검색으로 가능한 부분부터 채우고 있습니다!

참고 자료

스터디장님의 지난번 게시글 genspark 새로 적용해봄!

https://www.gpters.org/ai-writing/post/genspark-your-own-ai-3Ft0loCrmht7IHY

지난번 스터디에서 genspark 를 흥미롭게 봐서 새로 시도해보았습니다!

활용 툴

chatGPT, Claude, Liner, Perplexity + genspark

기존에 활용하고 있던 툴에 genspark를 더해 같은 프롬프트로 검색해보았어요!

실행 과정

  • chatGPT: 너무 짧게 설명해줘서 길게 해달라고 했지만 여전히 짧음..(하나하나씩 시도해봐야할듯)

    한국어로 된 문자 메시지의 스크린샷
  • Claude: 요즘 자꾸 접속이 잘 안되고, 한글을 다시 해석해서 이상하게 답변을 주는경우가 많음(유료해지 고려)

한국어 텍스트가 있는 페이지
  • Perplexity: 짧긴하지만 좀 더 길게 작성해 달라고 할때 좀더 성의가 있고 연관질문을 해줘서, 각각 하나씩 개념을 잡으면 이어지는 질문으로 내용채우기가 좋을것 같음

한국어 웹사이트의 스크린샷
  • Liner: 요즘 논문쓰는데 활용을 많이하고 있는데 학술검색이 아닌 일반검색도 제법 출처를 가지고 잘 찾아주고, 내용도 처음부터 길게 작성해줘서 이걸 메인으로 활용해보고 싶음

Google 번역의 한국어 버전 스크린샷

  • Genspark: 처음써보는데 이것도 Liner처럼 내용도 풍부하게, 출처와 웹사이트까지 추천해주니 좀 더 활용해보고 싶은 마음이 들었고, 웹사이트들도 함께 첨부를 하면 좋겠다는 인사이트를 함께 얻음

    한국사이트 스크린샷

결과 및 인사이트

다양한 툴속에 정보를 얻는것은 쉽지만, 이것을 선택하고 가공하는 것은 나의 몫!

사실 (제대로된 것도 아니지만) 프롬프트 하나로 다양한 툴로 적용했을때, 비슷한 느낌으로 나오고 본인의 목적에 맞는 툴이 있기에 그것을 선택해서 글쓰는데 도움을 받으면 확실히 이전에 네이버, 책, 구글검색을 이용했을때보다 풍부하고 빠르게 정보를 얻을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단, 이렇게 많은 정보에서 실제로 맞는 정보들을 선택하고, 그것을 가공하고, 나의 언어로 풀어서 이해가 쉽게 작성하는것은 나의 역량이지 않을까 싶어요! 오히려 정보는 많아졌는데 아무것도 없는것에서 쓰는것보다 더 이어서 써나가기가 어려운 느낌이 드는 요즘입니다.

오늘로 전자책 스터디는 마무리되었지만, 내용들도 채워넣고 다양한 툴을 활용하고, 그림도 그려보는 단계는 차차 진행해봐야할것 같아요! 그래도 스터디가 있었기에 시작하고 진행해볼수 있었습니다!

모두들 감사합니다 🙂 (스터디장님과 서포터님도 감사해요!)

꼭 완성해서 사례글 또 올려볼게요!

2
2개의 답글

👉 이 게시글도 읽어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