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활용 논문 작성 워크플로우 개선 (with Consensus, Elicit, Notebook LM)

▶️ 0. 초보 연구자의 논문작성 Pain Point

  • 주제 타당성 검증 실패로 인한 재시작 리스크

  • 관련 논문 검색 및 분석에 장기간 소요

  • 연구방법론 학습과 적용 가능성 판단의 어려움

▶️ 1. Consensus: 논문 주제 선택의 리스크 경감

  • [프롬프트 1]

    • 논문 주제를 문장으로 입력하면, 다른 논문들의 결론을 조사하여 내 주제의 타당성을 검토해줌

      미국의 수출통제는 한국의 반도체 장비 수출에 영향을 미친다

  • [결과1]

    • 연구 주제를 한국어로 입력했더니, 최소 기준인 '관련 논문 5개' 미만이라 '컨센서스 미터'가 활성화되지 않음

    • 그래도 분석 결과 요약은 의미있게 나옴

      한국어 웹 사이트의 스크린 샷

  • [결과2]

    • 다행히, Consensus가 질문을 자동으로 영어로 번역해 다시 분석을 실행

    • 이번에는 구체적인 Consensus Meter가 표시되고, 관련 논문들의 유사도가 표시됨

      웹 사이트에서 질문의 스크린 샷
      한국 뉴스 웹 사이트의 스크린 샷

▶️ 2. Elicit: 선행연구 조사시간 단축

  • 논문 주제나 키워드를 입력하여 관련 논문을 검색하고 핵심내용을 표로 요약합니다.

  • [프롬프트 1]

    반도체 수출통제가 한국의 반도체 장비 수출에 미치는 영향 : 시계열분석을 활용하여
  • [결과1]

    • 약 3분 정도의 짧은 시간에, 수많은 관련 논문을 찾아 각 논문의 초록과 결론을 한눈에 보이도록 요약

한국의 반도체 산업 - 한국의 반도체 산업 - 한국의 반도체 산업 -
  • [결과2]

    • 각 논문의 연구 주제, 방법론, 연구 기간, 핵심 변수까지 깔끔하게 정리

    프로젝트 시간표의 예

▶️ 3. NotebookLM: 역발상으로 교재를 만들어 학습

  • NotebookLM을 '개인화된 AI 연구 조교'로 활용하여 'Bottom-up 접근'

    • 기존의 성공적인 결과물인 ‘다수의 선행 연구 논문들’에서 ‘많이 사용된 연구 방법론’을 역으로 추출

    1. DBpia, Elicit, Consensus로 찾은 모든 논문 PDF 파일을 NotebookLM에 업로드

      한국 언어 이미지가있는 웹 페이지의 스크린 샷

    2. 업로드한 자료를 기반으로 내가 검토중인 연구방법론에 대한 학습 가이드 제작 요청

      [프롬프트 1]

      시계열 분석 방법을 '학습 가이드'로 만들어줘

      [결과1]

      • 결과물을 '메모로 추가'하여 Notebook LM에 보관

      한국어 웹 사이트의 스크린 샷

    3. 교재와 함께 활용할 구체적인 샘플 마련

      • 교재에 가장 적합한 사례를 찾아내 분석 절차를 단계별로 요약

      • [프롬프트 2]

        자료 중 시계열분석 시행 절차가 가장 상세하게 기술된 것을 고르고, 그 절차를 예를 들어 설명해줘.
      • [결과 2]

        한국 문자 메시지의 스크린 샷

▶️ 4. Lessons learned

  • Consensus로 연구 방향의 리스크를 줄이고, Elicit으로 광범위한 정보를 신속하게 구조화하고, NotebookLM을 통해 가장 효율적인 방식으로 새로운 지식을 습득하고 적용 가능성을 타진

  • Consensus

    • (장) 내가 생각하는 논문주제 및 방향성의 간단한 검증에 도움

    • (단) 해외 논문을 중심으로 분석하여 관련 논문이 크게 도움되지 않음

    • (단) 관련 논문 원문을 보려했으나 대부분 유료 PDF 링크라서 한계 존재

  • Elicit

    • (장) 논문의 '선행연구조사' 부분에 활용용이

    • (단)조사결과가 영어로 나타나 다시 번역해야 하는 번거로움 존재

    • (단)국내논문은 원문 전체를 분석하지 않고, 초록에만 의거하여 분석하는 한계

  • Notebook LM

    • (장) 내가 새로 사용하려는 이론, 연구방법론에 대한 학습을 기존 논문을 중심으로 진행

    • (장) 빠르게 실제 적용사례를 탐색하고, 적용 가능성을 신속하게 판단 /끝/

1
1개의 답글

👉 이 게시글도 읽어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