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ather the details as thoroughly as possible, then categorize them according to the following format:
Topic:
Fact: { }
Your opinion: { }
추측: { }
불확실한 점: { }
>> 각 항목을 최대한 자세히 한국어로 설명해 줘.
주제
모르는 정보면, 모른다고 확실히 대답해줘.
자기검증: 최종 정보에 대해서, 스스로 검증한 후 대답해.
if you know: yes
if you don’t know: no
*설명하지 말 것
**프롬프트에 띄어쓰기와 기호를 잘 사용해야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음.
(예시)
한국의 이민 정책에 대한 사실을 보도하는 기사 작성해.
– 구조를 따라가며 내용을 완성해.
–”ㄴ다"로 문장 끝내줘.
[상위] 이민 정책에 대한 중립적이고 사실 기반의 설명
[하위]
중립적 언어 사용
편견 없는 표현
감정적 표현 배제
가치 판단적 표현 배제
사실에 기반한 정보
[추가 정보 넣기]
이민 정책의 주요 구성 요소 (예: 입국 규정, 비자 유형, 체류 기간 등)
이민 정책의 목적과 기능
이민이 국가 경제, 사회, 문화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통계 데이터
주요 국가들의 이민 정책 비교
이민 정책 관련 최근 동향 및 변화
이민자 권리 및 의무에 관한 법적 프레임워크
이민 정책 수립
한국어와 영어를 섞어 쓰면 코드 스위칭이 되어 더 잘 인식된다고 영상에서 설명해 주셔서, 위 세팅은 계속 영어로 넣어주고, 주제를 한국어로 해서 한국어로 써 달라고 했습니다.
클로드 3.5 소넷과 chat GPT의 결과를 비교해 보았습니다.
다음의 프롬프트를 동일하게 넣었습니다.
Respond to the following given topic. Gather the details as thoroughly as possible, then categorize them according to the following format:
- Topic: 한국의 중고등학생을 대상으로 2024년에 환경교육을 해야 하는 필요성
- Fact: { }
- Your opinion: { }
- 추측: { }
- 불확실한 점: { }
>> 각 항목을 최대한 자세히 한국어로 설명해 줘.
2. 중고등학생들을 위한 책의 내용으로 다음 주제에 맞는 글을 작성해줘. 1000자 이내로 작성해줘.
주제: 2024년 지구 환경 문제 현황
모르는 정보면, 모른다고 확실히 대답해줘.
자기검증: 최종 정보에 대해서, 스스로 검증한 후 대답해.
결과 및 인사이트
chat GPT 4o, claude 3.5 모두 사실, 의견, 추측, 불확실한 점 4영역으로 나누어서 4, 5개의 문장으로 적절한 설명이 나왔습니다. 이렇게 프롬프트를 써보니 추측과 불확실한 점의 내용이 다양한 생각을 유도하게 되어 유익했습니다.
두번째 프롬프트 결과는 claude가 아주 유익했습니다.
chat GPT 4o,는 따로 제목 없이 글로 작성해 주었고,
claude 3.5 는 글 앞에 안내도 붙고,
자기 검증을 글 밑에 따로 적어 주었습니다.
2024년 지구 환경 문제 현황에 대해 중고등학생을 위한 책의 내용으로 약 1000자 내외의 글을 작성하겠습니다. 제가 모르는 정보는 명시하고, 최종적으로 자기 검증을 하겠습니다.
<내용 중략>
자기 검증: 이 글에서 제시한 정보들은 2024년 이전의 환경 동향을 바탕으로 한 합리적인 추정입니다. 구체적인 2024년의 상황(예: 정확한 기온 상승 수치, 멸종된 종의 수 등)은 제시하지 않았습니다. 전반적인 환경 문제의 경향성과 주요 이슈들은 현재의 과학적 예측과 일치합니다. 다만, 2024년의 구체적인 기술 발전 상황이나 정책 변화 등은 확실하지 않기 때문에 이에 대한 구체적 언급은 피했습니다. 이 글은 중고등학생들에게 현재의 환경 문제에 대한 전반적인 인식을 제공하고, 개인적 실천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데 초점을 맞추고 있습니다.
같은 프롬프트를 넣어도 결과가 다양하게 나오니 자료가 풍성해져서 큰 도움이 되었습니다. 자기검증을 어떻게 진행했는지 알 수 있다는 것이 큰 수확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