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PT-o1과 캔버스를 활용하여 전자책 쓰기_제목 및 작성 계획 짜기

소개

시도하고자 했던 것과 그 이유를 알려주세요.

강의자료를 활용해서 전자책의 제목과 각 일별로 해야할 일에 대해서 뽑아내고 정리하는 것을 진행해보고자 하였음.

진행 방법

어떤 도구를 사용했고, 어떻게 활용하셨나요?

Tip: 사용한 프롬프트 전문을 꼭 포함하고, 내용을 짧게 소개해 주세요.

Tip: 활용 이미지나 캡처 화면을 꼭 남겨주세요.

Tip: 코드 전문은 코드블록에 감싸서 작성해주세요. ( / 을 눌러 '코드 블록'을 선택)

GPT-o1을 이용해서 처음 내가 하고자 하는 내용에 대해서 설명하고 제목을 만들어 달라고 요청함.

한국어로 된 문자 메시지의 스크린샷

답변은 아래와 같음.

해당 단어가 포함된 한국어 텍스트

생각보다 확 와 닿지는 않아서 다시 추가적으로 더 질문을 했고, 그 결과 몇가지 더 추가 아이디어를 받았고, 그 제목들을 활용해서 실제 파트타임 학생들에게 설문을 돌려보고 제목을 뽑아보려고 함. 어떤게 후킹포인트가 되는지, 어떤 책 제목을 보면 끌려서 살것 같은지 등 ..

그리고 그 다음에 다시 GPT에게 내가 해야하는 일들을 정리해달라고 요청함.

흰색 배경에 한국어 텍스트

지침이 있는 한국어 작문 계획

14일간 구체적으로 어떤것들을 해야하는 지에 대한 답변 결과는 생각보다 마음에 들었음.

그래서 답변을 활용해서 캔버스로 가서 다시 각 데이 별로 해야 하는 작업에 대해서 다시 구체적으로 알려 달라고 함.

한국어로 된 문자 메시지의 스크린샷

캔버스의 답변을 정리한 내용은 아래와 같음. (뒷부분 생략)

한국어 단어가 포함된 한국어 학습지

생각보다 답변이 납득가게 잘 나온 것 같음. 각 일 별로 잘 정리하면 좋은 내용으로 정리되겠다고 생각함.

위 내용은 캔버스의 답변을 옵시디언으로 옮겨 놓은 것.

결과와 배운 점

배운 점과 나만의 꿀팁을 알려주세요.

  • 생각보다 잘 알려주어서 깜짝 놀랬음.

  • 근데 캔버스는 바로바로 수정을 하는 장점이 있는데 연결된 작업이 아닌 다른 작업을 하는 경우에는 지워지고 다시 작성이 되서, 아직 캔버스를 활용하는 방법을 잘 모르고 있는 것 같다는 생각을 함.

  • 어떻게 하면 조금 더 캔버스를 잘 쓸지에 대해서 생각해봐야 할 것 같음.

과정 중에 어떤 시행착오를 겪었나요?

  • 프롬프트를 얼마나 구체적으로 작성하는지 따라서 결과물이 확실히 달라지는 점.

  • 내가 좀 더 자료를 찾아보고 보안해야 하는 것이 많다는 점을 깨달음.

도움이 필요한 부분이 있나요?

  • 주말에 모임 참석을 못해서, 이렇게 작성하는 것이 맞는지 확실하지 않다는 것?

  • 뭐 물론 정답은 없을 수 있지만, 그래도 문서화된 가이드가 있으면 좋겠다 생각을 했음.. (매뉴얼 좋아하는 1인이라 ㅋㅋㅋ)

앞으로의 계획이 있다면 들려주세요.

  • GPT가 알려준대로 차근차근 날짜별로 to do list를 완수하도록 해보아야겠다.

도움 받은 글 (옵션)

참고한 지피터스 글이나 외부 사례를 알려주세요.

뭉게뭉게님의 Claude 활용한 교육 교안의 전자책 초고 변환 사례 (https://www.gpters.org/ai-writing/post/writing-first-draft-book-1mIxoIxYVkcZcxH)

4
1개의 답글

👉 이 게시글도 읽어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