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브라이언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AI를 메모 과정에 적용시켜 제 3의 두뇌로 활용하기
어떻게 이용할 수 있는지에 대한 글을 작성해보았습니다!
글을 읽기 전에...
2022년 11월 마지막 날, ChatGPT가 공개되었고, 2023년 3월, Notion AI가 모두에게 공개되었습니다.
Notion은 한국에서 특히 실질적 디폴트 협업 툴로 자리매김하였기 때문에, 많은 사람들이 관심을 가져했고, 얼 마 지나지 않아 Notion AI의 활용에 대한 영상들과 책도 나왔죠.
하지만 막상 활용하고 보니, '생각보다 별로인데...' 라는 생각을 하시는 분들이 많았던 것 같습니다.
별로인데.. 라고 생각하시는 이유는 아마도 두 가지 중 하나에 해당되지 않을까 싶습니다.
1. 어떻게 활용해야 할지 모르겠다.
2. 활용 사례들은 좋은데, 나에게 유용한 것이 없어.
즉, 사용해보니 좋은 기능일 것 같긴 한 한데, 어떻게 내 삶에 적용시켜야 할지 모르겠고, 유용성이 딱히 느껴지지 않기에 그 값어치도 과연 하는지 잘 모르겠다... 아마도 이런 이유로 사용을 잘 못하게 되지 않을까 싶습니다.
근데 의식의 흐름은 단순히 Notion AI뿐만 아니라 ChatGPT와의 경험에서도 많이 해당된다고 생각됩니다.
그런데 AI를 잘만 활용하면. 메모 과정에서도 많은 도움을 받을 수 있고 많은 새로운 아이디어와 가치를 창출할 수 있습니다.
그래서 본 글에서는 Notion AI을 비롯한 디지털 노트테이킹 소프트웨어에 딸린 AI를 활용한 사례를 공유하기 이전에, 저의 메모 철학을 공유하고, 이를 바탕으로 AI를 메모의 작성과 활용 과정에서 어떻게 적용시키고자 하는지 생각을 공유하고자 하는 차원에서 작성하였습니다.
메모 앱에 AI활용의 밑바탕이 되는 철학: 3rd Brain, Brain Trinity
저는 올해 1~2월에 GPTers 스터디 1~2기에 참가하면서 ChatGPT를 '제대로' 접한 것은 처음이었는데요. 그러면서 그 가능성을 보면서 '과연 앞으로 나는 어떻게 활용을 해야 할까'라는 것에 대해서 고민을 많이 하였습니다.
그 고민의 결과 '제 3의 두뇌로 활용해야 한다'라는 결론을 내렸고, 이와 관련된 제 생각을 아래 영상으로 표현하였습니다.
GPTers 커뮤니티 게시판에 정리된 것은 아래 글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제 1, 2, 3의 두뇌를 조화롭게 사용하기 + 사례 [스터디 4기] | GPTers 그룹TL;DR 못 보신 분들을 위한 간단한 요약을 드리자면,
ChatGPT를 비롯한 생성AI는 제 3의 두뇌로 활용해야 한다는 것은,
나의 제 1의 두뇌 (나의 물리적 두뇌), 제 2의 두뇌 (디지털 기기에 저장된 나의 정보와 지식)에 들어있는 연장선으로 제 3의 두뇌로 활용하여 나의 지식과 능력을 확장시키는 방향으로 이용하도록 노력해야 한다는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