업무 상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을 공부해야 할 필요성이 생겼습니다. 하지만 법과는 거리를 두고 사는 착한(?) 시민으로서 법률은 물론 규칙 또한 600개의 조항이 넘는 방대한 양이 너무 어렵게 다가왔습니다. 최근 산업안전보건에 관한 기업들의 관심이 커지 고 있는 상황에서 인공지능의 도움을 받을 수 있지 않을까? 그렇다면 나처럼 고생하고 있는 사람들에게 도움이 되지 않을까 생각했습니다.
Veluga가 해결해 줄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를 하며 학습을 시켜보기로 맘을 먹었습니다. 우선 안전보건공단(https://www.kosha.or.kr/kosha/index.do)에서 필요한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을 pdf 파일로 다운로드 받았습니다. Veluga에게 학습을 시켜보니 꽤 오랜 시간동안 학습을 한 후 드디어 활성화가 되었습니다.
How & What: 챗봇 개발 과정과 결과물
Veluga에 프롬프트를 입력하고 최근 좋아하기 시작한 Claude를 사용하기로 하고 Haiku로 셋팅을 했습니다. Haiku로 한 이유는 토큰을 아끼기 위해서였습니다.
기대를 크게 하면서 챗팅을 시작했는데 문제가 느껴졌습니다.
기대했던 것과는 달리 3개의 조항만을 찾아주었습니다. 뭐가 잘못되었나 싶어서 추가적으로 더 찾아달라고 했지만 그 이상의 조항은 없다는 답변을 주었습니다. 고민이 되었습니다. 학습이 잘못되었나 싶어서 이번에는 Veluga에서 제공하는 앱기능을 활용하여 해당 법률 사이트를 링크를 해보았습니다.
하지만 그래도 해당 조항을 더 많이 찾아주지 못했습니다.
GPTs에서 다시 도전하기
혹시나 하는 마음에 GPTs를 직접 만들어 질문해보았습니다. 동일한 파일을 Knowledge에 넣어주고 GPTs를 만들어 프롬프트를 입력했습니다.
조금 더 많은 조항을 찾아주는 것을 알게되었습니다. 뭐가 문제일까 고민이 더 커졌습니다.
Claude Opus에서 다시 도전하기
결국 Claude에서 해보기로 마음을 먹었습니다. 그런데 Claude는 한 번에 pdf파일을 올릴 수 없었습니다. 문서의 크기가 제한이 있었습니다. 결국 문서를 반으로 나눠서 절반만 올리고 테스트를 하게 되었습니다.
GPTs보다 더 많은 조항을 찾아주었습니다. 결국 AI 모델의 차이일까? 여전히 의문을 풀지 못한 채 우와좌왕 챗봇 만들기는 다음을 기약하며 종료되었습니다.
Veluga가 이렇게 끝나지는 않을거라고 생각합니다. 더 공부가 필요한 것 같습니다. 그리고 도움이 절실히 필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