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경제학은 미래 예측의 학문이다
들어가기에 앞서
독자 분들께 경제학, 미래 예측, AI 사이에
밀접한 상관관계가 있다는 사실을 알려드리는 게 먼저일 것 같아
이런 사례를 가져와봤습니다.
출처 : [김기천 칼럼] ‘알파고’와 경제 ‘신의 한 수’, 조선일보
참고 : 폴 크루그먼 | 카드뉴스, KDI 경제정보센터
“역사를 수학으로 서술하자 물리학이 그러했듯 인류의 미래도 완벽하게 예측 가능해졌다.”
- 아이작 아시모프, 파운데이션 (Foundation)
심리역사학은
아이작 아시모프의 SF 소설 속에 등장하는,
미래를 완벽하게 예측할 수 있게 해주는 환상의 학문입니다.
비록 이 학문을 현실에서 볼 수는 없지만,
경제학자 폴 크루그먼의 사례처럼
심리역사학과 유사한 학문은 의외로 가까운 곳에서 찾을 수 있습니다.
바로 경제학과 데이터 사이언스입니다.
[ 참고 자료 ]
경제학자들의 미래 예측 사례
크루그먼, “심리역사학과 가장 비슷한 (미래 예측) 학문은 경제학“
케인즈, “2030년, 우리 손자 세대의 경제적 가능성 = 생활 수준 8배 향상“
(1931, Economic Possibilities for our Grandchildren)맬서스, “식량보다 인구가 빨리 증가해 인류는 영원히 빈곤의 굴레를 벗어나지 못할 것“
(1798, An Essay on the Principle of Population)폴 로머, “도시화, 교육, 저작권 등 R&D 인센티브 제도로 인해 선진국의 성장이 멈추지 않는 기술 주도적 수확체증형 성장이 이어질 것“
(1986, Endogenous Technological Change)
→ 이후 미래학자 레이 커즈와일이 이와 유사한 “수확가속형 기술 발전” 개념으로 계승
(2005, The Singularity is Near)
2. 경제학은 데이터 사이언스의 조상님이다(?)
많은 분들이 “생물학"인 다윈의 진화론이
“경제학"인 맬서스의 인구론에 크게 영향을 받았다는 사실을
이 글을 통해 처음 접하실겁니다.
맬서스의 [인구론]에서 영감을 받아 [종의 기원]을 저술한 다윈, 차이나는 클라스 178회
경제학은 이처럼
생물학, 통계학, 데이터 사이언스, 뇌과학, 심리학, 철학, 교육학 등
굉장히 다양한 분야와 융합이 활발하게 일어나는 학문 중 하나입니다.
일반적으로 돈에 관한 학문이라고 알려져 있는 것과는 달리
분야를 초월하는 문제인 “선택과 의사결정”이라는 주제를 연구하는 학문이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경제학보다
역사학이나 통계학 등 다른 학문과 훨씬 가까운
경제학의 세부 분과도 더러 보입니다.
그 중 정보 경제학과 계량경제학은
재정학, 무역학 등의 전통적인 경제학과의 관련 못지 않게
인공지능과도 관련이 깊습니다.
이들 분과에서는 데이터 사이언스가 학문으로 자리잡기
수십 년 전부터 정보 시스템을 연구해왔기 때문입니다.
정보 경제학의 선구자라고 불리는 하이에크의 연구를 잠깐 살펴 보면
여러분도 금방 이해하실 겁니다.
돈에 관한 얘기는 하나도 없고 온통 지식, 정보 얘기 뿐이죠?
하지만, 이런 사실이
외부에는 잘 알려져 있지 않다보니
가끔 아래와 같이 오해를 받는 경우도 있는 것 같습니다.
출처 : Keith Lee, 데이터 사이언스랑 경제학이랑 무슨 관련이 있나요?
이처럼 경제학과 인공지능의 깊은 관련성은
저 혼자만 부르짖는 공허한 외침이 아닙니다.
아마도(?) 이 분야에 걸쳐있는 연구원이라면 누구나 아래처럼 느끼고 계실겁니다.
“경제학이 100년 넘게 쌓아온 인사이트들이 인공지능 분야에서 굉장히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
인공지능만 알고 있는 사람보다 경제학을 함께 알고 있는 사람이 더 유리한 거죠.
그동안 산업 현장에서
“인문학적 소양을 가진 이공계 인재”를 눈에 불을 켜고 찾은 것도
바로 이런 이유 때문이 아닐까 합니다.
AI 임팩트 멤버 분들께 간접 체험을 시켜드린다고 말하기에도 뭣하지만,
만약 여러분이 보시기에 제가 인공지능에 대해
많은 인사이트를 가진 것처럼 비춰진다면
이는 경제학,
특히 정보 경제학을 베이스로
통계학과 컴퓨터 공학에 특화된 커리어를 밟아 온 덕분에
저 분야의 훌륭한(?) 구루들의 인사이트를 알아보고 이용할 수 있었던 덕분이지
제가 새로운 걸 발견할 창의력이나 대단한 지성을 갖고 있기 때문은 아닙니다.
3. 경제학과 미래 예측, 그리고 Predictive AI가 가져올 임팩트
서론이 길었는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