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트폴리오 스토리라인 챗봇 비교 (GPT & Gemini)

소개

저는 이직을 준비하면서 가장 어려웠던 점이 포트폴리오 작성이었는데요,
스터디 1주차에서 배운 챗봇 활용법을 적용해서, '포트폴리오 스토리라인 챗봇'을 만들어보았습니다.
단순히 질문을 받아주는 대화형 세션이 아닌, 구조화된 방식으로 진행되는 챗봇을 만들어 포트폴리오 자동화 스토리라인을 실험해보기로 했습니다.

그리고 GPT 챗봇과 Gemini GEM 을 똑같이 생성해서, 각 답변이 어떤지 비교해보았습니다.

진행 방법

  1. GPT 챗봇 지침 생성

한국어 텍스트가있는 검은 색 화면

  1. GPT 챗봇, Gemini GEM 생성

  • 입력한 내용은 1번의 지침 만들기 상세 대화 내용과 같습니다.

  • 조금 더 깊이 있는 분석을 원해서, 추론형인 GPT o3, Gemini 2.5 pro 모델로 생성했습니다.

한국어 텍스트가있는 검은 색 화면
검은 색 화면에 한국어 앱의 스크린 샷

  1. 챗봇과 대화 비교

(어떤 구조로 답변하는지 참고하실 정도로만 캡처 첨부합니다.)

  • GPT

한국어 텍스트가있는 검은 색 화면
한국어 앱의 스크린 샷
전화에 한국어 앱의 스크린 샷
Adobe Flash Player의 한국 버전 스크린 샷
  • Gemini

한국어 페이지의 스크린 샷
검은 색 화면에서 한국 앱의 스크린 샷
중국어 앱의 스크린 샷
검은 색 화면에서 한국 텍스트 편집기의 스크린 샷

결과와 배운 점

  • GPT 챗봇

    • 구조적으로 정리해주고, 가독성 있게 정리해주는 점이 좋았습니다.

    • 포트폴리오 초안 작성 후, '추가 가이드'라고 보완할 점에 대한 피드백을 알려주었어요.
      지침에 '커리어 컨설턴트 수준으로 답변' 해달라고 한 것이 반영된 것 같아 좋았습니다.

  • Gemini

    • 줄글로 답변해서 가독성은 떨어졌지만, 대화의 흐름과 맥락이 조금 더 정확했습니다.

    • Gemini는 수다스럽다는 인식이 있었는데, 이번에는 오히려 GPT보다 더 깔끔하고 본론을 말해서 좋았습니다.

  • 챗봇을 만들며 느낀 점

    • "포트폴리오 공장"을 만든 기분이었어요!
      → 흐름에 맞게 답하면 자연스럽게 스토리가 생성되어 좋았습니다.

    • 앞으로 두 모델을 함께 쓰면서 필요한 부분을 적용하고, 점점 나에게 맞는 LLM 툴을 선택해보려 합니다.

도움 받은 글 (옵션)

제가 포트폴리오 작성이 어렵다고 했더니
스터디 버디인 눈오지님께서 작성하신 글을 공유해주셨어요!
내용이 너무 좋아 이번 챗봇 지침에 참고했습니다. 감사합니다!

https://maily.so/haedalle/posts/92ze82jnzep

2.

베따리님의 사례글에 있던 참고 링크였는데,
저도 지침에 STAR 기법 참고 자료로 추가했습니다.
감사합니다!

https://star--b12dnq1.gamma.site/

2
3개의 답글

👉 이 게시글도 읽어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