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공기관 및 기업 제출용 회사 소개서 작성 GPTs 만들기! (발등에 불 떨어졌다)

소개

저는 본업과 별개로 교육 관련 사업을 사이드 프로젝트로 진행하고 있는데요,

이제 막 정부지원을 받고 학교, 회사, 단체 등에 교육 콘텐츠를 제공하는 중입니다.

지금까지는 기존에 작성해둔 글이나 경험담을 활용해서 설명해왔지만, 점점 공적인 자리에서 사업을 소개하고 홍보할 일이 많아져서 공식적인 사업 소개 문서를 작성하지 않을 수 없더라고요.

그래서 회사 소개서를 시작으로 홈페이지, 리플릿 등을 최대한 빠르게 제작해야 하는 니즈에 맞춰 똑똑한 도우미(GPTs)의 도움을 받아보았습니다.

진행 방법

  1. GPTs 기본 틀 제작

간단하게 교육 사업 운영을 위한 회사/기관 제출용 제안서 제작을 위한 챗봇임을 요건으로 입력한 후, 갖가지 세부 항목들을 세팅했습니다.

한국어 앱의 스크린 샷

  1. 참고 자료 학습 시키기

공공기관 제안서, 사업과 유사한 형태의 타회사 소개서, 작성 중인 제안서 초안을 학습시켰습니다. knowledge에 넣어두었어요.

분홍색 배경을 가진 한국 앱의 스크린 샷

  1. 실행 후 지침 > 제약 사항에 항목 추가

제가 요청한 자료가 아니거나 knowledge에 추가한 파일 내용이 아님에도 불구하고, 제 설정값 외부의 GPT 기본 DB를 바탕으로 내용을 임의 추가하는 경우가 있었습니다.

따라서 아래와 같은 지침을 추가했습니다.

  • 첨부한 파일이나 인용된 내용을 바탕으로 분석, 요약, 정리하여 답변 생성

  • 요청 사항에 대한 DB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파일 추가 및 내용 첨부 요청

  1. 작성한 제안서 초안 업그레이드

한국어 텍스트가있는 검은 색 화면

PPT로 작성한 초안을 업로드하여 문장 다듬기, 주요 프로그램 내 핵심 내용 강조 등 핑퐁을 거치며 계속 업그레이드하고 있습니다.

회사 소개서 외에도 간단한 리플릿 제작, 기관 교육 진행 후 사후 보고서 작성 등에도 활용 중입니다!

결과와 배운 점

  • 혼자 작성하는 것보다는 훨씬 빠르고 간결하게 정제된 문장으로 재구성할 수 있습니다.

  • GPT와 브레인스토밍하기에도 편리합니다. (예: 프로그램 소개할 항목을 '소개', '대상'. '소요 시간', '기대효과'로 구분한 것은 GPT의 아이디어)

  • 그러나 GPT가 답변한 문장 그대로 사용하기 보다는, 제가 주로 사용하는 단어나 맥락에 좀 더 맞게 다듬는 과정은 필요한 듯 합니다. (제공한 자료 INPUT이 부족해서 일 수도?)

  • 보안상 보고서나 제안서 작성 시 자료의 어느 부분까지 GPT에 업로드할지 고민스럽긴하여, 애매한 부분은 제외하고 올리고 있습니다.

  • 현재 제작된 GPTs는 제안서, 소개서용으로 특화되어 있긴 합니다만, 사후 보고서 제작용으로도 사용해도 무방하더라구요, 이미 등록한 사업 정보를 맥락으로 인지하고 있어서 그런지 디폴트 gpt에서 하는 것보다 gpts에서 하는 게 조금 더 맥락을 잘 인지하는 듯 합니다.

도움 받은 글 (옵션)

참고한 지피터스 글이나 외부 사례를 알려주세요.

https://www.youtube.com/watch?v=vGQm7R6X_zY

-> 첨부한 파일 내 도표에 대한 설명을 요청하는 경우, 해당 도표가 첨부된 맥락, 위치, 주요 정보 등을 바탕으로 재구성하여 답변을 해준다고 합니다. (추후에 활용 예정)

한국어 텍스트가있는 한국 앱의 스크린 샷
2

👉 이 게시글도 읽어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