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가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주식 매매 추천 챗봇 만들기 (3주차)

배경 및 목적

이 프로젝트를 시작한 계기는 주식 투자자들이 실시간으로 주식 매수 및 매도에 대한 조언을 구할 수 있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었습니다. 주식 시장은 복잡하고 변동성이 크기 때문에, 투자자들이 정확한 정보를 바탕으로 현명한 결정을 내리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에 따라, 한국 및 미국 주식 시장을 대상으로 사용자가 관심 있는 주식 종목을 입력하고, 자신의 투자 스타일(워런 버핏, 빌 에크먼, 벤저민 그레이엄 중 선택)에 맞는 분석을 받을 수 있는 서비스를 구현하고자 했습니다. 이 서비스를 통해 사용자는 현재 가격, 추천 구매 가격, 손절가, 익절가에 대한 AI의 조언을 받아 투자 결정을 더욱 신중하게 할 수 있습니다.

참고 자료

없습니다.

활용 툴

Streamlit, LangChain 및 ChatOpenAI, YFinance, MPLFinance, DuckDuckGo Search API

실행 과정

  • Streamlit 인터페이스 구축: 사용자로부터 회사명, 시장, 투자 스타일을 입력받는 UI를 개발했습니다.

  • 주식 심볼 검색: 사용자가 입력한 회사명과 시장 정보를 바탕으로 YFinance API에서 주식 심볼을 검색했습니다.

  • 주식 기본 정보 및 성과 분석: YFinance를 이용해 회사의 현재 주가, 시가총액, PER, PBR, 배당수익률 등을 가져와 분석했습니다. 또한, 최근 1년간의 주가 성과를 기반으로 수익률, 52주 최고가, 최저가를 계산했습니다.

  • AI를 통한 투자 스타일 기반 분석: ChatOpenAI를 사용해 사용자가 선택한 투자 스타일에 맞춘 주식 분석을 수행했습니다. AI는 수집된 주가 정보와 재무 데이터를 바탕으로 매수/매도 조언을 제공했습니다.

  • 주가 트렌드 시각화: MPLFinance를 사용해 주가 트렌드를 시각화했습니다. 캔들 차트와 이동 평균선을 통해 주가의 움직임을 분석하고, 적절한 매수/매도 시점을 제안했습니다.

  • 관련 뉴스 검색 및 분석: DuckDuckGo Search API를 사용해 해당 회사와 관련된 최신 뉴스를 검색하고, 투자 결정에 미칠 수 있는 영향을 분석했습니다.

아래에서 확인하실 수 있는 것처럼 분석할 회사를 입력하고, 한국장 / 미국장 선택, 투자 스타일을 선택 후 분석 시작 버튼을 누르면,

한국 웹사이트의 로그인 페이지

아래 보이는 것처럼 현재 가격 / 추천 구매 가격 / 추천 손절가 / 추천 익절가 를 추천해주도록 작업을 했습니다.

그리고, 위의 분석을 하게 된 관련 뉴스 기사를 확인 가능하고 이에 대해 챗봇 형태로 질의를 할 수 있도록 작업을 했습니다.

한국어 텍스트가 포함된 페이지의 스크린샷

위만 보시면 그럴 듯하다?? 라는 생각이 드실 수도 있을 거 같으실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생각보다 시간이 오래 소요 되기도 하며,

한국 주식을 입력 시 시각화 과정에서 폰트 이슈가 생기기도 하고, 아래에서 확인하실 수 있는 것처럼 아직 완성도 이슈가 존재합니다.

한국의 AI 가격을 보여주는 그래프

게다가 관련 뉴스가 있는 거 같기는 한데.. 링크를 클릭 시 http://localhost:8501/ 가 나오는 이슈가 있어서 보완 중입니다.

결과 및 인사이트

주식 투자자들이 좀 더 신뢰할 수 있는 정보를 기반으로 투자 결정을 내릴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서비스를 위해서 아직 보완할 것이 있기는 하지만 뭔가뭔가를 만들어보기는 했다는 것에서 유의한 성과나 결과가 있었다고 볼 수 있을 거 같기는 합니다.

하지만 기능을 추가하는 과정에서 다양한 버그가 발생해서 디버깅 과정에 있습니다.

이를 보완 후 공유 드릴 수 있도록 하겠습니다.

1
1개의 답글

👉 이 게시글도 읽어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