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
2024년 연말에 2025년 목표 중 하나로 정보통신 기술사 시험 준비를 세웠다.
그래서 지난 5주간 입문반을 들으며, 지피터스를 병행했는 데 "선택과 집중"이란 말은 이때 사용하는 거 같다.
(그래서 입문반만 듣고 기술사에 일시정지 버튼을 눌렀다.)
정보통신기술사 입문반 수업을 5회 들으며 2회차 때 답안지(서브노트) 작성법을 학원에서 설명해 주는데
키워드만 던지면 답안지(이하 '서브노트') 작성법에 따라 답안을 작성해주는 GPTs를 만들어 보기로 했다.
참고로 이게 내 첫 GPTs였다.
진행 방법
우선 답안 양식은 아래와 같다.
기술사의 문항에는 단답형과 서술형이 있는데, 학원에서 단답형 작성 요령만 가르쳐 줘서 정확히는 반쪽짜리 GPTs이지만, GPTs를 열고 학원에서 가르쳐준대로 작성 요령을 하나하나 세심하게 정리해서 넣어 봤다.
대략적인 작성 요령은 아래와 같다.
1. 시작/끝 양식 준수
시작(2줄)
<문 1> 문제
<답>
끝에는
<끝.>
2. 개요(3줄) : 제목 + 내용(1줄 반)
3. 2번(17줄) : 개념 -> 그림(구성도) -> 기능(특징 등)
ㅇ 2. 문제(1줄)
ㅇ 개념(3줄) : 제목(1줄) + 내용(1줄 반)
ㅇ 구성도/그림(6줄) : 제목(1줄) + 그림(4줄) + 부연설명
ㅇ 기능(7줄) : 제목(1줄) + 표(5줄) + 부연설명
4. 3번(7줄) : 비교하기
ㅇ 3. ____와 _____ 비교(1줄)
ㅇ 비교표(6줄)
5. 4번(3줄) : 기술 동향(제목 1줄, 내용 2줄)
햅삐한 정보통신기술사 GPTs
여기서 9번 문제를 던져보겠습니다. "9. IP-MPLS 통신방식"
작성된 서브노트(답안)를 보시니 어떠신가요?
옵시디언 이용 기출문제 분석하기!
마크다운 양식으로 옵시디언에 만든 양식을 Smart Composer에게 준수하라고 하고,
위에 기출문제를 정리 시켰습니다.
옵시디언 그래프뷰
결과와 배운 점
정보통신기술사 공부를 하면서도 AI를 통해서 공부 효율을 올릴 수 있었음.
GPTs와 옵시디언을 사용하여 실제 공부에 활용한 사례
그러나 머릿속에 넣는 공부는 AI가 대신 해주지 않는다는 것이 함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