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딩을 이용한 데이터분석
블록코딩의 대표주자인 엔트리에서 데이터분석과 ChatGPT를 이용한 데이터 분석..
사용방법 및 특징을 간단히 비교하겠습니다..
초등/중학교에서 학생들의 컴퓨팅적 사고를 위해서 블록코딩 수업을 하고 있죠.
엔트리, 스크래치 주축으로 다양한 블록코딩들이 있어요.
실과/정보 수업시간에 사용하는 엔트리는 국내에서 개발되었고, 다양하고 귀여운
오브젝트들과 직관적으로 사용하기 쉬울 뿐만 아니라, 다양한 하드웨어 교구들의
입출력장치를 제어하기도 쉬워 많이 사용하고 있습니다.
여기서는 엔트리에서 어떻게 데이터분석을 하는 지 잠깐 보여드릴게요..
데이터포털 : https://www.data.go.kr/에서 필요한 데이터를 추출합니다.
다운로드 받은 강남구 반려동물등록현황 csv파일의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이를 기반으로 엔트리에서 분석을 하면
이 데이터를 기반으로 필요한 정보들을 얻기위해 코딩으로 들어가죠…
이번엔 ChatGPT에서 진행해 보겠습니다..
https://chat.openai.com/c/a4a0b105-7d4c-4501-9ca4-e1d6b9d7409c
📊폰트가 깨지기는 했지만, 정확히 I열의 데이터를 읽어와 그래프로 표현해 줍니다..
폰트를 첨부하여 재요청하고,
가장 높은 곳과 낮은 곳을 알려달라고 요청합니다..
📊높은 곳과 낮은 곳의 그래프의 색상을 변경 요청합니다..
너무나 금방 쓱~~
다양한 색상으로 표현 가능, 일정 데이터 이상만도 추출 가능, 특정 열만 추출 등 데이터 전처리도 없이 바로 사용 가능
🏫중학교/고등학교에서 진행하고 있는 파이썬 수업에서는 훨씬 복잡한 과정을 통해
데이터 분석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pandas, matplotlib, seaborn 등을 이용하여 문법부터 리스트의 인덱싱, 슬라이싱, 파일 경로설정, 인코딩 등을 모두 소개하며 진행했었는데😂ㅠㅠ
지피티는 그냥 쓰~~윽
💻이번엔 파이썬 코드로 요청을 해봅니다..
👉엔트리/파이썬 코딩 수업을 진행하다보면 기본적인 문법인 기술교육이 전제로
들어가야 다음 스텝이 가능하였는데..
ChatGPT의 도움을 받으며, 훨씬 쉽게 다양한 데이터를 다룰 수 있게 되었습니다..
👉하지만 아직
엔트리 블록코딩을 구성해달라고 하면, 텍스트로 다 풀어서 주는 한계는 있습니다.
학생들의 사고력을 위해서는 모든 과정을 다 해주기보다,
일부는 학생들 스스로 해볼 수 있는 영역도 남겨 두어서
이를 잘 조율해서 균형을 잘 맞춰가는 것이 중요하다는 생각이 드네요.
#9기AiATOZ