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임팩트: 개발자 삶에 끼친 변화

#AI임팩트


안녕하세요 9기 AI임팩트 부트캠프에 참여하고 있는 황인준입니다. 저는 AI 임팩트 부트캠프에서 개발 파트의 조사를 맡아 AI의 발전이 개발자 개인에게 어떤 변화를 주었고, 어떤 변화를 시켰는지 조사하고 있습니다.

자료를 꽤 오랜 시간 동안 찾아보았지만 근거를 뒷받침할 수 있는 공개된 자료는 많지는 않았습니다.

그렇기에 그 동안 오랫동안 개발현장에서 일하면서 느껴던 점과 비교하여 AI가 개발자 삶을 어떻게 바꾸게 될지 조심스럽게 예측해보려고 합니다. 다행히 제가 예측한 점을 뒷 받침 할 수 있는 기사들과 사례들을 어렵지 않게 찾을 수 있었습니다.

어떻게 AI는 개발자 업무를 바꾸었는가?

다음 자료는 개발자 최대 커뮤니티 사이트인 스택오버플로우에서 발표한 자료 입니다.

AI Tool이 개발자들 삶에 얼마만큼 침투해있고, 어떻게 생각하는 지 알 수 있었습니다.

설문에 참여한 약 9만 명의 개발자 중 70%가 2023년에 AI 도구를 사용했거나 사용할 계획이라고 응답했습니다. 또한, 전체 응답자 중 77%가 AI 도구에 긍정적으로 답변했습니다.

응답자의 55%가 GitHub Copilot을 가장 많이 사용한 AI 개발자 도구로 답했고 이는 두 번째로 많이 사용한 Tabnine(13%)의 4배에 달하는 수치입니다.

이어서 소개된 자료에서 개발자가 AI 도구를 사용함으로써 얻을 수 있는 가장 큰 이점은 생산성의 향상이며,대부분의 사람들은 코드 작성에 도움을 받고 있다고 답변했습니다.

이 자료들은 AI 도구가 개발자들 사이에서 일하는 방식을 바꾸었고 이러한 도구들을 어떻게 받아들이고 있는지를 알 수 있었습니다.

Instagram의 공동 창립자인 Mike Krieger 는 "내가 본 것 중 가장 놀라운 기계 학습 응용 프로그램"이라고 말했습니다. 그는 Copilot을 사용하여 Instagram의 새로운 기능에 대한 코드 작성, 기존 코드 디버깅 등의 작업을 도왔다고 하여 이슈가 되었습니다.

AI가 개발자 포지션 경계를 허물것

AI가 개발자의 역할 경계를 허물고 있다는 것입니다. 전통적인 소프트웨어 개발에서는 프론트엔드와 백엔드 개발자로 역할이 구분되었지만, AI의 발전으로 이러한 구분이 점점 더 흐려지고 있다고 합니다. 프론트엔드 개발자가 전체 웹 애플리케이션을 구축하고, 백엔드 개발자가 프론트엔드 작업과 인프라 관리에 참여하는 현상이 늘고 있습니다.

AI 기술의 진보는 개발자들이 단순한 코드 작성을 넘어서 훌륭한 제품을 만드는 데 집중할 수 있도록 변화시켰습니다. 특히 스타트업에서는 적은 수의 엔지니어링 팀이 LLMs와 코딩 코파일럿을 사용하여 더욱 신속하게 작업을 진행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특히 ChatGPT와 더불어 UI를 쉽게 구현해주는 ‘버셀 VO’ (사용자가 텍스트로 필요한 내용을 설명하면, VO는 이를 분석하여 자동으로 UI를 생성합니다.) 같은 도구는 백엔드 개발자는 물론, 프로그래밍 지식이 많지 않은 사람도 간단하게 프론트엔드 코드를 구현할 수 있게 됩니다

고급개발자와 초급개발자의 기술 격차 해소

AI가 등장하기 전, 소프트웨어 개발자들은 문제를 수동으로 해결하고 소스 코드를 분석하는 데 많은 시간을 할애했습니다. 반면 오늘날 AI는 소프트웨어 개발에 있어서도 어디에나 존재하며, Software Development Life Cycle 전반에 걸쳐 개선을 가져오고 있습니다.

신입 개발자들은 AI가 다양한 산업에 광범위하게 퍼져 있는 시대에 성장하고 있으며, AI를 사용하는 것이 자연스러운 일이 되었습니다. 반면, 경험 많은 개발자들은 새로운 기술 트렌드를 따라잡기 위해 AI의 잠재력을 완전히 활용하는 데 있어 변화받아드려야 합니다.

AI와 NoCode Tool

AI를 비롯한 Nocode Tool들이 급부상하고 있습니다. 노코드툴은 코드를 작성할 필요 없이 워크 플로우를 자동화하고 유저들이 쉽게 앱을 만들 수 있는 툴을 말합니다.

버블, 웹플로우, 국내의 웨이브온 등 노코드툴들은 시각적인 인터페이스, 드래그 앤 드롭 사전에 제작된 모듈을 통하여 유저들이 소프트웨어를 간편하게 개발할 수 있도록 돕습니다. 물론 현재 노코드툴은 기능상의 한계와 확장에 대한 이슈, 써드 파티 공급자들에 대한 의존에서 자유롭지 못하고 있지만

글로벌 리서치 기관 가트너(Gartner)는 노코드(no-code)·로코드(low-code)를 핵심 전략기술로 선정하고, 해당시장이 2030년에는 1,870억달러 시장까지 성장할 것이라고 발표했다. 이어, 2024년까지 기업용 업무 어플리케이션의 65%가 노코드·로코드로 개발될 것으로 전망했습니다.

노코드툴은 현 소프트웨어 엔지니어링 업계를 대체할 수 없으나 분명 엔지니어가 노코드툴과의 화합을 통해 확장 가능성있는 소프트웨어를 만드는 방향으로 발전될 것입니다.


결론

AI 기술의 발전은 개발자들의 업무 방식, 역할의 경계, 그리고 개발자 간의 기술 격차 해소에 큰 변화를 가져오고 있습니다. 이러한 변화는 일부에게는 위협으로 느껴질 수 있지만 개발자들이 더 높은 생산성을 달성하고, 더 창의적인 방식으로 문제를 해결하며, 더 넓은 범위의 작업에 참여할 수 있게 만들었습니다.

그리고 이러한 변화는 계속될 것입니다. 개발자들은 AI 기술의 발전을 포용하고, 새로운 도구와 기술을 배우며, 달라지고 있는 자신의 역할을 받아드려야 합니다.

마지막으로 2023년 서울에서 OpenAI CEO 샘 알트먼 대표의 AI 대한 관점을 인용하며 마무리 하겠습니다.

“인류가 누릴 수 있는 최고의 황금기에 접어들었습니다. 중요한건 AI 도구에 익숙해지고 변화에 적응하고, 그런 변화와 함께 일하면서 , AI가 어떤 방향으로 가는지, 어디에 유용할지에 대한 직관을 기르는 것이 중요합니다.

적응력, 새로운 것을 빨리 배우고 적응하는 능력을 통해서 스스로 AI와 함께 진화해 나가는 능력들이 보상을 받을 것이라 생각합니다.”


출처

https://www.bbc.com/news/business-57914432

https://leerob.io/blog/product-engineers

https://www.howdy.com/blog/adapting-to-the-era-of-ai-challenges-and-opportunities-for-experienced-developers/

https://www.youtube.com/watch?v=_hpuPi7YZX8&t=3340s

4
5개의 답글

👉 이 게시글도 읽어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