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AI 개발 캠프 참여자 성구입니다 👋
오늘은 제 첫 번째 인디해커 프로젝트인 골스페이스의 제작 과정을 공유하고자 합니다. 이 여정은 단순한 프로젝트 개발 이상의 의미가 있었습니다. 제 정체성과 인디해킹 프로세스를 확립하고 성장하기 위한 과정이었습니다.
1. 아이디어의 탄생
퇴사 후 혼자 일하는 것은 장단점이 있지만, 개인적으로 목표 관리, 일정 관리, 할 일 관리가 생각보다 어렵다고 느꼈습니다. 이러한 방법에 대해 클로드에게 물어봤습니다. 클로드는 목표를 세우고, 목표에 따른 프로젝트를 계획하고, 프로젝트에서 태스크를 세분화하는 방법을 답해줬습니다. 생각보다 괜찮은 방법이라 판단하여 제 삶에 적용해보기로 했습니다. 저는 노션과 옵시디언을 사용하는데 한눈에 보기 좋게 관리하기가 어려웠습니다. 그래서 서비스로 구현하기로 했습니다.
2. 개인 목표 관리 서비스 기획
앞서 말씀드렸듯이 골스페이스는 제 개인적인 필요에서 시작되었습니다. 목표(Goals), 계획(Projects), 할 일(Tasks)을 한눈에 관리하고 싶은 욕구였죠. 서비스를 만들기로 결심하고 프로세스를 세분화하여 기획 → 디자인 → 개발 → 출시의 순서로 진행하기로 했습니다. 그리고 기획을 시작했습니다. 기획과 디자인 경험이 많지 않기 때문에 여기서 클로드를 활용했습니다. 기획서를 작성해달라고 하고, 디자인도 해달라고 했습니다. 처음부터 클로드를 잘 활용하지는 못해서 우여곡절이 있었지만 만족스러운 결과물 을 얻을 수 있었습니다. 그렇게 기획과 디자인을 완료하고 개발을 시작했습니다.
🔽 상세한 과정이 궁금하다면 아래 글을 참고해주세요. 🔽
Claude와 생산성 극대화하기(개인 목표 관리 서비스 만들기) | 지피터스 GPTers3. MVP 개발 과정
3.1 기술 스택 선택
기술 스택은 평소 제가 사용하던 것을 선택했습니다. 프론트엔드를 주로 했기에 백엔드와 데이터베이스는 다른 서비스를 사용하기로 했습니다. 그래서 결정된 최종 기술 스택은 아래와 같습니다.
Frontend: Next.js
Styling: TailwindCSS
Backend/Database: Convex
Auth: Clerk
Hosting: Vercel
사실 Next.js를 제외하고는 모두 처음 써보는 기술이었습니다. TailwindCSS도 사용해본 적이 없어서 어색했습니다. Convex와 Clerk은 빠른 개발을 위해 사용했지만 생각보다 까다로운 부분이 있었습니다. 사용자 인증과 데이터베이스, API 간 연동을 위해 추가로 작업해야 하는 부분도 있었습니다. 하지만 자체 구축을 하는 것보다는 훨씬 안전하고 빠르게 개발을 진행할 수 있었습니다. 그렇기에 다음 프로젝트를 진행할 때도 위와 같은 기술 스택을 사용할 것 같습니다.
3.2 MVP 핵심 기능 선정
개발을 진행하면서 점점 더 많은 기능을 추가하고 싶어졌습니다. AI 회고 기능, 우선순위 기능, 타이머 기능, 대시보드, 데이터 분석 기능 등 수많은 기능을 추가하고 싶었죠. 하지만 작고 빠르게 실행하자는 초심을 지키기 위해 MVP에 적합한 핵심 기능만 남겼습니다.
핵심 기능:
목표 설정
목표에 따른 프로젝트 관리
프로젝트에 따른 세부 태스크 관리
데일리 노트 작성
크로스 플랫폼 지원을 위한 반응형 디자인(PC, 태블릿, 모바일)
3.3 개발 외 작업들
핵심 기능으로 단축한 후에도 할 일이 많았습니다. 프로덕트 개발 A-Z를 한다는 것이 아무리 최소한으로 하려고 해도 챙겨야 할 것이 많았습니다. 디자인 가이드를 만들고, 로고 제작, 파비콘 제작, 메타 태그를 위한 제목, 설명, 이미지 제작, 랜딩 페이지 구상 및 제작, 사용 가이드 작성, 개인정보처리방침, 이용약관 등 정말 많았습니다. 여태까지 회사에서 개발만 해오다 이런 일을 직접 하니 생각보다 어려웠습니다. 여기서도 GPT와 클로드의 도움을 많이 받았습니다. 도움을 받아 진행하다 보니 생각보다 시간이 많이 걸리지는 않았습니다. 뭘 해야할지 몰라서 그렇지 하다 보니 할 만했습니다. 그렇게 하나씩 하다 보니 벌써 어느 정도 서비스의 구색을 갖추기 시작했습니다.
🔽 상세한 과정이 궁금하다면 아래 글을 참고해주세요. 🔽
개인 목표 관리 플랫폼 MVP 제작기 2 with AI | 지피터스 GPTers4. 골스페이스 런칭
6월 22일 아이디어로 시작하여 골스페이스 런칭까지 왔습니다. 런칭 이후에도 할 일이 많았지만 여기까지 온 제 자신이 뿌듯했습니다. (사실 더 빨리 할 수도 있었지만 조금 게을렀습니다.) 그렇게 완성된 골스페이스를 소개합니다!
골스페이스는 여러분의 목표 달성을 돕는 개인 목표 관리 서비스입니다. 목표 설정부터 프로젝트 계획, 일일 태스크 관리까지 모든 과정을 체계적으로 관리할 수 있습니다.
🔽 골스페이스 바로가기 🔽
골스페이스 | 개인 목표 관리의 시작🔽 골스페이스 더 알아보기 🔽
골스페이스 출시 🎉 어디서나 당신의 목표를 향해 나아가세요! - 블로그5. 앞으로의 계획
골스페이스는 이제 막 시작입니다. 앞으로 해야 할 일이 아주 많습니다.
마케팅과 홍보: 기본적으로 마케팅 비용을 사용하지 않으려고 합니다. 하지만 홍보는 해야 하기에 사용자와 소통하며 꾸준히 서비스를 업데이트할 예정입니다.
수익화 모델 구축: 초기에는 모든 기능을 무료로 제공하지만, 서비스 운영비용 등을 고려하여 점진적으로 프리미엄 모델을 도입할 예정입니다. 더 많은 가치를 제공하기 위함입니다.
목표 달성을 위한 커뮤니티 구축: 골스페이스는 개인 목표 관리 서비스입니다. 하지만 목표 달성을 위해서는 '따로 또는 같이'가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시작은 개인 목표 관리이지만 함께 갈 수 있는 서비스가 되기 위해 커뮤니티를 구축하고자 합니다.
국제화: 개인 목표 관리는 한국 사람들만 원하는 니즈가 아닐 거라 생각합니다. 글로벌을 타겟으로 서비스를 확장할 예정입니다.
저의 여정도 이제 시작입니다!
저의 여정도 이제 시작입니다. 골스페이스의 경험을 바탕으로 사용자들에게 가치 있는 서비스를 만들어나갈 예정입니다. 지켜봐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인사이트 요약
아이디어에서 출시까지의 전 과정을 경험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MVP 개발과 빠른 출시로 실제 사용자 피드백을 받는 것이 중요합니다.
기술적인 측면뿐만 아니라 비즈니스적인 측면도 고려해야 합니다.
지속적인 개선과 확장 계획이 서비스의 성장에 필수적입니다.
인디해커로서의 여정은 끊임없는 학습과 도전의 연속입니다.
🔽 저의 여정이 궁금하다면 🔽
성구홈(소개)
성구성구로그(블로그)
#11기1인개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