타이칸
타이칸
🐶 AI 찐친
📚 학습반장
🚀 SNS 챌린지 달성자

자기 전에 30분컷 MCP서버 만들기(국립국어원 API 활용)

국립국어원 API로 품사 분석하고 MCP 서버에 붙이기

소개

내일 있을 MCP 스터디를 생각하면서 자려다가
버스에서 생각했던 맞춤법 검사기 MCP를 만들어보고 싶었습니다.

그래서 찾아보다가 국립국어원 오픈 API를 알게되었고, 이전에 알라딘 MCP서버를 만든기억을 더듬어가며 복기하는 마음가짐으로 국립국어원 MCP 서버를 만들기로합니다.

생각보다 OPEN API에서 제공하는 데이터가 많진 않아서, 그냥 한자어나 동음이의어에 주석을 달수 있을 정도더라고요...교정·교열까지 자동화할 수 있을 거라고 기대했지만... 교정/교열은 다른 방법을 찾아보는 걸로!

진행 방법

사용한 도구와 환경

흐름 요약

  1. 국립국어원에서 API를 발급받고(1분컷?)

  2. API문서 긁어와서 커서에게 먹이고(1분?)

  3. 타입스크립트 SDK도 같이 먹이고(1분?)

  4. 만들어 X 3(채팅나눠서 진행)(10분?)

  5. 디버깅 (20분)

결과와 배운 점
확실히 할루시 없이 정확한 단어의 의미를 찾아준다?

<사전적 의미를 물어봤을때 : 없으면 없다고 해준다?>

MCP를 써서 물어본 의미

<그냥 물어봤을때 : 지어냅니다>

흰색 배경에 한국어 텍스트

<네이버 국어사전 결과>

한국어 웹 사이트의 스크린 샷

결론....의외로 쓸만하다????

아래는 작업결과물

보라색 배경을 가진 마인 크래프트 캐릭터의 스크린 샷

야무지게 발행도 해주고
https://www.npmjs.com/package/koreandict-mcp-server

깃 허브에도 올려주고
https://github.com/tenacl/koreandict-mcp-server

  • MCP 서버 개발이 그래도 한번 해봤다고 훨씬 빠르고 편하게 느껴졌습니다. 🙌

  • 특히 타입스크립트 SDK와 Cursor 경험이 디버깅 속도를 높여줬습니다.

  • 한글 품사 분석만으로도 꽤 유용한 전처리를 할 수 있다는 걸 알게 되었고,

  • 다음 목표는 파이썬 SDK 기반으로 어도비 플러그인을 활용한 MCP 도전해보려합니다.

2

👉 이 게시글도 읽어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