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ooster ai로 알잘딱깔센 PRD작성하기!

소개

저는 UXUI 디자이너로서 UX 모델링이나 린 캔버스는 작성해본 적이 있지만,
PRD(Product Requirements Document), 제품 요구사항 문서는 이번 스터디에서 처음 접해봤어요.

PRD는 서비스를 구성하기 위한 타겟 니즈, 기회 요소, 서비스 핵심 기능, 개발 스펙 등이 포함된 문서예요.
실무에서는 서비스 기획자들이 작성한다고 해요.

수강한 ‘AI 창업 패키지’ 수업 시간에 Vooster AI를 알게 됐고, 생각보다 훨씬 쉽고 완성도 높게 PRD를 정리할 수 있었습니다. 질문을 던져주면 그걸 ChatGPT에 넣고 내용을 다듬는데, 결과물을 조금만 파인튜닝하면 꽤 괜찮은 MVP가 나올 수 있겠다는 생각이 들었어요.

진행 방법

사용한 툴과 실제흐름

  • Vooster AI: PRD, TRD, Task 문서용 질문 제공

    [PRD 질문]
    Vooster에서 PRD용 질문을 확인해요.

    • 이 서비스의 핵심 기능은?

    • 누가 쓸 건가요? 어떤 문제를 해결하나요?

    • MVP에는 어떤 기능만 담을 건가요?

    한국어 텍스트가있는 웹 사이트의 스크린 샷
  • ChatGPT: 답변 자동 생성용
    [prd질문지로 지피티로 답변 구하기]

    한국어 웹 사이트의 스크린 샷

  • Vooster AI 설계 문서화 메뉴 : PRD, TRD, Task 문서화 확인 및 다운로드

    한국어가있는 웹 사이트의 스크린 샷

  • Vooster AI 대시보드 : 테스크 생성 및 MVP 전체 자료 확인
    [대시보드 확인 - 서비스 관련 자료를 모아둔 곳]

    한국 웹 사이트의 스크린 샷

    [테스크 생성]

  • Vooster AI 대시보드 : Cursor + MCP 연동
    [MCP연동- 최종 결과를 코드 작업과 연결]

    한국 웹 사이트의 스크린 샷

결과와 배운 점

  • 생각보다 빠르게 MVP 문서 초안이 완성됩니다.

  • 질문 기반이라 구조 잡기 쉬워요.

  • ChatGPT 덕분에 내용이 풍부해집니다. 필요한 건 바로 수정 가능해요.
    챗지피티한테 내용 정리 부탁하고, 인간은 수정 또는 상세 내용 추가.

PRD라는 용어도 처음엔 낯설고 막막했는데, 지금은 오히려 서비스 개발의 시작이 매우 기대됩니다!
다들 화이팅입니다!

참고 링크

👉 이 게시글도 읽어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