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로 독서 기록용 Next.js 웹앱 만들기 (2) - 기획 문서와 설계 문서 도출

tl; dr

  • 개발자F 님께 배운 프롬프트 테크닉을 활용했습니다. 감사하고 또 감사합니다!

너는 매우 유능한 {서비스 기획자 / 소프트웨어 아키텍트}야. 지금부터 {독서 기록} 서비스를 만들 거야. 위 서비스의 {요구사항 분석 / 소프트웨어 설계}을 시작할 거야. 이와 관련된 질문을 나에게 하고 내가 답변을 하면 그것을 요약하고 다시 이어서 추가 질문을 반복해.

안녕하세요 빈종이입니다

  • 작은 회사에서 소프트웨어 만들고 있습니다

  • AI에 대한 지식과 경험 모두 부족합니다

  • 13기가 첫 스터디입니다. 잘 부탁드립니다

시도해본 것들

  • 위 프롬프트와, 그 변주를 이용해서 독서 기록용 서비스의 기본 요구 사항 문서, 기능 설계서 (상세 기획서), 기술 설계서 도출을 시도했습니다.

  • Claude 3 Haiku 이용했습니다

  • 1편에서 이어지는 글입니다

결과물

요구 사항 문서, 상세 기획서, 기술 설계 문서 도출 순서로 진행했습니다

  1. 요구 사항 문서

    • 첫 질문입니다

      검정색 배경에 한국어 텍스트 스크린샷
    • 이후 Claude로부터 12개의 질문을 받았습니다.

    • 중간에 6개쯤 하다가 멈추길래 더 질문하라는 명령도 내렸습니다.

    • 12개 질문에 답하고 나니 얼추 괜찮아 봅여서 정리를 해달라고 했습니다.

  2. 상세 요구사항 문서

    • 단계 1에서 도출한 결과를 다시 넣고 유사 이터레이션을 돌립니다

    • 이번엔 서비스 규모, 예상 사용자 수에 대한 질문을 시작으로, 기술 스택, 호스팅 방식, 인프라, 독서 기록의 데이터 모델, 그룹 관련 데이터 모델, 달력 뷰 관련, 이미지 업로드 관련, 검색 기능 관련, 메인 페이지, 모바일 지원, 독서 기록 입력 UI 등에 대해서 엄청난 양의 질문을 받았고, 열심히 대답했습니다. 최종 요구사항은 다음과 같이 도출되었습니다.

  3. 마지막으로 최종 요구사항을 바탕으로, 기술 설계를 진행할 차례입니다. 시스템 아키텍처 다이어그램, 데이터 모델 구조, API 엔드포인트 설계, 페이지 라우팅 구조, 보안 정책을 도출해달라고 했습니다. (이게 뭔지 다 알고 한 건 아니고, 도출되고 나면 Cursor에 집어넣을 것입니다)

    항목 목록이 표시된 검은색 화면의 스크린샷
    • 결과는 다음과 같습니다

      • 시스템 아키텍처

        클라우드 서비스 다이어그램
      • 데이터 모델 구조

      • API 엔드포인트 설계

      • 페이지 라우팅 구조

    1. 페이지 구조에 마음에 안드는 부분이 있어서 몇가지를 수정해달라고 하고, 수정한 내용을 바탕으로 데이터모델과 API 엔드포인트를 한번 더 도출해달라고 했습니다

마치며

  • 이제 위 내용을 가지고 Cursor로 넘어가서 코딩을 시켜보도록 하겠습니다

  • 모든 종류의 질문과 피드백을 감사히 받겠습니다

4
3개의 답글

👉 이 게시글도 읽어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