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
서버세팅 및 사용 기술스택
cursor, chatGPT 사용
DB 서버 사양 : MySQL 8.0.40 / replica 없는 standalone 구조
추후 Replica Bakup이나 replica 추가 가능
서버 OS : ubuntu 22.04 vCPU 2EA / Mem 8GB
캐시, 스토리지, 도커 레지스트리 등등 제공 가능 (고도화 진행시)
서버 접속 및 사양
Db 서버
최대한 적게 코딩하고 cursor를 사용하여 코딩하기
파이썬을 사용하여 개발한 적이 없다.
cursor를 사용하면 코딩을 짜준다고해서 세팅을 시도해봤다.
진행 방법
사용 도구 : cursor
진행순서
DB 연결
파이썬 세팅 및 가상환경
백엔드 API 구성
백엔드 API에 맞춰 프런트 구성
composer 사용
코드를 직접 입력하지 않고 기본 구성을 cursor에게 맡길경우 사용한다.
코드 작성은 클로드 사용. mini도 괜찮지만 이게 더 간결하다.
CHAT 사용
개념이나 코드 관련된 내용중에 이해가 되지 않는 부분들에 대해 질문하고 싶을 때 사용한다.
중간 오류
파이썬은 가상환경을 구성하여 앱을 실행시켜야하는데 가상환경을 구성하는데 있어서 중간에 경로가 바뀌면 에러가 난다. 중간에 프로젝트 이름을 변경하여서 꽤나 고생을 많이 했다. 이때 아예 가상환경 세팅을 모두 삭제하고 관련된 라이브러리를 다시 설치해주는 것이 좋다.
결과와 배운 점 및 팁
결과
로그인 기능 구현 후 jwt 토큰 발급 및 삭제 기능까지 추가하였다.
예외처리는 팝업으로 띄우서 사용자가 상태를 알 수 있게 하였다.
명령만 내려서 API작업은 1-2시간도 안되서 끝난것 같다. 생산성이 매우 높다.
TIP
mac이어서 pip 명령어가 실행되지 않는다. pip3으로 명령해야하는데 .cursorrules에 관련된 내용을 추가해두면 pip명령어 대신 pip3 명령어를 기본으로 알려준다.
사용하고싶은 라이브러리나 기술 스택이 있을 때 하나씩 적용시킨다. 한번에 명령을 내리면 AI가 수행은 할 수 있으나 에러를 잡지 못한다.
API 명세서와 DB설계를 마치고 작업에 들어가면 API는 공장처럼 찍어낼 수 있을것 같다.
백엔드 API를 완성하고 프런트 코드를 짜면 좀 더 쉽게 인식하는것 같다.
시행착오
팀원들끼리 용어정의가 정확히 되어있지 않으면 같은 내용으로 회의를 10시간 하게될 수 있다.
도움이 필요한 부분
프런트와 백엔드를 나눠서 작업하게될 것 같은데 cursorrules를 각자 사용하고 있었어서 이 부분을 어떻게 관리해야할지 고민됩니다. 조언이 있다면 알려주세요,.
앞으로의 계획이 있다면 들려주세요.
와이어 프레임이 완성되는대로 API 를 공장처럼 찍어낼 예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