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환경 안전관리 예지보전시스템 개발 (1/4) - 개인 프레임웍 검증

소개

  • 산업현장 안전관리 예지보전시스템 개발 위한

    계획 및 업무 분장 진행 중인 단계의 개인 프레임웍 검증 실패 사례 공유 입니다

진행 방법

  • 나홀로 검증 시도 이유 : 인원이 충원 (5~6인 예정) 되고 있으나 첫 오프 모임 기준 4인으로 구성되어 최악의 경우에 익숙지 않은 웹개발을 하게 될 수도 있겠다는 두려움 이었습니다. 데이터 분석을 주력으로 하기에 상용 프레임웍 및 구조가 익숙지 않아 여러 웹 개발자분들과 비교당하기는 싫고, 스트림릿은 너무 흔한 기분.....

  • 이에 요즘 LLM / Agent 노코드 플랫폼으로 쓰이는 OPEN-WEBUI 에 로그인/사용자 관리 기능이 포함되었고 UI 도 괜찮다고해서 시도 해보았습니다.

  • 파이썬 코드 연동 파이프라인 , 로그인 관리 기능, LLM 모델 사용/임베딩 등이 가능합니다.

    *LLM / AGENT 용 툴

    한국어 앱 스크린샷
    한국 앱 스크린샷

*로그인 기능, 사용자 권한 관리 기능

한국어 텍스트가 있는 검은 화면

*코드 파이프라인으로 넣은 코드를 돌릴 수 있는 것은 확인했으나, 최종 원하는 코드는 도커 가상환경들간의 라이브러리 의존성 , 미설치 , pyodide 환경 믹스 등 문제로 테스트 중 중단

컴퓨터의 한국어 설정 스크린샷

*아티팩트 기능을 통해서는, 로컬 백엔드에서 송출한 영상까지는 나오는 것 확인

컴퓨터에 있는 한국어 앱의 스크린샷

결과와 배운 점

  • 아무리 별도 파이프라인에 코드를 넣어 연동 해도 LLM 및 AGENT 특화 툴 이라서, 처음에 사용자가 어떤 말이든 채팅시작을 해야 코드가 RUN 됨...

  • 도커 컴포즈와 각종 가상환경의 라이브러리 의존성 복잡해서 시행 착오가 생길 수 있고

    코드 뜯어 고쳐야 원하는 대로 커스터마이징 가능할 것 같음

  • 생각 보다 프로그램이 무거워서 가벼운 기능 위주 서비스에 적합하지 않음.

    결론 :

    웹개발은 가능하면 웹개발 언어와 프레임워크로 하자.

    남들이 가지 않은 길은 이유가 있다.

8
2개의 답글

👉 이 게시글도 읽어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