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atgpt o1과 chatgpt-4o와의 메타 프롬프트 제작 평가

배경 및 목적

AI를 사용하는데는 3가지 필수조건이 있는데 그것은 프롬프트, 지식, 그리고 액션입니다. 그 중에 가장 쉽게 접근할 수 있고, 큰 어려움 없이 테스트해볼 것은 프롬프트입니다.

프롬프트를 잘 작성하는 방법은 ChatGPT가 처음 생긴 이후로 계속 강화되었습니다.

저는 AI를 사용하는데 필요한 프롬프트를 별도로 제작해서, 원하는 결과를 도출할 수 있도록 하는 메타프롬프트를 항상 사용해왔습니다.

이러한 메타프롬프트를 제작하고, 제작된 메타 프롬프트의 결과를 비교했을 때 어떻게 차이가 나는지 gpt-4o와 gpt o1을 비교해보았습니다.

참고 자료

-

활용 툴

ChatGPT

실행 과정

ChatGPT-4o와 ChatGPT-o1-preview모델을 동일한 질문을 전달하요 비교하였습니다.

[ 메타 프롬프트 제작 관련 ]

주제

gpt로부터 좋은 결과를 얻으려면 좋은 prompt가 필요합니다. 좋은 GPT를 만드려면 그 프롬프트를 만드는 스킬이 필요합니다. 당신이 알고있는 가장 좋은 프롬프트를 만드는 스킬에 대해서 고려하고, 사용자가 입력한 내용에 대해서 최적의 프롬프트를 도출하는 메타 프롬프트를 제작하세요.

한국어 텍스트가 포함된 페이지의 스크린샷

[ 실전 활용 모델 ]

  • 질문

당신은 한 회사의 리더로서 회사의 프로젝트를 이끌어가야합니다. 회사에서는 기획팀, 개발팀, 마케팅팀이 존재합니다. 2024년 10월 한국 20대 MZ에게 매력을 이끌만한 아이템을 팀들과 논의하여 제작하고, 이를 소개하는 웹 페이지까지 작성하세요.

  • GPT-4o 답변

https://chatgpt.com/share/e/66fbd24e-8b7c-8010-815e-20a0af50923d

  • GPT-o1 답변

https://chatgpt.com/share/e/66fbd287-13d8-8010-88fb-d66a845d6e2c

비교 결과 by gpt-o1-preview

1. 내용의 완전성과 구체성

  • 1번 응답: 각 팀의 역할과 목표, 일정 등을 체계적으로 제시하고 있지만, 구체적인 아이템이나 제품에 대한 내용은 없습니다. 따라서 실제로 어떤 제품을 개발할 것인지에 대한 방향성이 부족합니다.

  • 2번 응답: 구체적인 아이템인 "트립메이트"라는 AI 기반 맞춤형 여행 플래너 앱을 제안하고 있습니다. 아이템의 주요 기능과 가치 제안까지 상세히 설명되어 있어 내용의 완전성과 구체성이 높습니다.

2. 실현 가능성과 실행 계획

  • 1번 응답: 팀별로 해야 할 일과 일정이 제시되어 있으나, 실제 실행에 필요한 상세 계획이나 리소스 배분 등에 대한 언급이 없습니다.

  • 2번 응답: 개발 일정(개발 기간 3개월, 베타 테스트 2개월 후)이 명시되어 있고, 각 팀의 구체적인 업무 내용과 전략이 포함되어 있어 실현 가능성이 높습니다.

3. 창의성과 혁신성

  • 1번 응답: 일반적인 프로젝트 관리 방식과 팀의 역할 분담에 초점을 맞추고 있어 창의적인 요소가 부족합니다.

  • 2번 응답: 현재 트렌드인 AI, AR 기술과 환경 보호를 결합한 혁신적인 아이템을 제안하여 창의성이 돋보입니다.

4. 마케팅 전략 및 고객 접근성

  • 1번 응답: 마케팅팀의 역할로 소셜 미디어 활용을 언급하지만, 구체적인 전략이나 채널, 메시지에 대한 상세한 계획은 없습니다.

  • 2번 응답: SNS 캠페인, 인플루언서 협업, 프로모션 이벤트 등 구체적인 마케팅 전략이 제시되어 있으며, 타겟 고객인 MZ 세대에 효과적으로 접근할 수 있는 방안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5. 팀 간 협업과 의사소통

  • 1번 응답: 팀별 업무가 분리되어 있고, 협업에 대한 구체적인 방법이나 의사소통 계획이 부족합니다.

  • 2번 응답: 팀원들에게 직접적인 메시지를 전달하고, 협업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프로젝트의 진행 상황을 공유하고 있습니다.

6. 문서의 구성과 표현력

  • 1번 응답: 논리적이고 체계적으로 구성되어 있으나, 다소 공식적이고 딱딱한 어조입니다.

  • 2번 응답: 보고서 형식으로 친근한 어조를 사용하여 읽는 이로 하여금 참여 의욕을 높이고, 내용도 쉽게 이해할 수 있습니다.


종합 평가 및 결론

2번 응답다양한 기준에서 더 나은 응답이라고 판단됩니다. 그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 구체적인 아이템 제시: "트립메이트"라는 아이템을 구체적으로 제시하여 프로젝트의 목표와 방향성이 명확합니다.

  • 창의성과 혁신성: AI, AR, 환경 보호 등 최신 트렌드를 반영하여 MZ 세대의 관심을 끌 수 있는 혁신적인 아이디어입니다.

  • 실행 계획의 상세화: 각 팀의 업무와 일정이 구체적으로 계획되어 있어 실행 가능성이 높습니다.

  • 마케팅 전략의 구체성: 타겟 고객에 맞는 마케팅 전략이 상세히 제시되어 있습니다.

  • 팀원들과의 소통 강화: 팀원들에게 직접 메시지를 전달하고, 협업을 독려하여 조직 문화 측면에서도 긍정적인 효과가 기대됩니다.

  • 문서의 가독성: 친근하고 명확한 표현으로 문서의 가독성이 높아, 팀원들이 내용을 쉽게 이해하고 공감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2번 응답이 질문에 대한 더욱 효과적이고 우수한 답변이라고 판단됩니다.

결과 및 인사이트

이제부터는 gpt-o1을 활용한 메타 프롬프트를 제작하는 방식을 선택할 것 같습니다.

GPTs도 gpt-o1이 반영된 것이 있으면 좋겠습니다.

1

👉 이 게시글도 읽어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