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스케어
윤스케어
🏆 AI 챔피언
⚔️ 베테랑 파트너

Filesystem, Brave Search, Sequential Thinking MCP를 활용한 선천성 심장질환 교육자료 제작 경험

소개

요즘 핫한 mcp를 설치하고 활용방안을 고민하다가 학생들에게 수업에서 강의하고 있는 선천성 심장질환, 특히 팔로네징후(Tetralogy of Fallot)에 관한 교육자료가 필요해서 MCP를 활용해 제작한 경험을 공유합니다.

진행 방법

Filesystem MCP - 파일 시스템에 접근하여 파일을 읽거나 쓰는 데 사용 (PDF 파일과 텍스트 파일을 읽으려고 시도)
Brave Search MCP - 웹 검색을 통해 정보를 수집하는 데 사용(선천성 심장질환과 팔로네징후에 관한 최신 정보 검색)
Sequential Thinking MCP - 복잡한 문제를 단계적으로 분석하는 데 사용(교육자료 제작을 위한 체계적 사고 과정 구성)
Blender MCP - 3D 데이터 시각화 (예: 차트, 그래프 등)

미리 설치한 MCP가 6개 정도 있었는데 활용을 어떻게 해야할지 고민하다가 클로드에게 내가 설치한 mcp의 이미지를 캡쳐해서 주고, '이미지와 같은 클로드에 MCP를 설치했어. 설치한 MCP로 실제 적용해보고 사례글을 쓰고 싶은데 어떤 방법으로 적용하면 좋을 지 알려줘'라고 물어보니 아주 상세하게 알려주더군요. 그래서 다음과 같은 내용으로 활용을 해보았어요.

MCP(Multi-modal Control Program)를 사용하여 선천성 심장질환에 관한 포괄적인 교육자료와 차트를 제작했습니다.Filesystem MCP를 통해 기존 PDF 자료에서 정보를 추출하고, 이를 분석하여 시각적 교육자료로 변환했습니다. Brave Search MCP로 최신정보를 검색하고 Sequential Thinking MCP를 이용하여 교육자료를 체계적으로 구성하고자 했고, Blender MCP로 3D 데이터 시각화하려고 했습니다.

1) 강의안 파일인 PDF 파일을 분석할 때는 정확한 경로 지정이 중요합니다. 그리고 pdf 파일을 처음에 용량이 커서 읽지 못하는 이슈가 생겨 클로드에게 물어보니 pdf파일 최대 용량 크기는 500KB미만이 좋다고 하는군요. 그리고 PDF를 텍스트(.txt) 파일로 변환하면 읽기가 쉬워진다고 하여 변환해서 해보니 filesystemread_file 에서 잘 읽고 적용이 되는 것을 볼 수 있었어요.

한국어 문자 메시지의 스크린 샷

2) Brave-Search를 통해 찾은 최신 정보를 Sequential-Thinking으로 분석하여 선천성 심장질환 아동을 위한 교육자료를 만들어줘."라는 프롬프트를 넣고 심층적인 결과를 바로 mcp를 통해 얻을수 있어 놀라왔습니다.

한국 검색 엔진의 스크린 샷
컴퓨터 화면에서 한국어의 스크린 샷


3) 위에 나온 결과를 내 컴퓨터에 다운로드 받고자 클로드에게 'Filesystem 을 활용하여 내 컴퓨터에 이 내용을 다운로드 해줘'라고 했더니 역시 다운로드도 완벽하게 해줍니다.

한국어 프로그램의 스크린 샷

4) 아티팩트 기능을 이용하여 html파일로 만든 다음 다음과 같이 또 요구를 했습니다. "내 HTML 아티팩트에서 텍스트 데이터를 추출하고, Blender MCP를 사용해 이 데이터를 3D 막대 그래프로 시각화해줘. 완성된 3D 모델은 HTML에 삽입할 수 있도록 WebGL 포맷으로 저장해줘."라고 하니 자료가 더 풍성해지고 정교화해지는 것을 알 수 있었습니다.

한국어 앱의 스크린 샷
한국어 한국어 한국인 한국인 한국인

결과와 배운 점

MCP를 활용해 선천성 심장질환에 관한 포괄적 교육자료를 제작했습니다. 특히 시각적 차트는 학생들의 이해도를 크게 높였고, 이전보다 훨씬 효율적으로 자료를 만들 수 있었습니다.
Sequential Thinking MCP를 통한 체계적인 분석과 HTML 아티팩트를 활용한 시각화 기능이 특히 유용했습니다.

도움 받은 글 (옵션)

MCP 공식 문서와 가이드라인을 참고

8
8개의 답글

👉 이 게시글도 읽어보세요